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제약·바이오 산업, CMO·mRNA 중심 성장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리츠증권 분석
메리츠증권은 28일 올 하반기 제약·바이오 산업에 대해 백신 위탁생산(CMO)과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다.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코로나19의 백신 부작용 문제로, 백신 CMO 및 mRNA 백신 개발 기업들이 부진했던 건강관리(헬스케어) 업종의 반등을 주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지하 연구원은 “CMO 공급부족 지속과 탄탄한 진단키트 실적,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종식을 위해 mRNA 백신 확보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반기에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새롭게 형성된 mRNA 백신 시장은 연간 10조원 규모에 달한다. 코로나19 유행 장기화 및 변이 바이러스 발생으로 백신 확보가 우선시되는 상황에서, 부작용 우려가 적고 변이 대응력이 우수한 mRNA 백신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mRNA 백신의 수요 증가로 백신 CMO 수익도 늘어날 것으로 봤다. 그는 “대규모 생산능력(CAPA)을 확보한 CMO 업체들과 백신 개발사의 협력 및 공급량이 확대될 것”이라고 했다.
국내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mRNA 백신의 완제의약품(DP) CMO를 맡았다. 대규모 공장 건설 경험과 CMO 역량을 고려하면, 원료의약품(DS) 생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변이 바이러스 표적 치료제의 개발과 인수합병(M&A)을 통한 국내 진단업체들의 신사업 성장도 기대했다. 김 연구원은 “변이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치료제가 새롭게 개발되면서 CMO 수주 가능성도 늘어날 것”이라며 “글로벌 진단업체들의 M&A가 매우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국내 진단업체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M&A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규 표적 면역관문억제제(ICI) 개발 기업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김 연구원은 “‘TIM3’ ‘TIGIT’ ‘LAG-3’ 등에 대한 수요가 높다”며 “길리어드와 BMS는 신규 표적 면역관문억제제 후보물질들을 1조6000억~2조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고 전했다. 이어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후보물질에 대한 기술이전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선호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랩지노믹스, 관심종목으로는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제시했다. 김예나 기자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 코로나19의 백신 부작용 문제로, 백신 CMO 및 mRNA 백신 개발 기업들이 부진했던 건강관리(헬스케어) 업종의 반등을 주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김지하 연구원은 “CMO 공급부족 지속과 탄탄한 진단키트 실적,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의 안정적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종식을 위해 mRNA 백신 확보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반기에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새롭게 형성된 mRNA 백신 시장은 연간 10조원 규모에 달한다. 코로나19 유행 장기화 및 변이 바이러스 발생으로 백신 확보가 우선시되는 상황에서, 부작용 우려가 적고 변이 대응력이 우수한 mRNA 백신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mRNA 백신의 수요 증가로 백신 CMO 수익도 늘어날 것으로 봤다. 그는 “대규모 생산능력(CAPA)을 확보한 CMO 업체들과 백신 개발사의 협력 및 공급량이 확대될 것”이라고 했다.
국내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mRNA 백신의 완제의약품(DP) CMO를 맡았다. 대규모 공장 건설 경험과 CMO 역량을 고려하면, 원료의약품(DS) 생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변이 바이러스 표적 치료제의 개발과 인수합병(M&A)을 통한 국내 진단업체들의 신사업 성장도 기대했다. 김 연구원은 “변이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치료제가 새롭게 개발되면서 CMO 수주 가능성도 늘어날 것”이라며 “글로벌 진단업체들의 M&A가 매우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국내 진단업체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M&A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규 표적 면역관문억제제(ICI) 개발 기업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김 연구원은 “‘TIM3’ ‘TIGIT’ ‘LAG-3’ 등에 대한 수요가 높다”며 “길리어드와 BMS는 신규 표적 면역관문억제제 후보물질들을 1조6000억~2조원 규모로 기술이전했다”고 전했다. 이어 “초기 단계이긴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후보물질에 대한 기술이전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선호주로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랩지노믹스, 관심종목으로는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를 제시했다. 김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