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신 맞겠다" 61%로 뚝…불신해소 없인 집단면역 어렵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로나 백신을 맞을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한국리서치가 지난달 27~29일 18세 이상 1000명을 조사한 결과 백신을 맞겠다는 비율은 61.4%였다. 지난 3월(68.0%)은 물론 지난해 7월(87%)과 11월(83%)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백신 불신’ 확산은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백신이 충분히 공급된다 해도 사람들이 맞지 않으면 집단면역 형성은 기약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백신 기피가 확산된 이유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중심으로 접종 정책이 오락가락한 데다 접종 후 부작용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AZ 백신의 접종 대상, 접종 여부, 혈전 생성 여부를 두고 초기부터 혼선을 거듭해왔다. 부작용은 더 결정적이다. AZ 백신을 맞은 50대 의사가 이틀 만에 사망했고 40대 간호조무사는 사지마비 증상을 보인 데다 경찰관 중에는 뇌출혈 호흡곤란 등을 보인 사례도 나타났다.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는 1만8260건, 사망자 88명(6일 0시 기준)이며 사망자 중 AZ 접종자 47명, 화이자 41명이다.
백신 기피를 더욱 부추기는 것은 이상반응이 나타나도 당국이 좀처럼 백신과의 연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피해조사반이 심의를 마친 67건의 사망사례 중 65건은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2건은 판정을 보류했다. 57건의 중증 사례에서도 인과성이 인정된 것은 단 2건뿐이다. 이렇다 보니 부작용이 생기면 대부분 자비로 치료해야 한다.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어제 인사청문회에서 “인과관계 확인 전에라도 긴급한 치료비 등 필요한 부분은 정부가 책임지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그렇게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백신정책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정부는 백신확보, 접종, 부작용 대처 모두 신뢰를 쌓지 못했다. 대통령부터 “백신 도입과 접종이 당초 계획 이상으로 원활하다”며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를 하니 불신이 깊어지는 것이다. 정부가 자꾸 곤란한 상황만 모면하려 들 게 아니라 솔직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공개하고 국민 협조를 구해야 한다. 그래야 신뢰도 생기고 집단면역도 가까워질 수 있다.
‘백신 불신’ 확산은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백신이 충분히 공급된다 해도 사람들이 맞지 않으면 집단면역 형성은 기약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백신 기피가 확산된 이유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중심으로 접종 정책이 오락가락한 데다 접종 후 부작용 문제가 계속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AZ 백신의 접종 대상, 접종 여부, 혈전 생성 여부를 두고 초기부터 혼선을 거듭해왔다. 부작용은 더 결정적이다. AZ 백신을 맞은 50대 의사가 이틀 만에 사망했고 40대 간호조무사는 사지마비 증상을 보인 데다 경찰관 중에는 뇌출혈 호흡곤란 등을 보인 사례도 나타났다.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는 1만8260건, 사망자 88명(6일 0시 기준)이며 사망자 중 AZ 접종자 47명, 화이자 41명이다.
백신 기피를 더욱 부추기는 것은 이상반응이 나타나도 당국이 좀처럼 백신과의 연관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피해조사반이 심의를 마친 67건의 사망사례 중 65건은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2건은 판정을 보류했다. 57건의 중증 사례에서도 인과성이 인정된 것은 단 2건뿐이다. 이렇다 보니 부작용이 생기면 대부분 자비로 치료해야 한다.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어제 인사청문회에서 “인과관계 확인 전에라도 긴급한 치료비 등 필요한 부분은 정부가 책임지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그렇게 될지는 두고 볼 일이다.
백신정책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정부는 백신확보, 접종, 부작용 대처 모두 신뢰를 쌓지 못했다. 대통령부터 “백신 도입과 접종이 당초 계획 이상으로 원활하다”며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를 하니 불신이 깊어지는 것이다. 정부가 자꾸 곤란한 상황만 모면하려 들 게 아니라 솔직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공개하고 국민 협조를 구해야 한다. 그래야 신뢰도 생기고 집단면역도 가까워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