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尹, 5·7·9월 등판 저울질…처가 의혹은 아킬레스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치人 탐구
대선 후보로 떠오른 윤석열
(下) 정계 진출 시나리오와 과제
대선 후보로 떠오른 윤석열
(下) 정계 진출 시나리오와 과제
“국민을 위해 어떻게 봉사할지 천천히 생각해 보겠습니다.”
지난해 10월 2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장. 밤 12시를 훌쩍 넘긴 시간에 나온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의 발언에 여의도 정가가 ‘발칵’ 뒤집어졌다. ‘퇴임 후 봉사 활동에 정치도 들어가냐’는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의 추가 질문에 윤 전 총장은 “그것은 지금 말씀드리기가 어렵다”고 답했다. ‘긍정도 부정도’ 아니었지만 정치권은 정계 진출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받아들였다. 김 의원은 “윤 전 총장과 짜고친 고스톱이 아니었다. 전혀 예상치 못했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이 언제, 어떤 경로로 정치권에 진출할지에 대해선 여러 관측이 흘러나온다. 정치권의 예상 시기는 △5월 △7월 △9월 등 대략 세 가지다. 조기 등판을 점치는 전문가들은 “잠행 기간이 길면 국민들의 관심도 멀어진다”고 이유를 댄다. 기성 정당에 가입하지 않더라도 강연, 인터뷰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대통령 후보로서 비전과 철학을 알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확신이 서면 5월 중순 정도에 자기 의사를 나타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7월을 얘기하는 사람도 많다. 중도 사퇴 전 검찰총장 임기(7월 24일)까지는 정치권에서 떨어져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정치를 위해 총장에서 물러났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7월은 여권 대선 후보들의 경선이 시작되는 시기다. 반면 최대한 시간을 끌다 정치판에 뛰어들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때가 대선 출마를 위한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9월이다.
윤 전 총장의 부인과 장모에 대한 의혹들은 인사청문회와 국정감사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도마에 올랐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윤 총장의 지휘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사하라고 검찰에 수사지휘권을 행사한 건도 있다. 당시 거론된 의혹은 △김씨가 기획한 각종 전시회의 기업 협찬금 △도이치모터스 관련 주가 조작 등에 김씨 관여 의혹 △최씨의 요양병원 운영 관련 위법 행위 등이다. 검찰이 뒤졌지만 구체적 범죄 혐의는 밝혀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들어선 최모씨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연일 쏟아져 나온다. 현재 제기된 건 △2013~2016년 경기 성남 도촌동 토지(55만3000㎡) 매매의 농지법 위반 및 차명거래 의혹 △2006~2014년 경기 양평 일대 임야(1만6550㎡)와 농지 5필지(2965㎡) 매매의 농지법 위반 및 편법 증여 혐의 △2001~2005년 충남 아산 신도시 땅 투기 의혹 등 세 가지다.
최씨가 농사를 직접 짓지 않으면서 농지를 포함한 부동산에 투자,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공통점이 있다. 최씨는 이 과정에서 당시 동업자들과 법정다툼도 벌였다. 야권에선 ‘LH(한국토지주택공사)사태’ 이후 부동산 투기에 대한 여론이 악화된 상황이어서 윤 전 총장 대권가도에 가장 큰 ‘아킬레스건’이라고 분석한다. 최씨의 법률대리인인 손경식 변호사는 “(정부·지방자치단체의) 개발 고시 후 공개 입찰을 통해 매입한 것으로 부당하게 얻은 이득이 아니다”며 “이미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들이 본인들에게 유리하도록 일방적인 의혹들을 제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윤 전 총장이 정계 진출 후 상당 기간 국민의힘에 입당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야권에선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처럼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 윤 전 총장과 국민의힘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있다.
정치 자금과 조직 운영도 윤 전 총장에겐 부담이다. 4년 전 19대 대선 때 문재인 후보(더불어민주당) 500억원, 홍준표 후보(자유한국당) 420억원 등 각각 수백억원의 자금을 썼다. 대부분 정당 보조금이나 정당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충당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권의 네거티브 공세를 홀로 막기는 역부족”이라며 “제3의 길보다는 야당에 입당하는 편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좌동욱/안효주/성상훈 기자
지난해 10월 23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장. 밤 12시를 훌쩍 넘긴 시간에 나온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의 발언에 여의도 정가가 ‘발칵’ 뒤집어졌다. ‘퇴임 후 봉사 활동에 정치도 들어가냐’는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의 추가 질문에 윤 전 총장은 “그것은 지금 말씀드리기가 어렵다”고 답했다. ‘긍정도 부정도’ 아니었지만 정치권은 정계 진출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받아들였다. 김 의원은 “윤 전 총장과 짜고친 고스톱이 아니었다. 전혀 예상치 못했다”고 말했다.
정계 진출 시기·방법 철저히 함구
그로부터 6개월이 흘렀지만, 윤 전 총장은 여전히 정계 진출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윤 전 총장의 측근들도 이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정치권에선 ‘의도된 전략’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작 윤 전 총장 본인은 당시 국감 발언에 대해 “백수가 돼 강아지 세 마리를 보면서 지낼 것이란 이야기를 어떻게 국감장에서 하느냐”고 지인들에 털어놨다(《구수한 윤석열》)고 한다. 그럼에도 정치권에서는 윤 전 총장의 대선 출마를 ‘상수(常數)’로 본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특정 시점에 잠행을 끝내고 정계 진출을 선언하면 극적 효과는 배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윤 전 총장이 언제, 어떤 경로로 정치권에 진출할지에 대해선 여러 관측이 흘러나온다. 정치권의 예상 시기는 △5월 △7월 △9월 등 대략 세 가지다. 조기 등판을 점치는 전문가들은 “잠행 기간이 길면 국민들의 관심도 멀어진다”고 이유를 댄다. 기성 정당에 가입하지 않더라도 강연, 인터뷰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대통령 후보로서 비전과 철학을 알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확신이 서면 5월 중순 정도에 자기 의사를 나타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7월을 얘기하는 사람도 많다. 중도 사퇴 전 검찰총장 임기(7월 24일)까지는 정치권에서 떨어져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정치를 위해 총장에서 물러났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7월은 여권 대선 후보들의 경선이 시작되는 시기다. 반면 최대한 시간을 끌다 정치판에 뛰어들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때가 대선 출마를 위한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9월이다.
쏟아지는 처가 의혹
일각에선 윤 전 총장의 정계 진출이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계속 나온다. 윤 전 총장의 부인 김건희 씨와 장모 최모씨에 대해 쏟아져 나오는 각종 의혹이 대권가도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여권에선 ‘윤나땡’이라는 속어도 종종 들린다. “윤석열이 야권 대선 후보로 나오면 땡큐”라는 의미다.윤 전 총장의 부인과 장모에 대한 의혹들은 인사청문회와 국정감사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도마에 올랐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윤 총장의 지휘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사하라고 검찰에 수사지휘권을 행사한 건도 있다. 당시 거론된 의혹은 △김씨가 기획한 각종 전시회의 기업 협찬금 △도이치모터스 관련 주가 조작 등에 김씨 관여 의혹 △최씨의 요양병원 운영 관련 위법 행위 등이다. 검찰이 뒤졌지만 구체적 범죄 혐의는 밝혀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들어선 최모씨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연일 쏟아져 나온다. 현재 제기된 건 △2013~2016년 경기 성남 도촌동 토지(55만3000㎡) 매매의 농지법 위반 및 차명거래 의혹 △2006~2014년 경기 양평 일대 임야(1만6550㎡)와 농지 5필지(2965㎡) 매매의 농지법 위반 및 편법 증여 혐의 △2001~2005년 충남 아산 신도시 땅 투기 의혹 등 세 가지다.
최씨가 농사를 직접 짓지 않으면서 농지를 포함한 부동산에 투자, 부당 이득을 챙겼다는 공통점이 있다. 최씨는 이 과정에서 당시 동업자들과 법정다툼도 벌였다. 야권에선 ‘LH(한국토지주택공사)사태’ 이후 부동산 투기에 대한 여론이 악화된 상황이어서 윤 전 총장 대권가도에 가장 큰 ‘아킬레스건’이라고 분석한다. 최씨의 법률대리인인 손경식 변호사는 “(정부·지방자치단체의) 개발 고시 후 공개 입찰을 통해 매입한 것으로 부당하게 얻은 이득이 아니다”며 “이미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들이 본인들에게 유리하도록 일방적인 의혹들을 제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박근혜 사면되면 야권 분열
윤 전 총장이 그동안 벌여온 소위 ‘적폐 수사’도 야권 통합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 있다. 윤 전 총장은 박영수 특검의 수사팀장을 맡아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했다. 현 정권 출범 후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검찰총장으로 있으면서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 적폐 수사를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많은 야권 인사가 구속되거나 유죄를 받았다.이로 인해 윤 전 총장이 정계 진출 후 상당 기간 국민의힘에 입당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야권에선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처럼 대선이 임박한 시점에 윤 전 총장과 국민의힘 후보 간 단일화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도 있다.
정치 자금과 조직 운영도 윤 전 총장에겐 부담이다. 4년 전 19대 대선 때 문재인 후보(더불어민주당) 500억원, 홍준표 후보(자유한국당) 420억원 등 각각 수백억원의 자금을 썼다. 대부분 정당 보조금이나 정당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충당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여권의 네거티브 공세를 홀로 막기는 역부족”이라며 “제3의 길보다는 야당에 입당하는 편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좌동욱/안효주/성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