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도사' 조재희 이사장 "폴리텍大, 하이테크 인력 年 1만명 양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시스템 AI 기반으로 개편
4차 산업혁명 손발 되게 할 것
여성·고령자도 일할 수 있는
'기술교육 허브' 플랫폼 구축
신산업·신기술 훈련 대폭 확대
4차 산업혁명 손발 되게 할 것
여성·고령자도 일할 수 있는
'기술교육 허브' 플랫폼 구축
신산업·신기술 훈련 대폭 확대
“올해 1000명 수준인 하이테크 과정을 내년 1만 명 규모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한국폴리텍대가 4차 산업혁명, 나아가 인공지능(AI) 혁명의 ‘손발’이 되겠습니다.”
조재희 한국폴리텍대 이사장(사진)은 3일 기자와 만나자마자 AI 얘기부터 꺼냈다. 지난 3월 8일 취임하기 전부터 한국폴리텍대가 해야 할 일을 구상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3월18일자 한국경제신문을 꺼냈다. 바로 전날 내로라하는 국내외 AI 전문가, 정보기술(IT) 기업들과 함께 연 ‘AI 미래포럼’이 보도된 지면이었다.
조 이사장은 “한경 AI포럼을 보고 산업 환경이 격변하는 시대에 매우 시의적절한 행사라는 생각이 들면서 아쉽기도 했다”며 “포럼 준비단계에서부터 한국폴리텍대와 협의가 됐다면 더욱 의미 있는 행사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KT, 구글코리아 등 업계는 물론 서울대, KAIST 등 AI 혁명의 ‘두뇌’를 말하는 전문가들이 다 모였지만, AI 혁명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뿌리산업부터 하이테크 기술 인력까지 모두 양성하는 폴리텍대가 참여했어야 했다는 얘기다. 조 이사장이 취임 후 첫 언론 인터뷰 매체로 한경을 선택한 배경이기도 하다.
취임한 지 이제 약 두 달, 조 이사장은 한국폴리텍대 안팎에서 ‘AI 전도사’로 통한다.
그는 “AI는 단순히 기술적 차원을 넘어 모든 산업 영역에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발하는 그야말로 혁명 그 자체”라며 “자동차는 테슬라, 부동산은 직방, 서비스업 중에서는 배달의민족 등 기존 기술의 AI 접목은 산업 구조는 물론 고용 환경도 바꿔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폴리텍대는 이러한 산업의 전환점에서 AI를 활용한 산업 또는 기업에서 바로 일할 수 있는 인재를 대거 양성하는 산실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폴리텍대는 지난달 AI 기반의 교육 시스템 개편을 위한 혁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당장 올해 2학기부터 메카트로닉스과 등 시범학과를 운영하고 내년부터는 교육훈련 시스템 전반을 개편할 계획이다. 매년 100명가량 퇴직하는 교수 충원도 기존 학과가 아니라 신산업 위주로 진행할 예정이다.
조 이사장이 AI 못지않게 강조하는 한국폴리텍대의 역할은 ‘일자리 복지 허브’다.
고용노동부 산하 국책기능대학인 한국폴리텍대가 과거에는 금형, 용접 등 뿌리산업 현장 인력을 주로 양성해 왔다면 이제는 대졸 미취업자와 중장년, 여성, 고령자까지 아우르는 ‘기술교육 허브’가 돼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조 이사장은 “사람이 아프면 누구나 병원에 가듯이 일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일할 수 있도록 생애 전주기 직업훈련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조 이사장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훈련 대상은 고학력 청년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하이테크 과정’이다. 2018년 545명으로 시작해 올해 양성 인원은 1095명으로 늘었다. 이를 내년에는 열 배가량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분당·광명융합기술교육원은 물론 전 캠퍼스의 대폭적인 신산업·신기술 분야 훈련 확충을 통해서다.
조 이사장은 취임에 앞서 ‘낙하산 논란’이 일기도 했다. 내부 출신이 아닌 데다 지난해 4월 21대 총선에서 서울 송파갑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이력 때문이다.
그는 “1999년 김대중 정부 때 청와대 ‘삶의질 기획단’ 기획조정실장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고용노동·IT 분야를 떠나본 적이 없다”고 논란을 일축했다. 이어 “교내 노조에서 취임 선물로 운동화를 줬는데, 폴리텍대 혁신을 위해 발로 뛰는 이사장이 되겠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조재희 한국폴리텍대 이사장(사진)은 3일 기자와 만나자마자 AI 얘기부터 꺼냈다. 지난 3월 8일 취임하기 전부터 한국폴리텍대가 해야 할 일을 구상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3월18일자 한국경제신문을 꺼냈다. 바로 전날 내로라하는 국내외 AI 전문가, 정보기술(IT) 기업들과 함께 연 ‘AI 미래포럼’이 보도된 지면이었다.
조 이사장은 “한경 AI포럼을 보고 산업 환경이 격변하는 시대에 매우 시의적절한 행사라는 생각이 들면서 아쉽기도 했다”며 “포럼 준비단계에서부터 한국폴리텍대와 협의가 됐다면 더욱 의미 있는 행사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 KT, 구글코리아 등 업계는 물론 서울대, KAIST 등 AI 혁명의 ‘두뇌’를 말하는 전문가들이 다 모였지만, AI 혁명이 실제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뿌리산업부터 하이테크 기술 인력까지 모두 양성하는 폴리텍대가 참여했어야 했다는 얘기다. 조 이사장이 취임 후 첫 언론 인터뷰 매체로 한경을 선택한 배경이기도 하다.
취임한 지 이제 약 두 달, 조 이사장은 한국폴리텍대 안팎에서 ‘AI 전도사’로 통한다.
그는 “AI는 단순히 기술적 차원을 넘어 모든 산업 영역에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발하는 그야말로 혁명 그 자체”라며 “자동차는 테슬라, 부동산은 직방, 서비스업 중에서는 배달의민족 등 기존 기술의 AI 접목은 산업 구조는 물론 고용 환경도 바꿔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폴리텍대는 이러한 산업의 전환점에서 AI를 활용한 산업 또는 기업에서 바로 일할 수 있는 인재를 대거 양성하는 산실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폴리텍대는 지난달 AI 기반의 교육 시스템 개편을 위한 혁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당장 올해 2학기부터 메카트로닉스과 등 시범학과를 운영하고 내년부터는 교육훈련 시스템 전반을 개편할 계획이다. 매년 100명가량 퇴직하는 교수 충원도 기존 학과가 아니라 신산업 위주로 진행할 예정이다.
조 이사장이 AI 못지않게 강조하는 한국폴리텍대의 역할은 ‘일자리 복지 허브’다.
고용노동부 산하 국책기능대학인 한국폴리텍대가 과거에는 금형, 용접 등 뿌리산업 현장 인력을 주로 양성해 왔다면 이제는 대졸 미취업자와 중장년, 여성, 고령자까지 아우르는 ‘기술교육 허브’가 돼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조 이사장은 “사람이 아프면 누구나 병원에 가듯이 일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일할 수 있도록 생애 전주기 직업훈련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조 이사장이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훈련 대상은 고학력 청년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하이테크 과정’이다. 2018년 545명으로 시작해 올해 양성 인원은 1095명으로 늘었다. 이를 내년에는 열 배가량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분당·광명융합기술교육원은 물론 전 캠퍼스의 대폭적인 신산업·신기술 분야 훈련 확충을 통해서다.
조 이사장은 취임에 앞서 ‘낙하산 논란’이 일기도 했다. 내부 출신이 아닌 데다 지난해 4월 21대 총선에서 서울 송파갑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이력 때문이다.
그는 “1999년 김대중 정부 때 청와대 ‘삶의질 기획단’ 기획조정실장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고용노동·IT 분야를 떠나본 적이 없다”고 논란을 일축했다. 이어 “교내 노조에서 취임 선물로 운동화를 줬는데, 폴리텍대 혁신을 위해 발로 뛰는 이사장이 되겠다”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