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준호의 딜 막전막후] 카카오·네이버 "웹툰 세계 1위, 나야 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준호 마켓인사이트부 기자
“계약서 작성을 서두릅시다. 무조건 5월 20일엔 계약을 마무리해야 합니다.”(카카오 관계자)
카카오 계열사 카카오재팬의 투자 유치 건을 놓고 열띤 협상이 벌어지던 이달 초, 협상장 분위기가 일순간 바뀌었다.
돈을 받는 쪽은 카카오였다. 계열사 카카오재팬을 통해 일본에서 웹툰 ‘픽코마’를 서비스하고 있는 카카오는 픽코마 시장점유율을 더 높이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었고, 이를 위해 외부에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려던 참이었다. 돈을 대겠다는 곳은 여럿이었으나 카카오는 최종적으로 홍콩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앵커에쿼티파트너스를 협상 대상으로 골랐다.
양측은 카카오재팬 지분을 얼마짜리로 계산할 것인가(밸류에이션 산정 문제)를 놓고 치열하게 다투고 있었다. 빨라도 5월 말까지는 지루한 핑퐁이 이어질 것으로 다들 생각했다. 분위기를 바꾼 것은 갑작스레 ‘5월 20일’로 제시된 ‘데드라인’. 당시에는 왜 이런 데드라인이 튀어나왔는지 모두 이해하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웹툰은 지금 네이버·카카오 양사의 자존심 그 자체다. 카카오는 자사의 ‘픽코마’가 작년 7월 네이버의 일본 웹툰 서비스 ‘라인망가’를 제쳤다는 소식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이어 작년 11월엔 픽코마가 글로벌 1위 플랫폼이 됐다고 주장했다. 20일 카카오가 배포한 보도자료에도 “픽코마는 6조원이 넘는 전 세계 1위 만화시장 일본에서 작년 7월부터 만화 앱 매출 1위를 유지하며 경쟁업체들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는 문구가 들어갔다. 네이버는 즉각 “글로벌 1위는 우리”라고 반박했다. 업계에선 이해진 글로벌최고투자책임자(GIO)가 ‘픽코마는 꼭 잡아야 한다’는 특명을 내렸다는 말도 나온다.
20일 펼쳐진 ‘웹툰 전쟁’에서는 일단 카카오가 승리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2000억원을 유치한 네이버웹툰보다 새로운 주주(앵커에쿼티)를 대상으로 6000억원을 유치한 카카오재팬이 더 뛰어난 성과를 낸 것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카카오와 네이버는 웹툰과 비슷한 웹소설 분야에서도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네이버가 첫 글로벌 인수합병(M&A)인 미국 왓패드 인수를 발표한 11일, 카카오는 타파스·래디쉬 인수를 공식 발표하며 맞불을 놨다. 같은 물건을 놓고 서로 ‘내가 사겠다’고 나서는 일도 왕왕 벌어지고 있다. 국내 웹소설 플랫폼 문피아를 두고 양측이 서로 구애하는 통에 매각 측은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는 후문이다. 양사 실무진이 M&A 실적 경쟁을 벌인다는 소문도 들린다.
당사자들은 애가 타지만, 소비자 관점에선 나쁠 일도 아니다. 무엇보다 ‘한국 시장 전용 서비스’라고 여겨지던 네이버와 카카오가 글로벌 1위를 놓고 다툴 만큼 서비스 경쟁력을 키웠다는 사실 자체가 반갑다. 경쟁을 통해 두 회사가 계속 성장하고,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해 간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카카오 계열사 카카오재팬의 투자 유치 건을 놓고 열띤 협상이 벌어지던 이달 초, 협상장 분위기가 일순간 바뀌었다.
돈을 받는 쪽은 카카오였다. 계열사 카카오재팬을 통해 일본에서 웹툰 ‘픽코마’를 서비스하고 있는 카카오는 픽코마 시장점유율을 더 높이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었고, 이를 위해 외부에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려던 참이었다. 돈을 대겠다는 곳은 여럿이었으나 카카오는 최종적으로 홍콩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앵커에쿼티파트너스를 협상 대상으로 골랐다.
양측은 카카오재팬 지분을 얼마짜리로 계산할 것인가(밸류에이션 산정 문제)를 놓고 치열하게 다투고 있었다. 빨라도 5월 말까지는 지루한 핑퐁이 이어질 것으로 다들 생각했다. 분위기를 바꾼 것은 갑작스레 ‘5월 20일’로 제시된 ‘데드라인’. 당시에는 왜 이런 데드라인이 튀어나왔는지 모두 이해하지 못하는 분위기였다.
웹툰 투자 발표시점 '눈치작전'
의문이 해소된 것은 20일 오후 2시께, 카카오가 계열사 카카오재팬의 6000억원 투자 유치 소식을 공시한 다음이었다. 이날 장 마감 후 4시께 경쟁사인 네이버웹툰이 기존 주주들을 대상으로 2000억원 증자를 결정했다는 공시를 냈기 때문이다. 카카오가 일부러 이날을 골라서 더 큰 투자 금액을 제3자로부터 유치했고 몸값(8조8000억원)도 높게 받았다는 보도자료를 네이버보다 일찍 배포했다는 게 투자은행(IB)업계의 시각이다.웹툰은 지금 네이버·카카오 양사의 자존심 그 자체다. 카카오는 자사의 ‘픽코마’가 작년 7월 네이버의 일본 웹툰 서비스 ‘라인망가’를 제쳤다는 소식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이어 작년 11월엔 픽코마가 글로벌 1위 플랫폼이 됐다고 주장했다. 20일 카카오가 배포한 보도자료에도 “픽코마는 6조원이 넘는 전 세계 1위 만화시장 일본에서 작년 7월부터 만화 앱 매출 1위를 유지하며 경쟁업체들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다”는 문구가 들어갔다. 네이버는 즉각 “글로벌 1위는 우리”라고 반박했다. 업계에선 이해진 글로벌최고투자책임자(GIO)가 ‘픽코마는 꼭 잡아야 한다’는 특명을 내렸다는 말도 나온다.
20일 펼쳐진 ‘웹툰 전쟁’에서는 일단 카카오가 승리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2000억원을 유치한 네이버웹툰보다 새로운 주주(앵커에쿼티)를 대상으로 6000억원을 유치한 카카오재팬이 더 뛰어난 성과를 낸 것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웹소설 M&A도 같은 날 발표
하지만 겉모습만으로 두 딜을 평가하는 게 정당하진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무엇보다 카카오재팬의 몸값이 너무 고평가돼서, 투자한 앵커에쿼티가 충분한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뒷말이 많다. 앞서 카카오의 엔터테인먼트 계열사(카카오M)와 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 등에 투자한 앵커에쿼티가 파트너의 ‘체면’을 살려주려고 비싼 몸값을 정당화해줬다는 해석이다. 다만 PEF가 운영하는 펀드별 수익자(투자자)가 제각각이므로, 한쪽에서 수익을 낸다고 다른 쪽을 희생하는 결정은 있을 수 없다는 반론도 뒤따른다.카카오와 네이버는 웹툰과 비슷한 웹소설 분야에서도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네이버가 첫 글로벌 인수합병(M&A)인 미국 왓패드 인수를 발표한 11일, 카카오는 타파스·래디쉬 인수를 공식 발표하며 맞불을 놨다. 같은 물건을 놓고 서로 ‘내가 사겠다’고 나서는 일도 왕왕 벌어지고 있다. 국내 웹소설 플랫폼 문피아를 두고 양측이 서로 구애하는 통에 매각 측은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는 후문이다. 양사 실무진이 M&A 실적 경쟁을 벌인다는 소문도 들린다.
당사자들은 애가 타지만, 소비자 관점에선 나쁠 일도 아니다. 무엇보다 ‘한국 시장 전용 서비스’라고 여겨지던 네이버와 카카오가 글로벌 1위를 놓고 다툴 만큼 서비스 경쟁력을 키웠다는 사실 자체가 반갑다. 경쟁을 통해 두 회사가 계속 성장하고,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해 간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