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에 외교 손짓하며 "기회 잡아라" 주문…동맹과는 협력강조(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블링컨, G7서 새 대북정책 외교전 가동…"외교 관여 결정은 북한 몫" 공 넘겨
한미·미일·한미일 회담 등 연쇄 접촉…G7 만찬 의제로도 북한 등장
북 도발방지·대화재개 묘책 '부심'…"수일, 수개월 지켜보겠다" 호흡 가다듬어 새 대북정책 검토를 끝낸 미국이 멈춰선 북미 비핵화 협상의 시계를 다시 돌리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의 대북정책 초점이 외교에 있다고 강조하며 북한에 '기회를 잡으라'고 외교적 관여로의 복귀를 촉구하고 동맹인 한국과 일본은 물론 국제사회의 협력을 확대하려는 외교전도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양상이다.
지난달 30일 조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정책 검토 완료를 선언한 지 사흘 만인 3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가 그 첫 무대가 됐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새 대북정책이 외교에 초점을 맞춘 것이자 북한과 외교를 모색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외교적으로 관여할 기회를 잡기를 바란다"고 북한의 호응을 주문했다.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실용적이고 조정된 접근을 통해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을 골자로 한 대북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는 과거 단계적 해법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북한은 잇단 성명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정책 기조에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하고 "매우 심각한 상황 직면", "상응한 조치 강구" 등 도발 가능성까지 열어두며 반발한 상황이다.
블링컨 장관의 이날 발언은 외교와 대화를 앞세워 북한을 크게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북한의 협상 테이블 복귀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여겨진다.
블링컨 장관은 수일, 수개월 내 북한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겠다면서 관여 여부 결정이 북한에 달렸다고도 언급했다.
이는 외교적 관여 재개를 둘러싼 공을 북한에 넘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전날 한 방송에 출연해 미국의 대북정책은 적대가 아닌 해결을 목표로 한 것이라며 대화의 손길을 내밀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일본, 한국 순으로 양자 회담을 하고 북한을 주요 의제로 다루는 등 동맹과 추가 조율에도 나섰다.
정의용 외교장관은 블링컨 장관이 빨리 만나자고 요청해 영국 방문을 앞당긴 것으로 알려졌다.
블링컨 장관은 정 장관과 회담에서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공유했고, 정 장관은 검토 결과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향으로 결정된 것을 환영했다.
미국의 검토 결과에 한국 입장이 상당 부분 반영됐다는 평가가 있지만 구체적인 작동 방식과 시기, 제재 완화, 종전선언, 남북관계 개선, 북한 인권 문제 등을 놓고 한미 간 추가 조율이 필요할 수 있다.
일본은 그동안 최우선 과제인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지연 등 협상 장기화 우려에 따라 단계적 접근법을 경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이행을 강조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미국의 검토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미 국무부 보도자료에는 한미, 미일 외교장관이 회담에서 각각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한미일 3국의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는 내용이 공히 포함돼 있다.
비록 한일관계가 역사 문제로 인해 극도로 냉각됐지만 북한 등 현안 해결을 위해 3국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미국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오는 5일에는 한미일 3국과 한일 양자 외교장관 회담도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이 성사되면 정 장관이 지난 2월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 외무상을 만나는 자리가 된다.
이날 저녁 열리는 G7 환영 만찬의 주제가 북한과 이란인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서방 세계 강대국의 모임인 G7에서 북한을 주요 의제로 다루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AFP통신은 블링컨 장관의 첫 양자회담 일정이 일본과 한국임을 언급하며 "블링컨 장관이 새 대북정책을 제시함으로써 대면 형태로는 2년만에 열린 G7 회담을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순순히 대화 테이블로 나오길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만만치 않다.
미 고위 당국자는 지난달 30일 워싱턴포스트에 "우리가 고려하는 것이 북한의 도발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이 당국자는 기존의 대북 제재 압박을 유지할 것이라는 태도를 취했는데, 이는 미국이 북한에 섣불리 당근책부터 제시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당분간 북미 간 긴장을 감수하더라도 북한의 도발이나 벼랑 끝 전술에 말려들지 않고 원칙을 지키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의중이 담긴 것으로 해석됐다.
블링컨 장관이 이날 회견에서 북한의 대응을 지켜보겠다고 한 기간을 '수개월'까지로도 언급한 것도 조급해하지 않고 호흡을 가다듬으며 대북 문제에 임하겠다는 인식의 결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연합뉴스
한미·미일·한미일 회담 등 연쇄 접촉…G7 만찬 의제로도 북한 등장
북 도발방지·대화재개 묘책 '부심'…"수일, 수개월 지켜보겠다" 호흡 가다듬어 새 대북정책 검토를 끝낸 미국이 멈춰선 북미 비핵화 협상의 시계를 다시 돌리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의 대북정책 초점이 외교에 있다고 강조하며 북한에 '기회를 잡으라'고 외교적 관여로의 복귀를 촉구하고 동맹인 한국과 일본은 물론 국제사회의 협력을 확대하려는 외교전도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양상이다.
지난달 30일 조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정책 검토 완료를 선언한 지 사흘 만인 3일(현지시간) 영국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가 그 첫 무대가 됐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새 대북정책이 외교에 초점을 맞춘 것이자 북한과 외교를 모색하는 것이라며 "북한이 외교적으로 관여할 기회를 잡기를 바란다"고 북한의 호응을 주문했다.
미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실용적이고 조정된 접근을 통해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는 것을 골자로 한 대북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는 과거 단계적 해법과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북한은 잇단 성명을 통해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정책 기조에 노골적인 불만을 표시하고 "매우 심각한 상황 직면", "상응한 조치 강구" 등 도발 가능성까지 열어두며 반발한 상황이다.
블링컨 장관의 이날 발언은 외교와 대화를 앞세워 북한을 크게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북한의 협상 테이블 복귀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여겨진다.
블링컨 장관은 수일, 수개월 내 북한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겠다면서 관여 여부 결정이 북한에 달렸다고도 언급했다.
이는 외교적 관여 재개를 둘러싼 공을 북한에 넘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전날 한 방송에 출연해 미국의 대북정책은 적대가 아닌 해결을 목표로 한 것이라며 대화의 손길을 내밀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일본, 한국 순으로 양자 회담을 하고 북한을 주요 의제로 다루는 등 동맹과 추가 조율에도 나섰다.
정의용 외교장관은 블링컨 장관이 빨리 만나자고 요청해 영국 방문을 앞당긴 것으로 알려졌다.
블링컨 장관은 정 장관과 회담에서 대북정책 검토 결과를 공유했고, 정 장관은 검토 결과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방향으로 결정된 것을 환영했다.
미국의 검토 결과에 한국 입장이 상당 부분 반영됐다는 평가가 있지만 구체적인 작동 방식과 시기, 제재 완화, 종전선언, 남북관계 개선, 북한 인권 문제 등을 놓고 한미 간 추가 조율이 필요할 수 있다.
일본은 그동안 최우선 과제인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지연 등 협상 장기화 우려에 따라 단계적 접근법을 경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이행을 강조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미국의 검토 결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미 국무부 보도자료에는 한미, 미일 외교장관이 회담에서 각각 한반도 비핵화를 향한 한미일 3국의 협력 의지를 강조했다는 내용이 공히 포함돼 있다.
비록 한일관계가 역사 문제로 인해 극도로 냉각됐지만 북한 등 현안 해결을 위해 3국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미국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오는 5일에는 한미일 3국과 한일 양자 외교장관 회담도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이 성사되면 정 장관이 지난 2월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 외무상을 만나는 자리가 된다.
이날 저녁 열리는 G7 환영 만찬의 주제가 북한과 이란인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서방 세계 강대국의 모임인 G7에서 북한을 주요 의제로 다루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AFP통신은 블링컨 장관의 첫 양자회담 일정이 일본과 한국임을 언급하며 "블링컨 장관이 새 대북정책을 제시함으로써 대면 형태로는 2년만에 열린 G7 회담을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순순히 대화 테이블로 나오길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 만만치 않다.
미 고위 당국자는 지난달 30일 워싱턴포스트에 "우리가 고려하는 것이 북한의 도발을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이 당국자는 기존의 대북 제재 압박을 유지할 것이라는 태도를 취했는데, 이는 미국이 북한에 섣불리 당근책부터 제시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당분간 북미 간 긴장을 감수하더라도 북한의 도발이나 벼랑 끝 전술에 말려들지 않고 원칙을 지키겠다는 바이든 행정부의 의중이 담긴 것으로 해석됐다.
블링컨 장관이 이날 회견에서 북한의 대응을 지켜보겠다고 한 기간을 '수개월'까지로도 언급한 것도 조급해하지 않고 호흡을 가다듬으며 대북 문제에 임하겠다는 인식의 결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