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한국 인터넷 백서'에 따르면 6세부터 19세까지 10대의 1주 평균 SNS 이용 빈도가 29.2회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10대가 주로 쓰는 SNS는 페이스북(49.8%), 인스타그램(29.6%), 카카오스토리(7.1%)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인터넷을 교육에 활용하는 10대 이용자가 다수였다. 10대 인터넷 이용자의 99.9%까 교육과 학습을 위해 인터넷을 활용했다.
그 결과, 10대의 주평균 동영상 이용 시간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크게 늘었다. 2019년 4.8시간에서 지난해 7.9시간으로 3.1시간 증가했다.
10대는 여가시간에 게임을 즐겼다. 인터넷 세부 이용 목적 중 게임을 꼽은 10대가 86.7%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20대는 전체 연령대 중에서 동영상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했고, 인터넷 쇼핑 이용률도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은 99.3%에 달했다. 선호 동영상 서비스는 유튜브(94.5%), 넷플릭스(36.7%), 네이버(30.6%), 아프리카TV(18.6%) 등 순이었다.
인터넷 쇼핑 이용률은 94.7%였고, 해외직구 이용률도 26.3%를 기록했다.
20대는 주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16시간 12분으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길었다.
30대는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서비스 이용률(42.4%)이 가장 높아 이른바 '얼리어답터'적 특징이 나타났다.
업무 관련 인터넷 서비스 이용비율도 높았다. 인터넷 이용 장소 중 회사(78%)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업무 용도로 이메일 하루 1회 이상 이용 빈도(34.4%)도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
20대와 같이 30대 대다수(98.4%)도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했다. 선호 동영상 서비스는 유튜브(93.2%)가 1위였고, 20대와 달리 네이버(35.4%)가 2위, 넷플릭스(28.4%)가 3위였다.
40대는 인터넷쇼핑과 인터넷뱅킹 이용률이 1년 새 각각 14.6%포인트, 7.8%포인트 뛰었다. 인터넷쇼핑 이용률은 71.6%에서 86.3%로, 인터넷뱅킹 이용률은 86.4%에서 94.2%로 뛰었다.
50대는 정보 검색을 위해 네이버, 다음 등 여전히 포털사이트 이용률이 높은 거승로 집계됐다. 인터넷 정보 검색 시 포털사이트를 사용하는 비율(82.9%)이 전체 평균(76.3%)보다 높았다.
60대는 인터넷뱅킹 이용률이 급증했다. 2019년 26.9%에서 지난해 50.5%로 전 연령대 중 인터넷뱅킹 이용률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의 인터넷전문은행 인터넷뱅킹이나 간편송금서비스보다 일반 은행의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비중이 확연히 높았다"고 설명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