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한국군에 백신 지원했는데…문 대통령 "대규모 연합훈련 어려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與·野 5당 대표와 간담회
"전작권 회수 조건 점검할 것"
"전작권 회수 조건 점검할 것"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한·미 연합훈련과 관련해 “코로나19로 대규모 군사훈련이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미국이 한국군에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더라도 훈련 정상화는 어렵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5당 대표와의 오찬 간담회에서 “한·미 연합훈련 취소나 연기 의지를 실어서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자”는 여영국 정의당 대표의 제안에 이같이 답했다. 이에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훈련을 정상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고, 문 대통령은 “미국과 협의하면서 훈련 규모나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한·미 연합훈련은 매년 3월과 8월 두 차례 실시해 왔으나 지난해 3월엔 코로나19로 취소됐다. 이후 지난해 8월과 올 3월에는 규모를 축소해 훈련했다.
한·미 연합훈련은 지난 21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정상화 가능성이 거론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군 55만여 명분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미국 국방부 대변인실은 전날 ‘백신 제공이 올여름 한·미 연합훈련을 대비한 것이냐’는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한국 측과 근무하는 미군을 보호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전시작전권 환수 문제와 관련해서는 “조건부 회수가 잘 성숙되도록 점검하고 대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여전히 전시작전권 회수는 조건부로 돼 있다”며 아쉬움을 표한 데 따른 답변이었다. 문 대통령은 “예전에 우리가 (전작권 환수) 연기를 요청했는데 그런 점까지 감안해야 한다”며 “귀속 책임이 우리에게도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21일 발표된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는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문 대통령은 “여야정 협의체를 3개월 단위로 정례화하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초기에 제안했던 협의체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다”며 “필요하면 원내대표도 같이 참여하는 방안이 검토되면 좋겠다”고 했다.
임도원/조미현 기자 van7691@hankyung.com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5당 대표와의 오찬 간담회에서 “한·미 연합훈련 취소나 연기 의지를 실어서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자”는 여영국 정의당 대표의 제안에 이같이 답했다. 이에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훈련을 정상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고, 문 대통령은 “미국과 협의하면서 훈련 규모나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했다. 한·미 연합훈련은 매년 3월과 8월 두 차례 실시해 왔으나 지난해 3월엔 코로나19로 취소됐다. 이후 지난해 8월과 올 3월에는 규모를 축소해 훈련했다.
한·미 연합훈련은 지난 21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정상화 가능성이 거론됐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군 55만여 명분 코로나19 백신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기 때문이다. 미국 국방부 대변인실은 전날 ‘백신 제공이 올여름 한·미 연합훈련을 대비한 것이냐’는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한국 측과 근무하는 미군을 보호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전시작전권 환수 문제와 관련해서는 “조건부 회수가 잘 성숙되도록 점검하고 대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한·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여전히 전시작전권 회수는 조건부로 돼 있다”며 아쉬움을 표한 데 따른 답변이었다. 문 대통령은 “예전에 우리가 (전작권 환수) 연기를 요청했는데 그런 점까지 감안해야 한다”며 “귀속 책임이 우리에게도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지난 21일 발표된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는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문 대통령은 “여야정 협의체를 3개월 단위로 정례화하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초기에 제안했던 협의체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다”며 “필요하면 원내대표도 같이 참여하는 방안이 검토되면 좋겠다”고 했다.
임도원/조미현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