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은 잊어라"…배터리·신재생·플랫폼 키우는 상장사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사업 육성 기업들 밸류에이션 재평가
주요기업 분기보고서 보니
포스코케미칼, 에너지 매출
지난해보다 2배 증가
2차전지가 본업 자리잡아
LG전자, 車부품 비중 늘어
시총 레벨업 시키는 주역
한화솔루션, 신재생 확대
태양광 하반기 강한 회복세
주요기업 분기보고서 보니
포스코케미칼, 에너지 매출
지난해보다 2배 증가
2차전지가 본업 자리잡아
LG전자, 車부품 비중 늘어
시총 레벨업 시키는 주역
한화솔루션, 신재생 확대
태양광 하반기 강한 회복세
코로나19 이후 혁신은 기업 생존의 키워드로 떠올랐다. 미래 혁신산업에 뛰어든 성장기업인지 아닌지에 따라 기업 가치가 크게 달라진다.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플랫폼, 콘텐츠 등 부문에서 급성장하는 기업들이 집중 조명받은 지 1년이 넘었다.
상장기업이 제출한 올 1분기 분기보고서에서 혁신 성과를 엿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성장성이 높은 사업 부문의 매출 비중이 커지는 상장 기업의 변화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분석이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의 올 1분기 매출에서 에너지 소재 부문 비중이 44.2%를 차지했다. 작년 동기(22.5%)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에는 생석회 등을 판매하는 라임화성 부문의 매출 비중이 컸지만 올 1분기부터는 2차전지 소재 부문이 본업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포스코케미칼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80배가 넘어 2차전지 소재주 가운데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증권업계에서는 높은 밸류에이션을 인정하고 있다. 향후 꾸준한 증설을 통해 소재 부문 매출이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차전지 소재인 동박을 생산하는 SKC도 마찬가지다. SKC의 모빌리티 소재 부문 매출 비중은 올 1분기 18.1%로 작년 1분기 10.8%에서 급증했다. 동박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SKC가 증설에 속도를 내는 이유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SKC 목표주가 평균은 17만5500원 수준으로 현 주가보다 30% 이상 높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매출 비중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LG화학의 1분기 배터리 매출 비중은 43.7%로 한 해 전 31.8%에서 한 계단 더 높아지면서 본업으로 자리매김했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매출 비중도 같은 기간 2.6%에서 5.7%로 커졌다.
효성티앤씨는 코로나19 여파로 홈트레이닝 등의 수요가 늘면서 신소재인 스판덱스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 15.2%에서 올 1분기 20.1%로 증가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도 신사업 매출을 늘리고 있다. 네이버는 핀테크 비중이 지난해 1분기 11.9%에서 올 1분기 14.0%로 높아졌다. 카카오는 플랫폼 부문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 50.9%에서 올 1분기 53.1%로 늘었다. 카카오의 플랫폼 부문에는 카카오T 등 모빌리티와 카카오페이 등 결제 사업이 대거 포함돼 있다.
자동차 부품 기업들도 변화가 엿보인다. 내연기관 부품주들이 전기차 관련주로 속속 변신하면서다. 다만 전기차 관련 부품 매출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있어 간접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모비스는 1분기 보고서에서 “올 1분기 국내 매출은 전동화 부문 물량 증가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2% 늘어난 1조89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전기차에 공급하는 부품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열관리 시스템 업체인 한온시스템과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을 생산하는 만도 등도 전기차 관련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상장기업이 제출한 올 1분기 분기보고서에서 혁신 성과를 엿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성장성이 높은 사업 부문의 매출 비중이 커지는 상장 기업의 변화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분석이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케미칼의 올 1분기 매출에서 에너지 소재 부문 비중이 44.2%를 차지했다. 작년 동기(22.5%)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에는 생석회 등을 판매하는 라임화성 부문의 매출 비중이 컸지만 올 1분기부터는 2차전지 소재 부문이 본업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포스코케미칼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80배가 넘어 2차전지 소재주 가운데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증권업계에서는 높은 밸류에이션을 인정하고 있다. 향후 꾸준한 증설을 통해 소재 부문 매출이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차전지 소재인 동박을 생산하는 SKC도 마찬가지다. SKC의 모빌리티 소재 부문 매출 비중은 올 1분기 18.1%로 작년 1분기 10.8%에서 급증했다. 동박은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SKC가 증설에 속도를 내는 이유다.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SKC 목표주가 평균은 17만5500원 수준으로 현 주가보다 30% 이상 높다.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매출 비중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LG화학의 1분기 배터리 매출 비중은 43.7%로 한 해 전 31.8%에서 한 계단 더 높아지면서 본업으로 자리매김했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매출 비중도 같은 기간 2.6%에서 5.7%로 커졌다.
플랫폼·신재생에너지 매출 쑥쑥
신재생에너지 부문 매출 비중이 급증한 곳도 있다. 한화솔루션은 태양광 부문 비중이 지난해 1분기 37.5%에서 올 1분기 45.1%로 늘었다. 원료 부문 매출 비중인 41.2%를 웃돌았다. 태양광 부문 성장세는 올해 한층 더 뚜렷해질 전망이다. 한상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태양광 수요는 하반기에 강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효성티앤씨는 코로나19 여파로 홈트레이닝 등의 수요가 늘면서 신소재인 스판덱스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 15.2%에서 올 1분기 20.1%로 증가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도 신사업 매출을 늘리고 있다. 네이버는 핀테크 비중이 지난해 1분기 11.9%에서 올 1분기 14.0%로 높아졌다. 카카오는 플랫폼 부문 매출 비중이 지난해 1분기 50.9%에서 올 1분기 53.1%로 늘었다. 카카오의 플랫폼 부문에는 카카오T 등 모빌리티와 카카오페이 등 결제 사업이 대거 포함돼 있다.
변신하는 자동차 부품주
자동차 전장 사업에 나선 LG전자에서도 자동차 부품 비중 확대가 나타나고 있다. 매출 비중은 지난해 1분기 9.0%에서 올 1분기 10.1%로 커졌다. 코로나19 이후 가전 부문 매출이 급증한 점을 고려하면 비중 증가 자체가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김록호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LG전자의 자동차 부품 부문 성장세가 시가총액을 레벨업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자동차 부품 부문이 영업이익에 기여하는 순간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자동차 부품 기업들도 변화가 엿보인다. 내연기관 부품주들이 전기차 관련주로 속속 변신하면서다. 다만 전기차 관련 부품 매출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있어 간접적으로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모비스는 1분기 보고서에서 “올 1분기 국내 매출은 전동화 부문 물량 증가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2% 늘어난 1조89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현대차 전기차에 공급하는 부품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열관리 시스템 업체인 한온시스템과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을 생산하는 만도 등도 전기차 관련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