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이과 출신이 유리
어찌보면 당연한 얘깁니다. 구글 애플 테슬라 페이스북 등 실리콘밸리의 빅테크기업에 꽤 많은 한국인들이 일을 합니다. 이들은 대부분 이과 출신입니다. 문과 출신도 있지만, 한국지사 출신이거나 한국계 미국인 등이 대부분입니다. 빅테크기업에서 일하고 싶은 문과 전공자들도 많겠지만, 언어의 장벽 때문에 대부분 미국 등 영어권 출신자들이 경영이나 인사관리 등을 맡아하는 게 이곳의 현실이기도 합니다. 반대로 이과 출신은 인력 수요가 많아 미국 본토 출신 뿐 아니라 한국 대만 중국 등 아시아권이나 유럽 출신들을 많이 채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은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구글의 경우 특정 팀에선 15명 중 1명만 미국에서 나고 자란 직원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1. 일단 태평양을 건너 게 중요하다
실리콘밸리의 테크기업에서 일하고 싶다면 "일단 태평양을 건너는 게 중요하다"고 이곳에서 일하는 한국계 직원들은 공통적으로 말합니다. 걱정보다는 일단 실리콘밸리에서 일할 회사를 찾아 오는 게 중요하다는 얘깁니다. 다만 처음부터 구글이나 애플, 페이스북, 우버, 테슬라 등에서 일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들은 "많은 후배들이 구글 애플 등에 어떻게 들어가냐고 물어오는데, 그게 가장 안타깝다. 큰 기업들은 검증이 안 된 인물을 뽑는 걸 두려워한다. 처음부터 그 회사들을 노리기보다 실리콘밸리나 미국의 기업에 들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일단 비자 등의 '신분' 문제가 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은 바로 쓸 인재들을 원하는데, 신분이 불확실하고 검증이 안 된(경력이 없는) 인재를 바로 채용하기엔 어려움이 많다는 설명입니다. 그래서 일단 실리콘밸리의 테크기업에 인턴으로 시작하거나 유명하지 않은 기업에서 일하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여기서 일하면서 비자 등 신분 문제가 해결이 되면 빅테크 기업의 이직도 손쉬워진다는 얘깁니다.
2. 선배나 친구를 활용하라
실리콘밸리의 테크기업의 채용공고를 실시간으로 보는 것은 어렵습니다. 한국 기업들처럼 공개채용의 문화가 없기에 인력은 수시로 채용을 합니다. 채용공고를 보고 이메일을 통해 한국에서 지원을 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이메일로 지원을 수시로 하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메일 지원 외에도 해외 세미나에 나오거나 논문을 발표하며 미국 기업의 인사 담당자의 눈길을 끌어오는 경우도 꽤 많다고 합니다. 이 경우 바로 인터뷰가 이뤄지기도 하는데, 통상 공고를 보고 이메일 지원을 하거나 교수나 선후배 등을 통한 추천으로 지원서를 넣는 게 정상적인 코스입니다.여기선 일단 인터뷰가 성사가 되면, 채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지원과 인터뷰 사이에 '레퍼런스체크'란 과정이 있습니다. 레퍼런스 체크는 논문이나 실적 등을 참조하기도 하지만, 이미 그곳에서 일하고 있는 같은 학교 출신 선배나 친구 등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예컨대 구글에서 일하는 KAIST 선배가 있다면, 그 선배를 통해 지원자의 레퍼런스 체크를 하게 됩니다. 별 문제가 없다면 인터뷰까지 이어집니다.
3. 인터뷰를 많이 봐라
현재 애플에서 근무하는 A씨의 경우 "인터뷰를 많이 보면 인터뷰 실력도 는다"고 말합니다. 그는 애플 이전에도 미국의 반도체 회사에서 근무했습니다. 한국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미국의 회사로 취직한 후 두세곳의 회사를 거쳐 애플로 왔습니다. A씨는 "이과생들 대부분이 영어로 진행되는 인터뷰에 주눅이 든다"면서 "하지만 인터뷰를 많이 보다보면, 어떤 질문들이 주로 나오는지 알게 되고 자신이 말하고 싶은 대답을 미리 영어로 준비하고 말해보게 되면서 자연스러워진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그래서 "실리콘밸리의 기업에 취직을 하고 싶다면, 자신의 전공분야와 관련이 있는 조그만 회사라도 지원을 해서 인터뷰를 먼저 많이 보라"고 조언합니다. 그 회사가 된다면, 일단 그 회사에 다니는 것도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중요합니다. 애플은 나중에 경력을 쌓아 옮길 수 있습니다. 처음 지원해서 합격하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다고 합니다.4. 출신 학교는 처음만 중요하다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많은 한국 엔지니어들은 "한국처럼 출신학교를 많이 안 물어본다"고 입을 모읍니다. 다만 첫 직장을 잡을 때는 필수인 건 한국과 똑같습니다. 검증 차원입니다. 실리콘밸리에서도 이미 KAIST와 서울대는 빅테크기업들로부터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단 미국 기업에 입사를 하고, 수년을 다니다가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한 경우엔 한국과 많이 달라집니다. 한국 기업에 입사를 해서 미국기업 세곳에 다녔던 B씨는 "미국에 온 뒤로 회사에서 출신 학교를 물어본 적이 한번도 없어 신기해 했던 기억이 있다"면서 "첫 회사에선 당연히 학교와 전공을 물어보지만, 두번째 회사부터는 내가 쌓은 포트폴리오로 나를 평가하는 문화"라고 했습니다. 첫 회사라도 전공분야의 관련 세미나에 참석해 스카웃 제의를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엔 세미나에서 발표하는 내용이 여기 테크기업의 눈길을 끈 경우인데, 이런 경우가 자주 있다고 합니다.5. 이직을 두려워하지 마라
실리콘밸리의 테크기업에 취직에 성공했다면, 이직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미국의 테크기업, 특히 실리콘밸리 기업들 사이에선 이직이 흠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온 취업자의 경우 첫 기업에서 신분(비자) 문제가 대부분 해결이 되고, 포트폴리오도 쌓이게 됩니다. 이럴 땐 더 나은 회사로 이직 기회가 많이 생깁니다. 미국 반도체 회사 세 곳을 거쳐 현재 구글에 다니는 C씨나 한국의 통신회사에서 시작해 미국의 반도체 회사, 애플 등을 거쳐 현재 테슬라에 다니는 D씨가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D씨는 "한국과 반대로 이직은 오히려 능력을 인정받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면서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하고 싶은 일을 찾아 회사를 옮기거나 더 좋은 대우를 받는 기회 등이 생기면 이직을 하는 게 당연하다"고 했습니다.6. 영어를 무서워하지 마라
많은 한국의 엔지니어들이 미국의 빅테크기업에서 일하는 꿈을 갖고 있지만, 망설이는 문제가 있습니다. 한국 기업에서 커뮤니케이션하기도 힘든데, 미국 기업에서 일하게 되면 영어를 사용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곳에서 일하는 한국인 엔지니어들은 영어 문제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합니다. 첫 인터뷰 때에 영어를 잘 말하지 못했다는 C씨는 "유창한 영어는 매니지먼트 단계에서 필요하고, 엔지니어의 영어는 일단 아는 단어로 이뤄져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금세 해결이 된다"면서 "엔지니어의 경우 미국 바깥에서 온 인재들이 많아 영어가 크게 문제가 안 되며 모두 이해해준다"고 전합니다.다만...
실리콘밸리의 취업을 결정하면 두려워하지 말고 부딪혀 보라는 게 이들의 공통적인 목소립니다. 다만 결정하기 전에 고려해야할 문제도 있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며 10년 이상을 살고 있는 한국계 엔지니어들의 이야기들을 대신 전해드립니다."단순히 실리콘밸레에서 살고 싶다고 여기로 취직하는 건 말리고 싶습니다. 여기에서도 한국에 대한 향수병이 영원히 있고, 시민권을 부여받아도 여전히 이방인으로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큰 꿈이 있고, 실리콘밸리에서 어떻게 살 것인지 구체적인 목표가 있다면 지원을 해도 좋습니다. 그리고 기업문화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여기에선 출퇴근이 자유롭고, 눈치를 상대적으로 보지 않고, 맡은 일만 열심히 하면 되는 문화이지만, 많은 자유가 부여된 만큼 성과가 부족하면 바로 낙오됩니다. 더 높은 곳으로 가고 싶다면, 영어도 유창할 정도로 공부해야 합니다. 여기서 일하는 한국분들이 최근엔 한국기업으로도 돌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느 것이 자신에게 맞는지 먼저 생각하고 판단해보는 게 좋아요." 오늘 하루도 활기차게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 기사는 한경 뉴스레터 서비스로 먼저 제공됐습니다. 구독을 원하시면 한경 뉴스레터(https://plus.hankyung.com/apps/newsletter.list)에서 이메일 주소만 넣어주시면 됩니다.
실리콘밸리=김재후 특파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