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집단면역 어렵다…독감처럼 함께 살아야" [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 기자회견서 "코로나 토착화" 예견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서울대 감염내과 교수)은 3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토착화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효과가 95%라는 건 (접종자의)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이지 (타인에) 전파를 예방하는 효과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코로나19 백신이 타인에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2차 감염을 차단하는 효과는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보다는 크게 떨어질 수 있다는 것.
오 교수는 "덴마크 연구결과 보면 1차 유행때 감염된 사람은 6개월까지 면역이 유지돼 재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며 "중화항체와 면역세포가 6개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오 위원장은 "결국 독감처럼 백신을 맞으며 코로나19와 함께 살아야 한다"며 "국가의 백신접종 전략은 바이러스 근절에서 피해 최소화로, 중증화 위험도가 높은 고령층과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데 집중하는 식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지금 당장 정부의 백신 접종전략을 바꿔야 하느냐는 질의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오 위원장은 "집단면역 이론에 비춰볼 때 학술적으로 매우 어려운 목표라는 것"이라고 부연한 뒤 "정부가 '인구 70% 이상 접종'을 목표로 하는 것 외에 집단면역을 위한 어떠한 목표를 갖고 있는지 파악하지 못해 그 부분은 답변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조준혁 한경닷컴 기자 pressc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