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글로벌모터스에서 열린 준공 기념행사에서 참석자들과 리모컨을 누르며 공장 가동 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9일 오후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글로벌모터스에서 열린 준공 기념행사에서 참석자들과 리모컨을 누르며 공장 가동 세레머니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광주 빛그린산단 내 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다양한 지원을 통해 상생형 일자리를 우리 경제의 또 하나의 성공 전략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제1호 노사 상생형 지역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모델 기업이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사회적 대화·타협을 거쳐 2019년 1월 광주형 일자리를 위한 투자 협약을 마쳤다. 오는 9월부터는 연 7만대 규모의 소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 양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광주시민과 지자체, 노사가 사회적 대타협으로 탄생시킨 광주의 미래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민주주의 도시 광주는 상생이라는 이름을 더하게 됐다"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힘을 합하면 해외로 향하던 기업의 발길을 묶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일자리도 아쉬운 지역주민에게 희망이 됐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역경제에도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900개의 직접 고용에 더해 1만1000개의 간접 고용을 추가 창출해 지역주민의 소득을 높이고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광주형 일자리는 곳곳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며 "상생형 일자리가 밀양, 대구, 구미, 횡성, 군산, 신안까지 확산됐고, 61조원의 투자와 13만개 고용 창출을 예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찾으려는 노력이 전국 각지에서 계속되고 있고, 몇 곳은 올해 안에 협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 정신은 지역 균형 뉴딜로도 이어졌다"며 "대한민국은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통해 얻은 자신감으로 함께 더 높이 도약하는 포용 혁신 국가를 위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