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 "고령화 대응이 관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104/ZA.24446988.1.jpg)
S&P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한국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해 1998년 이후 처음으로 역성장을 기록했지만 이내 성장세로 돌아서는 등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에 비해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수요 증가에 따른 제조업 호조도 언급됐다. 올해 재정적자가 확대되겠지만 2023년까지는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한국경제가 2021∼2024년 기간 연간 약 3%에 가까운 1인당 평균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 기간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6000달러 이하에서 4만2000달러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봤다.
다만 고령화에 대한 우려도 언급됐다. S&P는 "고령화에 대응한 생산성 제고가 경쟁력 유지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6%, 내년도 전망치는 3.1%로 제시했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이후 이를 유지해오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S&P의 신용등급 유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기재부는 "S&P의 국가신용등급 유지 결정은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의 어려움 속에서 우리 경제에 대한 대외신뢰를 재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이후 최근까지 113개국의 국가신용등급 또는 전망이 하락한 가운데, 한국의 등급이 유지된 것은 큰 의미를 지닌다"고 덧붙였다.
강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