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사관고 2025년 폐교…국가경쟁력 손실로 이어질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만위 민사고 교장 인터뷰
"일반고 전환하면 교육 수준 유지 어려워"
1996년부터 文정부 핵심 정책인
고교학점제·교과교실제 해와
"일반고 전환하면 교육 수준 유지 어려워"
1996년부터 文정부 핵심 정책인
고교학점제·교과교실제 해와

한만위 민족사관고등학교(민사고) 교장(사진)은 1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민사고 폐교설’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교육부 시행령 개정에 따라 오는 2025년 민사고가 일반고로 전환되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반고가 되면 현재 전국 단위로 뽑고 있는 학생도 강원도 내에서만 선발해야 한다. 이어 “더는 ‘민사고’다운 교육을 하지 못하면 학부모도, 학생도 학교를 선택하지 않을 테니 존립은 어렵다”고 했다.
한 교장은 문재인 정부의 자사고 일괄 폐지 방침이 문제 있다고 비판했다. 1996년 개교 이래 엘리트 교육의 산실이었던 민사고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려는 고교학점제(대학처럼 학점을 이수해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제도), 교과교실제(학생들이 전용 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듣는 제도)를 이미 실행하고 있던 학교다.
자사고 폐지 정책의 배경 중 하나는 고교서열화와 사교육 조장이다. 한 교장은 “자사고가 없어진다고 해도 대학 서열화가 있는 한 일반고들끼리의 서열화는 계속된다”며 “마찬가지로 공교육의 빈틈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한 사교육 열풍도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교장은 해외로의 인재 유출, 국부 유출도 우려했다. 그는 “좋은 인재를 국내서 키우지 못하는 것이 국가경쟁력에 얼마나 큰 손실인가”라며 “‘민사고가 인재의 해외유출을 막았다’는 표현을 많이 듣는다”고 말했다. “한국의 획일적인 교육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아 차라리 나가서 애를 교육시키겠다는 사람들이 많은데, 민사고 등 국내 자사고들에서 많이 흡수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 교장은 “대한민국 공교육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면 민사고는 자연스레 역사의 무대에서 퇴장할 것”이라며 “왜 비싼 학비를 내며 깊은 산속 학교까지 보내고 있는지부터 정부가 생각해봐야 한다”고 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