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물류센터 '네오' 투자도 재개
"전국구 가자" 마켓컬리와 전면전
쿠팡·네이버까지 신선배송 확대
‘허브&스포크’ 물류로 ‘전국구’ 간다

SSG닷컴은 2019년 새벽배송 시장에 뛰어들었다. 영업시간을 제한하는 유통산업발전법 규제에 묶여 모회사인 이마트의 진출이 어려워지자 SSG닷컴이 진출해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신선식품 소싱 분야 국내 1등인 유통 전문그룹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4월 말 기준으로 세 곳(용인, 김포 2개)의 물류센터에서 처리하는 새벽배송 물량은 약 2만 건이다. 전체의 16% 수준이다.
SSG닷컴은 충청권을 테스트 삼아 향후 새벽배송 전국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허브&스포크(중심&바큇살)’ 방식을 본격화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최대 콜드체인 시설을 갖추고 있는 김포 ‘네오003’에서 주문 상품을 출하하면 충청권에 있는 스포크(지역 거점)를 거쳐 소비자 문 앞까지 배송하는 방식이다.
SSG닷컴은 ‘네오004’에 대한 투자 계획도 최근 이사회에서 확정했다. 세 번째 네오가 완공된 2019년 12월 이후 SSG닷컴은 추가 물류센터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경기 구리, 하남시 등 후보지 주민들의 반발 탓이다. 수도권 핵심 지역에 ‘네오Q’로 명명된 이번 4호 건설을 확정하며 신선식품 배송 시장에 대한 공세 강화를 예고했다.

박 터지는 ‘신선 배송’ 시장
e커머스(전자상거래)의 미래 격전지로 신선식품 분야가 빠르게 부상하면서 새벽배송 시장은 매년 팽창 중이다. 유통업계에선 쿠팡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올 3월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으로 약 5조원을 조달한 쿠팡은 1조원 이상을 투자해 지방 7곳에 물류센터를 짓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콜드체인을 갖춘 물류망을 확충하려고 하면서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투자금액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검색에 이어 커머스(상거래)를 핵심 사업으로 키우고 있는 네이버 역시 최대 약점인 신선식품 분야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홈플러스, GS수퍼마켓 등을 파격적인 대우로 입점시키는 등 장보기 서비스를 선보인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SSG닷컴은 자체 새벽배송 확대와 네이버와의 제휴라는 ‘투 트랙’ 전략으로 쿠팡과 본격적인 경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와 신세계그룹이 지분 교환을 통해 ‘혈맹’을 맺은 만큼 이르면 7월께부터 SSG닷컴이 네이버 장보기에 입점할 것이라는 게 유통업계의 관측이다.
SSG닷컴의 공세에 가장 위협을 느끼고 있는 곳은 마켓컬리다. 김슬아 컬리 대표는 지난 3월 김포 물류센터를 선보인 데 이어 CJ대한통운과 손잡고 이달 1일부터 대전 등 충청권 5개 도시로 새벽배송을 확대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