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대기업 올 임금인상 최소화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호봉승급제 폐지하고
성과·직무중심 임금체계로"
성과·직무중심 임금체계로"
경영계는 대기업들에 올해 기본급 인상을 최소화하고, 실적이 좋더라도 일시적 성과급 형태로 보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1년 임금조정과 기업 임금정책에 대한 경영계 권고’를 회원사에 송부했다고 9일 발표했다.
경총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확산) 이후 청년실업이 심각하고, 업종 및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커지고 있다”며 “지난해 좋은 실적을 거둔 기업들은 임금을 인상하기보다 고용을 늘리거나 중소 협력사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는 데 재원을 써달라”고 권고했다.
이미 임금 수준이 높은 대기업 근로자의 기본급이 큰 폭으로 오르면 중소기업 근로자와 취약계층 등에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좋은 실적을 거뒀다면 한국의 연공급 임금체계(근속연수를 기반으로 한 임금체계) 특성 등을 고려해 기본급 인상보다는 일시적 성과급 형태로 보상하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경총은 한국 기업의 임금체계를 연공 중심에서 일의 가치와 개인의 성과, 기업 실적 등을 반영한 직무 및 성과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공 중심 임금체계는 생산성과 연계하기 힘들고 획일적으로 적용돼 근로자에게 동기 부여를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공정한 임금 배분을 가로막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코로나19와 같은 변수로 불확실성이 커질 때 기업의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게 경총의 설명이다.
경총은 구체적으로 자동호봉승급제를 폐지하고, 절감한 인건비를 성과에 따라 근로자에게 나눠주는 방식을 제안했다. 또 직무 가치가 높고 어려운 일을 하는 직원에게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고, 기업의 실적과 개인의 성과를 임금 수준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국내 기업들이 보다 합리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건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병욱 기자
경총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대확산) 이후 청년실업이 심각하고, 업종 및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커지고 있다”며 “지난해 좋은 실적을 거둔 기업들은 임금을 인상하기보다 고용을 늘리거나 중소 협력사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는 데 재원을 써달라”고 권고했다.
이미 임금 수준이 높은 대기업 근로자의 기본급이 큰 폭으로 오르면 중소기업 근로자와 취약계층 등에 상대적 박탈감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좋은 실적을 거뒀다면 한국의 연공급 임금체계(근속연수를 기반으로 한 임금체계) 특성 등을 고려해 기본급 인상보다는 일시적 성과급 형태로 보상하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경총은 한국 기업의 임금체계를 연공 중심에서 일의 가치와 개인의 성과, 기업 실적 등을 반영한 직무 및 성과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공 중심 임금체계는 생산성과 연계하기 힘들고 획일적으로 적용돼 근로자에게 동기 부여를 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공정한 임금 배분을 가로막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코로나19와 같은 변수로 불확실성이 커질 때 기업의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을 어렵게 한다는 게 경총의 설명이다.
경총은 구체적으로 자동호봉승급제를 폐지하고, 절감한 인건비를 성과에 따라 근로자에게 나눠주는 방식을 제안했다. 또 직무 가치가 높고 어려운 일을 하는 직원에게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고, 기업의 실적과 개인의 성과를 임금 수준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국내 기업들이 보다 합리적인 보상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건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병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