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매년 기준 바꾸고 입맛대로 해석…이런 게 국가통계인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분위 배율이 크게 개선됐다”며 포용정책 덕분이라고 또 자화자찬을 늘어놨다. 1년 전에 6.89배였던 소득 5분위 배율이 올 1분기에 6.30배로 낮아졌다는 통계청의 ‘1분기 가계동향 조사’를 인용하며 내놓은 해석이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 가구 소득이 하위 20% 가구 소득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소득격차 지표다. 1년 만에 5분위 배율이 이 정도로 낮아진 것은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다.
통계청 조사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악재가 겹쳐 소득 격차가 심화됐다는 그간의 컨센서스와 정반대여서 더 눈길을 끈다. 걸핏하면 경제지표를 과장하고 왜곡해온 정부조차 ‘불평등 심화’를 인정해왔던 터여서 의외의 결과다. 문재인 대통령도 10여 일 전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서 “코로나 확산으로 소득불평등이 악화됐다”고 아쉬워했다. 상식적으로도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코로나 충격으로 많은 저소득 가구가 생활고에 시달린 올 1분기의 소득격차가 코로나가 막 유행한 작년 1분기보다 줄었다는 건 이해하기 힘든 결과다.
이런 의구심은 ‘통계 분식’ 의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통계청은 두어 해 전부터 관련 연구자들도 좇아가기 힘들 정도로 표본과 조사방식을 수차례에 걸쳐 대폭 변경해 왔다. 현 정부 출범 초 소득불평등이 심해진 통계가 나오자 “좋은 통계로 보답하겠다”는 인사를 통계청장에 앉힌 뒤 본격화한 일이다.
이번 5분위 배율 발표는 양극화가 심해지자 ‘비교 가능성’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무리하게 개편한 것이라는 야당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다. 실제로 작년 1분기 5분위 배율만 봐도 △6.08배(개편 이전 기준) △5.41배(2019년 개편 기준) △6.89배(2020년 개편 기준) 등 3가지 숫자가 제시돼 있다. 차이가 너무 큰 탓에 전문가들조차 시계열 비교를 포기해야 했고, 양극화의 수준을 가늠하는 것도 어려워지고 말았다.
정부가 이런 정황을 무시하고 입맛에 맞는 결과를 골라 홍보하는 행태는 지양해야 마땅하다. 설사 소득격차가 개선된 게 사실이라고 해도 근로·사업·재산·비경상 소득이 동시에 쪼그라든 ‘쿼드러플(4중) 감소’ 속에 일어난 소득 하향평준화의 결과로 보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일부 계층에 정부 지원금이 투입돼 나타난 일시적 현상을 정책성과로 포장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젠 한국의 통계지표도 중국 통계처럼 이리저리 뜯어보고 뒤집어봐야 하는 것인지 안타깝다.
통계청 조사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악재가 겹쳐 소득 격차가 심화됐다는 그간의 컨센서스와 정반대여서 더 눈길을 끈다. 걸핏하면 경제지표를 과장하고 왜곡해온 정부조차 ‘불평등 심화’를 인정해왔던 터여서 의외의 결과다. 문재인 대통령도 10여 일 전 취임 4주년 기자회견에서 “코로나 확산으로 소득불평등이 악화됐다”고 아쉬워했다. 상식적으로도 고개를 갸웃하게 된다. 코로나 충격으로 많은 저소득 가구가 생활고에 시달린 올 1분기의 소득격차가 코로나가 막 유행한 작년 1분기보다 줄었다는 건 이해하기 힘든 결과다.
이런 의구심은 ‘통계 분식’ 의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통계청은 두어 해 전부터 관련 연구자들도 좇아가기 힘들 정도로 표본과 조사방식을 수차례에 걸쳐 대폭 변경해 왔다. 현 정부 출범 초 소득불평등이 심해진 통계가 나오자 “좋은 통계로 보답하겠다”는 인사를 통계청장에 앉힌 뒤 본격화한 일이다.
이번 5분위 배율 발표는 양극화가 심해지자 ‘비교 가능성’을 약화시키려는 의도로 무리하게 개편한 것이라는 야당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다. 실제로 작년 1분기 5분위 배율만 봐도 △6.08배(개편 이전 기준) △5.41배(2019년 개편 기준) △6.89배(2020년 개편 기준) 등 3가지 숫자가 제시돼 있다. 차이가 너무 큰 탓에 전문가들조차 시계열 비교를 포기해야 했고, 양극화의 수준을 가늠하는 것도 어려워지고 말았다.
정부가 이런 정황을 무시하고 입맛에 맞는 결과를 골라 홍보하는 행태는 지양해야 마땅하다. 설사 소득격차가 개선된 게 사실이라고 해도 근로·사업·재산·비경상 소득이 동시에 쪼그라든 ‘쿼드러플(4중) 감소’ 속에 일어난 소득 하향평준화의 결과로 보는 게 합리적일 것이다. 일부 계층에 정부 지원금이 투입돼 나타난 일시적 현상을 정책성과로 포장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이젠 한국의 통계지표도 중국 통계처럼 이리저리 뜯어보고 뒤집어봐야 하는 것인지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