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시간대 이동"...지방대도시 광역철도망 구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향후 10년간 충청,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강원 등 지방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광역철도망이 깔리고 서해안 지역에 고속철도가 신설된다.
또 전라선·동해선 등 주요 노선을 고속화하면서 전국 2시간대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구축계획안을 발표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향후 10년간 철도망 구축의 기본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등을 담고 있는 중장기 법정계획으로, 국토부는 각계 의견 수렴을 거쳐 상반기 안으로 구축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이번 4차 철도망 계획은 무엇보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권 소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충에 방점을 찍었다.
이를 통해 광역경제권 주요 지점을 1시간 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권에 필적하는 광역경제권 조성 기반을 마련한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정부는 우선 기존 경부선·호남선 여유용량 등을 활용해 대구권(김천∼구미) 및 충청권 광역철도(조치원∼신탄진 및 강경∼계룡)를 추진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광역철도 신설 사업으로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광주∼나주 광역철도, 대구∼경북 광역철도 등이 선정됐다.
이 가운데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의 경우 대전 반석∼세종청사∼조치원 구간이 신설된다. 나머지 조치원∼청주공항 구간은 기존 충북선을 활용하되, 전체 구간을 광역철도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충남 홍성 등 서해안 지역에는 새 고속철도가 놓인다.
홍성 등 서해안 지역은 서울과 거리가 멀지 않지만, 교통 여건이 좋지 않아 지역민의 애로사항이 많았다.
서울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이 포함됐다.
서해선과 경부고속선이 연결되면 홍성에서 서울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21분에서 48분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이밖에 건설 후 수십 년이 지나 선로 상태가 좋지 않은 전라선(익산∼여수), 동해선(삼척∼강릉), 호남선(가수원∼논산)을 시속 250㎞급으로 개량해 전국 주요 거점 간 이동시간이 2시간대로 줄어들게 된다.
우선 정부는 신도시 개발 등으로 급증하는 서부권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GTX) 신규 노선(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을 놓기로 했다.
GTX 노선은 이미 A·B·C 3개의 노선이 추진 중이라 서부권 노선은 이른바 GTX-D 노선으로도 불린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한 신규 광역철도 사업으로는 별내선 연장, 분당선 연장, 일산선 연장, 대장∼홍대선, 신구로선 등도 포함됐다.
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도 추진된다.
4차 철도망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경부선 등 열차 운행 집중 구간의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색∼금천구청,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구간의 선로 용량을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또 문경∼김천 등 단절구간(missing-link) 연결로 노선 간 연계성도 강화한다.
비전철 구간인 점촌∼영주 구간을 전철화하고, 인천공항철도를 급행화해 GTX 급(표정속도 시속 100㎞ 이상)으로 속도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인천공항철도가 급행화될 경우 인천공항에서 서울역 간 이동시간은 직통열차 52분→39분, 일반열차 66분→51분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번 철도망 계획안에는 철도산업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도 포함됐다.
주요 항구와 산업단지 연결사업으로는 새만금선, 부산신항 연결지선 등이 선정됐다.
정부는 또 오송에 있는 철도종합시험선로 순환선을 구축해 철도차량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동해선(강릉∼제진) 등 이미 추진 중인 남북철도 연결사업을 적기에 추진해 대륙철도 연계에 대비하기로 했다.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연구를 진행한 교통연구원은 인구감소와 코로나19 확산에도 안전하고 빠른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로 철도 이용이 증가세에 있다고 분석했다.
또 혁신도시 등으로 국토 공간이 다핵화하고, 수도권 집중 및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지방광역권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균형발전 거점을 조성하고, 주요 지점을 광역교통시설에 편리·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철도로 교통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교통연구원은 덧붙였다.
4차 철도망 계획이 완료되면 철도 연장은 4천274㎞(2019년)에서 5천137㎞(2030년)로 123%가량 늘어난다. 전철화 연장은 3천116㎞에서 3천979㎞로 128% 증가한다.
철도 수송 분담률은 2019년 11.5%에서 2030년 약 17%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차 철도망 계획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75조8천억 원, 부가가치효과 73조 원으로 추산된다. 또 46만8천 명 고용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교통연구원은 분석했다.
4차 철도망 계획안의 투자 규모는 114조7천억 원으로 이미 시행 중인 사업이 60조6천억 원, 신규사업이 54조1천억 원이다.
정부는 계획기간인 2030년까지 총 9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국고 54조9천억 원, 지방비 8조1천억 원, 민자 16조3천억 원 및 기타 10조 원으로 충당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또 전라선·동해선 등 주요 노선을 고속화하면서 전국 2시간대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 수립연구` 공청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구축계획안을 발표했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은 향후 10년간 철도망 구축의 기본방향과 노선 확충계획 등을 담고 있는 중장기 법정계획으로, 국토부는 각계 의견 수렴을 거쳐 상반기 안으로 구축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이번 4차 철도망 계획은 무엇보다 수도권 집중과 지방권 소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충에 방점을 찍었다.
이를 통해 광역경제권 주요 지점을 1시간 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권에 필적하는 광역경제권 조성 기반을 마련한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정부는 우선 기존 경부선·호남선 여유용량 등을 활용해 대구권(김천∼구미) 및 충청권 광역철도(조치원∼신탄진 및 강경∼계룡)를 추진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광역철도 신설 사업으로는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광주∼나주 광역철도, 대구∼경북 광역철도 등이 선정됐다.
이 가운데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의 경우 대전 반석∼세종청사∼조치원 구간이 신설된다. 나머지 조치원∼청주공항 구간은 기존 충북선을 활용하되, 전체 구간을 광역철도로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고속철도 이용이 불편했던 충남 홍성 등 서해안 지역에는 새 고속철도가 놓인다.
홍성 등 서해안 지역은 서울과 거리가 멀지 않지만, 교통 여건이 좋지 않아 지역민의 애로사항이 많았다.
서울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4차 철도망 계획안에는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선이 포함됐다.
서해선과 경부고속선이 연결되면 홍성에서 서울까지 이동시간이 2시간 21분에서 48분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이밖에 건설 후 수십 년이 지나 선로 상태가 좋지 않은 전라선(익산∼여수), 동해선(삼척∼강릉), 호남선(가수원∼논산)을 시속 250㎞급으로 개량해 전국 주요 거점 간 이동시간이 2시간대로 줄어들게 된다.
우선 정부는 신도시 개발 등으로 급증하는 서부권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광역급행철도(GTX) 신규 노선(김포 장기∼부천종합운동장)을 놓기로 했다.
GTX 노선은 이미 A·B·C 3개의 노선이 추진 중이라 서부권 노선은 이른바 GTX-D 노선으로도 불린다.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한 신규 광역철도 사업으로는 별내선 연장, 분당선 연장, 일산선 연장, 대장∼홍대선, 신구로선 등도 포함됐다.
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도 추진된다.
4차 철도망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경부선 등 열차 운행 집중 구간의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색∼금천구청, 경부고속선 광명∼평택 구간의 선로 용량을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또 문경∼김천 등 단절구간(missing-link) 연결로 노선 간 연계성도 강화한다.
비전철 구간인 점촌∼영주 구간을 전철화하고, 인천공항철도를 급행화해 GTX 급(표정속도 시속 100㎞ 이상)으로 속도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인천공항철도가 급행화될 경우 인천공항에서 서울역 간 이동시간은 직통열차 52분→39분, 일반열차 66분→51분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번 철도망 계획안에는 철도산업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도 포함됐다.
주요 항구와 산업단지 연결사업으로는 새만금선, 부산신항 연결지선 등이 선정됐다.
정부는 또 오송에 있는 철도종합시험선로 순환선을 구축해 철도차량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동해선(강릉∼제진) 등 이미 추진 중인 남북철도 연결사업을 적기에 추진해 대륙철도 연계에 대비하기로 했다.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연구를 진행한 교통연구원은 인구감소와 코로나19 확산에도 안전하고 빠른 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로 철도 이용이 증가세에 있다고 분석했다.
또 혁신도시 등으로 국토 공간이 다핵화하고, 수도권 집중 및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지방광역권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역교통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균형발전 거점을 조성하고, 주요 지점을 광역교통시설에 편리·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 철도로 교통체계 전환이 필요하다고 교통연구원은 덧붙였다.
4차 철도망 계획이 완료되면 철도 연장은 4천274㎞(2019년)에서 5천137㎞(2030년)로 123%가량 늘어난다. 전철화 연장은 3천116㎞에서 3천979㎞로 128% 증가한다.
철도 수송 분담률은 2019년 11.5%에서 2030년 약 17%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차 철도망 계획 사업 추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75조8천억 원, 부가가치효과 73조 원으로 추산된다. 또 46만8천 명 고용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교통연구원은 분석했다.
4차 철도망 계획안의 투자 규모는 114조7천억 원으로 이미 시행 중인 사업이 60조6천억 원, 신규사업이 54조1천억 원이다.
정부는 계획기간인 2030년까지 총 90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국고 54조9천억 원, 지방비 8조1천억 원, 민자 16조3천억 원 및 기타 10조 원으로 충당된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