교통비 지원하니 산업단지에 청년 몰려
“청년동행카드 덕분에 도심지 취업만 선호하는 청년을 산업단지로도 끌어들일 수 있었습니다.”

경기 안산 반월국가산업단지에 있는 정보기술(IT) 부품업체 A사장은 “도심에서 떨어진 산단 내 취업자들은 수익성이 없다며 버스 운영업체도 배차를 늘리지 않아 출퇴근이 가장 큰 걱정거리였다”며 “청년동행카드 덕분에 청년 이직·퇴직률이 낮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교통비 지원하니 산업단지에 청년 몰려
청년동행카드는 산단 내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만 15~34세 청년에게 월 5만원의 교통비를 지원하는 ‘청년 교통비 지원 사업’을 통해 발급된다.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층만의 ‘혜택’이다.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이용할 때 활용하거나 차량 주유비로 쓸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고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집행하고 있다. 신한카드와 비씨카드(기업은행, 농협)를 통해 카드(청년동행카드)를 발급하면 정부가 매월 5만원을 바우처 형태로 지급해 준다. 현재 약 16만 명이 연간 924억원의 지원을 받고 있다.

경기 시화국가산단의 기계부품업체 B사장은 “청년 직원들이 청년동행카드를 이용해 평소 출퇴근은 버스를 이용하다가 야근할 땐 택시를 이용한다”며 “과거엔 직원 대다수가 50~60대 연령층이었는데, 이 카드 덕분에 절반가량이 청년층으로 채워졌다”고 말했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 인프라가 잘 갖춰진 국가산단은 수도권 3대 산단(시화·반월·남동)이 거의 유일하다. 대부분 지방 국가산단 내 청년층은 주유비로 이 카드를 활용한다. 지방 국가산단은 버스정류장이 간헐적으로 설치된 데다 배차 시간이 길고, 택시마저 잘 다니지 않는 등 교통 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산업부가 이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도 청년층이 점차 산업단지 내 중소제조업체 취업을 꺼리면서 심각한 인력난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엔 1235개 산단에 10만2939개 기업이 있다. 이들은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70%, 수출의 75%, 고용의 49%를 담당하는 경제와 일자리의 핵심축이다. 하지만 교통 인프라와 일터 환경이 열악해 청년들이 떠나고 있다.

청년동행카드를 활용하는 산단의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진 상태다. 전북 지역 국가산단 내 한 중소기업 사장은 “거주지가 비슷한 직원끼리 카풀제도를 운영하면서 청년동행카드를 주유비로 활용하고 있다”며 “출퇴근 교통비 걱정 없이 직원끼리 함께 퇴근하며 친목도 도모해 회사 분위기가 한결 좋아졌다”고 말했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에 따르면 이 사업을 적용받은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일자리 창출이 기업당 0.54명 높게 나왔고 고용유지율은 5.3%포인트, 신규 채용은 월 0.34명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7월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아쉽게도 시행 3년6개월째가 되는 오는 12월 말이면 종료된다. 정책 시작부터 ‘일몰제’로 기획됐기 때문이다. 중소기업계는 교통비 지원 중단 시 청년 16만 명의 반발이 클 것으로 우려했다. 한 중소기업 사장은 “이런 제도마저 없으면 인력이 부족한 산단 내 중소기업이 청년층 취업을 유인할 만한 요인이 없다”며 “사업이 연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