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중앙임상위 "11월 코로나 집단면역 어려워…백신 매년 맞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거리두기 종료, 오지 않을 것"
"65세 고령자, 감염 예방률 50% 미만으로 떨어져"
"중증 환자와 사망 줄이는 피해 최소화에 중점 둬야"
"65세 고령자, 감염 예방률 50% 미만으로 떨어져"
"중증 환자와 사망 줄이는 피해 최소화에 중점 둬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이하 중앙임상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면역이 이뤄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화되고,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처럼 주기적으로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명돈 중앙임상위 위원장은 3일 오전 국립중앙의료원 미 공병단 신축부지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접종률 70%에 도달한다고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거리두기가 종료되는 일은 저절로 오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오는 11월까지 전 인구의 7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 면역력을 확보하면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오 위원장은 집단면역 70%에 대해 이론적으로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R0)가 3이라는 학술 데이터에서 출발한다고 설명했다. 한 사람의 감염자가 3명, 그다음에 9명으로 거듭 증가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선 3명 중 최소 2명(68%) 이상이 면역을 보유하면 환자 수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
성인 백신 접종률을 90%로 가정해도 전체 인구의 백신 접종률은 76.5%다. 백신 감염 예방효과가 95%면 인구의 75%가 면역을 갖게 돼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오 위원장은 "문제는 백신 가운데 감염 예방효과가 95% 이상인 백신이 아직 없다는 것으로, 백신 효과는 백신 접종자 본인에게 나타나는 발병 예방효과를 말한다"며 "집단면역을 달성하기 위한 면역은 발병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2차 감염 예방효과다. 통상 감염 예방효과는 발병 예방효과보다 더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영국의 2차 감염 예방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1회 접종 시 가족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예방효과는 대략 40~50%에 그친다.
집단면역 이론의 기본인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 3도 확정된 숫자인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오 위원장은 "바이러스 전파를 결정하는 요소 가운데 접촉 기회, 모임의 크기와 행위 등 믹싱 패턴은 상황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0.7~6.3까지 큰 범위에 걸쳐 있다"며 "그런데도 재생산지수 3과 집단면역 70% 수치가 아무런 의심 없이 불변의 진리처럼 통용됐다"고 꼬집었다.
이어 "설령 집단면역에 도달하더라도 감염 확산 위험이 곧바로 제로(0)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섣불리 거리두기를 완화하면 유행이 다시 시작할 수 있다. 고령층과 고위험군은 집단면역 달성 이후에도 계속 위험한 상황에 놓여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바이러스 근절이 힘들다고 보는 근거로는 △약해지는 면역력 △면역 회피 바이러스 출현 △접종 후 2차 감염 차단 △백신 접종률 △자연계 바이러스 숙주 등을 지목했다.
오 위원장은 "면역 지속기간은 실험실 연구에서 적어도 6개월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65세 이상 고령자는 면역력이 약해 감염 예방률이 5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돌파 감염(breakthrough infection)에 대해선 "어느 한 나라가 집단면역에 도달해도 주변국에서 그렇지 못하면 결국 변이가 유입돼 발생할 수 있다"며 "백신 접종 선두 달리는 이스라엘도 최근 인도 변이주가 발견돼 오늘부터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7개국 입국자를 14일간 격리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끝으로 오 위원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해 우리는 코로나와 더불어 살아가야 할 것이고, 결국 독감처럼 매년 코로나 백신 맞게 될 것"이라며 "과학적 예측에 근거한 백신 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이 목표가 아니라 중증 환자와 사망 줄이는 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
오명돈 중앙임상위 위원장은 3일 오전 국립중앙의료원 미 공병단 신축부지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접종률 70%에 도달한다고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거리두기가 종료되는 일은 저절로 오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오는 11월까지 전 인구의 7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 면역력을 확보하면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오 위원장은 집단면역 70%에 대해 이론적으로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R0)가 3이라는 학술 데이터에서 출발한다고 설명했다. 한 사람의 감염자가 3명, 그다음에 9명으로 거듭 증가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선 3명 중 최소 2명(68%) 이상이 면역을 보유하면 환자 수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
성인 백신 접종률을 90%로 가정해도 전체 인구의 백신 접종률은 76.5%다. 백신 감염 예방효과가 95%면 인구의 75%가 면역을 갖게 돼 집단면역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오 위원장은 "문제는 백신 가운데 감염 예방효과가 95% 이상인 백신이 아직 없다는 것으로, 백신 효과는 백신 접종자 본인에게 나타나는 발병 예방효과를 말한다"며 "집단면역을 달성하기 위한 면역은 발병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시키는 2차 감염 예방효과다. 통상 감염 예방효과는 발병 예방효과보다 더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영국의 2차 감염 예방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1회 접종 시 가족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예방효과는 대략 40~50%에 그친다.
집단면역 이론의 기본인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 3도 확정된 숫자인지도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오 위원장은 "바이러스 전파를 결정하는 요소 가운데 접촉 기회, 모임의 크기와 행위 등 믹싱 패턴은 상황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0.7~6.3까지 큰 범위에 걸쳐 있다"며 "그런데도 재생산지수 3과 집단면역 70% 수치가 아무런 의심 없이 불변의 진리처럼 통용됐다"고 꼬집었다.
이어 "설령 집단면역에 도달하더라도 감염 확산 위험이 곧바로 제로(0)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섣불리 거리두기를 완화하면 유행이 다시 시작할 수 있다. 고령층과 고위험군은 집단면역 달성 이후에도 계속 위험한 상황에 놓여있게 된다"고 덧붙였다.
바이러스 근절이 힘들다고 보는 근거로는 △약해지는 면역력 △면역 회피 바이러스 출현 △접종 후 2차 감염 차단 △백신 접종률 △자연계 바이러스 숙주 등을 지목했다.
오 위원장은 "면역 지속기간은 실험실 연구에서 적어도 6개월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65세 이상 고령자는 면역력이 약해 감염 예방률이 50%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돌파 감염(breakthrough infection)에 대해선 "어느 한 나라가 집단면역에 도달해도 주변국에서 그렇지 못하면 결국 변이가 유입돼 발생할 수 있다"며 "백신 접종 선두 달리는 이스라엘도 최근 인도 변이주가 발견돼 오늘부터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7개국 입국자를 14일간 격리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끝으로 오 위원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해 우리는 코로나와 더불어 살아가야 할 것이고, 결국 독감처럼 매년 코로나 백신 맞게 될 것"이라며 "과학적 예측에 근거한 백신 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이 목표가 아니라 중증 환자와 사망 줄이는 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은빛 한경닷컴 기자 silverl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