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김천, 혁신도시 갈등 끝냈다…국토안전관리원 교육센터 이전 상생안 합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센터는 김천으로 이전하고
진주엔 부설기관·기능 등 확대
진주엔 부설기관·기능 등 확대

경상남도와 진주시는 국토안전관리원 교육센터를 경북 김천으로 이전하는 대신 진주 국토안전관리원 센터 기능을 확대하고 부설기관을 설립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상생안이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교육센터를 김천으로 옮기면서 진주에 지원되는 상생안은 모두 세 가지다.

지역 대학과 연계한 현장실습 과정도 확대한다. 현재 경상국립대에서 운영 중인 시설안전공학 교육을 부산·울산·경남 소재 다수 대학으로 확대하고 현장 실습은 건립 예정인 국토안전실증센터에서 진행한다.
김천으로 이전하는 인재교육센터는 시설물 안전점검 등 성능평가와 지하안전영향평가 등 시설 및 건설 분야 기술자 교육을 담당하는 법정교육기관으로 매년 6000여 명이 교육을 받는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지난해 한국시설안전공단과 한국건설관리공사가 통합해 출범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이 한국건설관리공사 본사가 없어진 김천으로 교육센터를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양 지역 갈등이 심해졌다.
경상남도 관계자는 “이번 상생안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혁신도시의 지방 이전 이후 혁신도시 기관 통폐합에 따른 지역 갈등의 위기를 기회로 만든 좋은 선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주=김해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