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무장관 "반도체 투자로 생산공장 7~10곳 추가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8조 반도체 지원안 금주 내 상원 처리 목표…샌더스 "강력한 조건 필요"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24일(현지시간) 520억달러(한화 58조5천780억원)에 달하는 정부 지원금이 미국 내에서 7개에서 10개에 달하는 반도체 공장 추가 건설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러몬도 장관은 이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반도체 공장 외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번 정부 지원으로 반도체 생산과 연구개발에 1천500억달러(168조9천750억원)가 넘는 투자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간 자본을 풀기 위해 정부의 돈이 필요한 것"이라며 "실제 투자가 마무리되면 미국에 7개, 8개, 9개 심지어 10개의 새로운 반도체 공장이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빠르게 회복중인 미국 경제는 최근 심각한 반도체난에 예상치 못하게 발목을 잡힌 상황이다.
특히 핵심 부품에 반도체를 장착하는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고 전반적인 전자제품 생산까지 후폭풍이 우려된다.
실제 포드가 지난달 2분기 생산 가능성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을 비롯해 GM 등 디트로이트의 주요 자동차 업계가 감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반도체 기술에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중국에 대한 견제와 맞물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 문제를 국가 안보의 문제로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핵심 반도체의 미국내 생산비율을 높이는 데 최우선 순위를 뒀다.
실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13일 백악관에서 직접 '반도체 화상회의'를 주재하며 공격적인 반도체 투자 의지를 밝힌 것을 비롯해 미국 정부는 그간 여러 차례 반도체 산업 육성 의지를 거듭 확인해 왔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직전인 21일에도 러몬도 상무장관이 주요 글로벌 IT업체와 자동차 업계 대표들을 불러 반도체 부족 문제를 논의, 삼성을 비롯한 국내 업체들의 투자를 사실상 압박한 바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의 지난해 9월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37%를 차지했던 미국 내 반도체 생산량은 12%까지 줄어든 상태다. 민주당은 일단 상원이 문을 닫는 이번주 내에 반도체 산업 육성안을 처리하기 위해 공화당과 합의를 거쳐 수정안을 제출한 상황이지만, 의회 내 일부 반대가 여전해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장 무소속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이 문제와 관련, 인텔을 포함해 정부 지원금을 받는 반도체 기업들이 그에 상응하는 지분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샌더스 의원은 성명에서 "만약 우리가 이들 기업에 세금으로 지원을 한다면, 이에 대해 강력한 조건을 걸어놓는 것이 최소한의 해야할 일"이라고 밝혔다.
샌더스 의원은 이에 더해 정부 투자를 받은 회사들이 자신의 주식을 사들이거나 해외로 일자리를 돌리는 등의 행위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도 "안건은 불완전하다"면서 "아직 토론을 완전히 닫아놓아서는 안 된다"며 여지를 남겼다.
/연합뉴스
로이터에 따르면 러몬도 장관은 이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반도체 공장 외부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이같이 밝히고 "이번 정부 지원으로 반도체 생산과 연구개발에 1천500억달러(168조9천750억원)가 넘는 투자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간 자본을 풀기 위해 정부의 돈이 필요한 것"이라며 "실제 투자가 마무리되면 미국에 7개, 8개, 9개 심지어 10개의 새로운 반도체 공장이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서 빠르게 회복중인 미국 경제는 최근 심각한 반도체난에 예상치 못하게 발목을 잡힌 상황이다.
특히 핵심 부품에 반도체를 장착하는 자동차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고 전반적인 전자제품 생산까지 후폭풍이 우려된다.
실제 포드가 지난달 2분기 생산 가능성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을 비롯해 GM 등 디트로이트의 주요 자동차 업계가 감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게다가 반도체 기술에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중국에 대한 견제와 맞물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이 문제를 국가 안보의 문제로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핵심 반도체의 미국내 생산비율을 높이는 데 최우선 순위를 뒀다.
실제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13일 백악관에서 직접 '반도체 화상회의'를 주재하며 공격적인 반도체 투자 의지를 밝힌 것을 비롯해 미국 정부는 그간 여러 차례 반도체 산업 육성 의지를 거듭 확인해 왔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직전인 21일에도 러몬도 상무장관이 주요 글로벌 IT업체와 자동차 업계 대표들을 불러 반도체 부족 문제를 논의, 삼성을 비롯한 국내 업체들의 투자를 사실상 압박한 바 있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의 지난해 9월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37%를 차지했던 미국 내 반도체 생산량은 12%까지 줄어든 상태다. 민주당은 일단 상원이 문을 닫는 이번주 내에 반도체 산업 육성안을 처리하기 위해 공화당과 합의를 거쳐 수정안을 제출한 상황이지만, 의회 내 일부 반대가 여전해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장 무소속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이 문제와 관련, 인텔을 포함해 정부 지원금을 받는 반도체 기업들이 그에 상응하는 지분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샌더스 의원은 성명에서 "만약 우리가 이들 기업에 세금으로 지원을 한다면, 이에 대해 강력한 조건을 걸어놓는 것이 최소한의 해야할 일"이라고 밝혔다.
샌더스 의원은 이에 더해 정부 투자를 받은 회사들이 자신의 주식을 사들이거나 해외로 일자리를 돌리는 등의 행위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도 "안건은 불완전하다"면서 "아직 토론을 완전히 닫아놓아서는 안 된다"며 여지를 남겼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