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치과용 임플란트 중국 수출은 작년 8월부터 빠르게 회복됐다. 2020년 하반기 중국이 빠르게 경기를 회복했기 때문이다. 미용의료기기 업종은 이에 비해 회복이 더디다. 하지만 코로나19 완화와 함께 수요를 회복할 수 있다는 방향성을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미용의료기기 기업의 실적 반등은 올 1분기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클래시스 파마리서치 제이시스메디칼 루트로닉 휴메딕스 인토로조 등 6개 기업의 합산 매출과 영업이익은 1623억원과 410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29.2%와 38.3% 증가했다. 하반기에는 백신 보급이 확대되며 미용의료에 대한 보복 소비가 본격화될 것으로 봤다.
이새롬 연구원은 “외부 활동 정상화와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선명해지는 구간에서 미용 성형 수요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용의료기기 기업 중 최선호주로는 제이시스메디칼을 꼽았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7400원을 제시했다.
제이시스메디칼은 사이노슈어와 협력해 고주파(RF)장비인 ‘포텐자’를 북미에 판매하고 있다. 올 1분기 포텐자 공급량은 국내 23대와 해외 152대다. 작년 전체 공급 대수의 64%에 달한다. 집속초음파(HIFU) 장비인 ‘울트라셀Q+’는 일본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내년은 2018년부터 보급된 울트라셀Q+의 소모품 교체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2021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23억원과 181억원을 기록할 것이란 추산이다. 각가 전년 대비 42.4%와 58.2% 증가한 수치다.
소모품 매출이 전년 대비 38% 늘어난 308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모품 매출 비중이 43%까지 높아질 것으로 봤다. 소모품 매출이 늘어나며 수익성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박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