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상생형 일자리, 또 하나의 성공 전략으로 키우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상생형 일자리' 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 준공식 참석
29일 광주 빛그린산단 내 광주글로벌모터스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는 다양한 지원을 통해 상생형 일자리를 우리 경제의 또 하나의 성공 전략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제1호 노사 상생형 지역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모델 기업이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사회적 대화·타협을 거쳐 2019년 1월 광주형 일자리를 위한 투자 협약을 마쳤다. 오는 9월부터는 연 7만대 규모의 소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 양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광주시민과 지자체, 노사가 사회적 대타협으로 탄생시킨 광주의 미래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민주주의 도시 광주는 상생이라는 이름을 더하게 됐다"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힘을 합하면 해외로 향하던 기업의 발길을 묶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일자리도 아쉬운 지역주민에게 희망이 됐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역경제에도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900개의 직접 고용에 더해 1만1000개의 간접 고용을 추가 창출해 지역주민의 소득을 높이고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광주형 일자리는 곳곳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며 "상생형 일자리가 밀양, 대구, 구미, 횡성, 군산, 신안까지 확산됐고, 61조원의 투자와 13만개 고용 창출을 예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찾으려는 노력이 전국 각지에서 계속되고 있고, 몇 곳은 올해 안에 협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 정신은 지역 균형 뉴딜로도 이어졌다"며 "대한민국은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통해 얻은 자신감으로 함께 더 높이 도약하는 포용 혁신 국가를 위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광주글로벌모터스는 제1호 노사 상생형 지역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모델 기업이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사회적 대화·타협을 거쳐 2019년 1월 광주형 일자리를 위한 투자 협약을 마쳤다. 오는 9월부터는 연 7만대 규모의 소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 양산체제를 갖출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광주시민과 지자체, 노사가 사회적 대타협으로 탄생시킨 광주의 미래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민주주의 도시 광주는 상생이라는 이름을 더하게 됐다"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문 대통령은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힘을 합하면 해외로 향하던 기업의 발길을 묶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하나의 일자리도 아쉬운 지역주민에게 희망이 됐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역경제에도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900개의 직접 고용에 더해 1만1000개의 간접 고용을 추가 창출해 지역주민의 소득을 높이고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광주형 일자리는 곳곳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며 "상생형 일자리가 밀양, 대구, 구미, 횡성, 군산, 신안까지 확산됐고, 61조원의 투자와 13만개 고용 창출을 예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로운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찾으려는 노력이 전국 각지에서 계속되고 있고, 몇 곳은 올해 안에 협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 정신은 지역 균형 뉴딜로도 이어졌다"며 "대한민국은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통해 얻은 자신감으로 함께 더 높이 도약하는 포용 혁신 국가를 위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용현 한경닷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