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노바백스 백신 신속 허가"…기술이전 연장도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바백스 CEO 만난 文대통령
3분기내 2000만회분 도입
원부자재 수급도 협력키로
백신 체력 키우는데 힘썼지만
"물량 추가 확보에는 실패" 평가
3분기내 2000만회분 도입
원부자재 수급도 협력키로
백신 체력 키우는데 힘썼지만
"물량 추가 확보에는 실패" 평가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방한 중인 스탠리 어크 노바백스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백신 기술이전 계약 연장 △신속한 백신 허가 △백신 원부자재 수급 협력 등을 논의했다.
ADVERTISEMENT
이날 정부와 노바백스는 올해 말로 예정된 기술이전 기한을 내년으로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합의문에 “계약 연장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문구를 넣었다.
노바백스 백신의 신속한 허가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전담심사팀을 신설하기로 했다. 유럽 허가와 동시에 한국에서도 허가 절차를 진행한다. 이르면 6~7월께 허가가 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노바백스 백신 사용허가 절차가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하자”고 했다.
ADVERTISEMENT
안전성과 수급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 쓰이고 있는 백신은 바이러스 벡터 방식인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인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등이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백신은 혈전 발생 논란이 끊이지 않아 국민 불안감이 큰 상황이다. 노바백스 백신은 임상 과정에서 별다른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큰 문제 없이 접종되고 있지만 모든 나라가 선호하기 때문에 수급이 쉽지 않다.
하지만 기대했던 백신 추가 확보 소식은 없었다. 의료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대통령이 처음으로 백신 제조사 CEO를 직접 만났지만 이렇다 할 소득이 없었다”며 “백신 기술 이전 기한 연장 논의도 적극 검토에 그친 건 아쉽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김우섭/강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