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명 중 4명 "실수요자 주택담보대출 비율 확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행 LTV 비율 40%
"실수요자, 10% 추가혜택 확대해야"
LTV 10% 완화 제도, 해당자 극히 드물어
"대상 확대해야" 필요성 제기
"실수요자, 10% 추가혜택 확대해야"
LTV 10% 완화 제도, 해당자 극히 드물어
"대상 확대해야" 필요성 제기
![사진=게티이미지](https://img.hankyung.com/photo/202105/99.23070386.1.jpg)
13일 금융위원회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진행한 '가계부채 대국민 설문' 결과가 공개됐다. 지난 2월 24일부터 3월 5일까지 실시된 설문조사에는 일반 국민 600명과 전문가 120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83.7%는 무주택·서민 실수요자에 대한 현행 주택담보대출비율 10% 추가 혜택 조치가 "더욱 확대돼야 한다"고 답했다. 현재 기준은 연 소득 8000만 원 이하(생애 최초 9000만 원)인 무주택자가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에서 6억 원 이하(조정대상지역은 5억 원) 주택을 사면 LTV 한도를 10%포인트 늘려준다.
그러나 대출자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해 우대 혜택을 적용받은 비율은 지난해 신규 대출액 가운데 7.6%에 불과했다.
이에 정부·여당이 LTV 10%포인트를 추가로 높이고 소득요건과 주택가격 요건을 낮추는 방안 등을 검토하는 상황이다.
일반인·전문가 응답자 중 66.6%가 "무주택자에 대해서는 충분한 대출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나이별로는 20대가 77.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40대가 72.3%로 그 뒤를 이었다. 최초 주택구매 평균 연령이 43세(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현재 진행 중인 주택 대출규제 'LTV 40% 제한'과 '15억 원 초과 아파트 담보대출 금지'에 대해서는 대체로 '적정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응답자 중 61.2%가 "대출 규제 비율이 적정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40대 이하에서는 '적정하다'고 밝혔던 비율이 50%였던 것에 반해, 50대 이상에서 73%로 나와 주택 보유층에서 "적정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 그룹에서는 '적정한 규제'라고 답한 비율이 47.1%에 그쳤다.
15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해서는 주택담보대출을 아예 금지하는 규제 역시 응답자의 65.8%가 적절하다고 응답했지만, 전문가 사이에선 그 비율이 36.6%로 비교적 낮았다.
전문가를 대상으로만 진행했던 가계부채 증가 속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2.7%가 "8%대의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빠르다"고 평가했다.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적극적인 대출이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도 87%로 높았다.
올해 적정 가계부채 증가율 수준은 8% 대를 제시하며 "코로나19 조기 극복을 위해 가계부채 확대를 용인할 필요성이 있다"는 전문가도 46.3%였다. 코로나19 이전수준인 4%대로 답한 비율은 37.4%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수준인 -1%대를 답한 비율은 14.6%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증가세 관리가 필요한 대출로는 '신용대출'을 꼽았다. 주택담보대출, 비주택 담보대출, 전세대출이 그 뒤를 이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