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700명 안팎 예상…급증세 없다지만 확산세 지속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58명→671명→532명→549명→731명→?…어제 밤 9시까지 650명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700명대로 올라서면서 '4차 유행'이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시작된 '3차 대유행'의 여파가 완전히 사그라들기도 전에 전국적으로 중소 규모의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방역 현장 곳곳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정부는 아직 급격한 증가세는 아닌데다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 등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현행 수준의 방역 조치로도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언제든 확진자 규모가 급증하면서 더 큰 유행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이틀 연속 700명 안팎…일평균 지역발생, 이미 2.5단계 범위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731명이다.
직전일(549명)보다 182명 늘어나면서 700명대로 급증했다.
700명대 확진자는 지난 14일(731명) 이후 일주일만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역시 비슷한 규모를 나타낼 전망이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650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677명보다 27명 적었다.
밤 9시 이후 확진자가 많이 늘지 않는 최근 추세를 고려하면 700명 안팎, 많게는 700명대 초반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직전일에는 밤 12시까지 54명 늘어 최종 731명으로 마감됐다. 최근 확진자 발생 흐름을 보면 주 초반에는 줄었다가 중반부터 늘어나는 패턴이 반복되는 양상이다.
이는 주말·휴일 이틀간 검사건수가 대폭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영향에 따른 것으로, 지난주와 이번주 2주 연속 월·화요일 이틀 연속 500명대를 나타낸 후 수요일에 700명대로 뛰어올랐다.
이달 15일부터 전날까지 최근 1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698명→673명→658명→671명→532명→549명→731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644.6명꼴로 나왔다.
이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이자 지역사회 내 유행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역발생 확진자는 약 619.0명으로, 2.5단계 기준(전국 400∼500명 이상)의 상단선을 넘어선 상태다.
◇ 일상감염 확산세에 방역 대응 갈수록 어려워져…"확진자 억제중, 긴장도 이완 경계해야"
700명대 확진자 숫자 자체도 우려스러운 부분이지만 감염 양상은 더 심상치 않다.
최근 2주간(4.8∼21) 방역당국에 신고된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전체의 42.5%인 3천840명은 선행 확진자와 접촉한 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가족·지인·직장동료 등 개인 간 접촉을 통해 감염됐다는 의미다.
이처럼 당국의 추적 및 관리가 힘든 일상 감염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신속한 방역 대응은 그만큼 어려워진다.
전날 새롭게 확인된 집단발병 사례만 봐도 서울 은평구 의료기관(14명), 경기 군포시 보험회사 콜센터(12명), 대전 동구 시장(7명), 충북 청주시 카페(5명), 대구 수성구 실내체육시설(6명) 등 다양했다. 이런 가운데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지 못하는 환자 비율도 30%에 가까워져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전날 기준으로 최근 2주간 방역당국에 신고된 신규 확진자는 9천34명 가운데 2천472명의 감염 경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일단 확진자가 발생하면 당국에서 최대한 빠르게 감염원을 찾아내고 관련 접촉자를 관리해야 하는데 감염경로 파악이 늦어지면 적기에 'n차 감염'의 확산 고리를 차단하는 게 힘들어진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최근 역학조사를 통해 명확하게 감염원이 밝혀지지 않는 '조사 중 사례' 비중이 커지고 있다"며 "계속해서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윤 반장은 이어 "현재는 환자 수가 많이 증가하지 않고, 지난주와 유사한 수준에서 억제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이럴 때일수록 방역 긴장도가 이완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민 개개인이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도권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을 현행 오후 10시에서 9시로 1시간 앞당길 필요성이 있느냐는 질의에는 "상황이 아주 급격하게 악화하는 부분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해 현재로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음을 내비쳤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중순부터 시작된 '3차 대유행'의 여파가 완전히 사그라들기도 전에 전국적으로 중소 규모의 집단감염이 잇따르면서 방역 현장 곳곳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정부는 아직 급격한 증가세는 아닌데다 위중증 환자나 사망자 등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현행 수준의 방역 조치로도 충분히 관리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언제든 확진자 규모가 급증하면서 더 큰 유행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이틀 연속 700명 안팎…일평균 지역발생, 이미 2.5단계 범위
22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731명이다.
직전일(549명)보다 182명 늘어나면서 700명대로 급증했다.
700명대 확진자는 지난 14일(731명) 이후 일주일만이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역시 비슷한 규모를 나타낼 전망이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650명으로, 직전일 같은 시간의 677명보다 27명 적었다.
밤 9시 이후 확진자가 많이 늘지 않는 최근 추세를 고려하면 700명 안팎, 많게는 700명대 초반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직전일에는 밤 12시까지 54명 늘어 최종 731명으로 마감됐다. 최근 확진자 발생 흐름을 보면 주 초반에는 줄었다가 중반부터 늘어나는 패턴이 반복되는 양상이다.
이는 주말·휴일 이틀간 검사건수가 대폭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영향에 따른 것으로, 지난주와 이번주 2주 연속 월·화요일 이틀 연속 500명대를 나타낸 후 수요일에 700명대로 뛰어올랐다.
이달 15일부터 전날까지 최근 1주일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698명→673명→658명→671명→532명→549명→731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644.6명꼴로 나왔다.
이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이자 지역사회 내 유행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역발생 확진자는 약 619.0명으로, 2.5단계 기준(전국 400∼500명 이상)의 상단선을 넘어선 상태다.
◇ 일상감염 확산세에 방역 대응 갈수록 어려워져…"확진자 억제중, 긴장도 이완 경계해야"
700명대 확진자 숫자 자체도 우려스러운 부분이지만 감염 양상은 더 심상치 않다.
최근 2주간(4.8∼21) 방역당국에 신고된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전체의 42.5%인 3천840명은 선행 확진자와 접촉한 뒤 감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가족·지인·직장동료 등 개인 간 접촉을 통해 감염됐다는 의미다.
이처럼 당국의 추적 및 관리가 힘든 일상 감염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신속한 방역 대응은 그만큼 어려워진다.
전날 새롭게 확인된 집단발병 사례만 봐도 서울 은평구 의료기관(14명), 경기 군포시 보험회사 콜센터(12명), 대전 동구 시장(7명), 충북 청주시 카페(5명), 대구 수성구 실내체육시설(6명) 등 다양했다. 이런 가운데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지 못하는 환자 비율도 30%에 가까워져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전날 기준으로 최근 2주간 방역당국에 신고된 신규 확진자는 9천34명 가운데 2천472명의 감염 경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일단 확진자가 발생하면 당국에서 최대한 빠르게 감염원을 찾아내고 관련 접촉자를 관리해야 하는데 감염경로 파악이 늦어지면 적기에 'n차 감염'의 확산 고리를 차단하는 게 힘들어진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최근 역학조사를 통해 명확하게 감염원이 밝혀지지 않는 '조사 중 사례' 비중이 커지고 있다"며 "계속해서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윤 반장은 이어 "현재는 환자 수가 많이 증가하지 않고, 지난주와 유사한 수준에서 억제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이럴 때일수록 방역 긴장도가 이완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국민 개개인이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도권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제한을 현행 오후 10시에서 9시로 1시간 앞당길 필요성이 있느냐는 질의에는 "상황이 아주 급격하게 악화하는 부분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해 현재로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음을 내비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