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운전대에 붙여 차량 제어 가능
졸리면 운전대를 보조석으로 넘길 수도 있어
현대모비스가 그리는 미래 모빌리티(이동수단)의 모습이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미래전략 및 신기술 발표 콘퍼런스'에서 이러한 기능을 갖춘 '엠비전 POP'을 비롯해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 모델들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콘셉트 모델들은 현대모비스가 개발을 완료했거나 개발 중인 기술을 적용했다. 엠비전 POP은 5년 내 제품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2030년이 되기 전에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현대모비스는 엠비전 POP의 핵심을 '포빌리티'라고 밝혔다. 포빌리티는 폰(phone)과 모빌리티(mobility)의 합성어다.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모빌리티라는 의미다. 스마트폰과 운전대를 합치는 개념을 도입해 스마트폰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신개념 기술이라는 설명이다.
운전대에 장착한 스마트폰은 그 자체가 자동차 콕핏이 된다.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화면을 그대로 차량 전면 디스플레이에 연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 인식 및 음성 인식 기능도 쓸 수 있다.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한 '무선 조향'도 가능하다. 차체와 운전대를 무선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기능이 현실화되면 운전대를 필요에 따라 보조석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엠비전 POP에는 차량 각 바퀴에 구동, 제동, 조향, 현가 등을 통합한 모듈이 장착됐다. 이 때문에 각 바퀴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주행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고, 좌우로 이동하거나 제자리에서 유턴을 할 수도 있다. 차축 등 구동력을 전달하는 부품과 구동모터가 필요 없어진다. 차량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현대모비스는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한 목적기반 모빌리티(PBV) 콘셉트 모델인 '엠비전X'도 공개했다. '운전'이라는 개념이 아예 사라지는 시대를 대비한 콘셉트 모델이다. 이 콘셉트 모델의 가장 큰 특징은 실내 한 가운데 위치한 사각 기둥 모양의 '버티컬 콕핏'이다. 각 면이 28인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돼 있어 각 탑승자들이 서로 다른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직접 접촉하지 않고 손동작(제스처)으로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멀리서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차량을 둘러싸고 있는 유리창은 디스플레이로 변하기도 한다. 자율주행 상황에서 스포츠 경기나 공연, 영화 등을 볼 수 있다. 개인별 맞춤 제어도 가능해 탑승자들이 각각 원하는 콘텐츠를 즐길 수도 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모빌리티 콘셉트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