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월급 8년 만에 감소
작년 월평균 급여 323만원…외식업 등 코로나19 여파
대기업 임금인상률도 아베노믹스 이후 첫 2%선 무너져
'소비감소→실적·경기부진' 악순환 장기화 우려
코로나19 여파로 일본인들의 월 급여가 8년 만에 감소했다. 소비와 물가, 경제성장률이 모두 제자리걸음을 하는 일본식 장기침체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2020회계연도(2020년 4월~2021년 3월) 1인당 월 평균 급여가 31만8081엔(약 322만6391원)으로 1년전보다 1.5% 줄었다고 28일 발표했다.
월 평균 급여가 줄어든 건 2012년 이후 8년 만이다.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집권한 2013년 이후 일본 정부는 소비진작을 위해 매년 3% 이상의 임금인상을 목표로 내걸고 기업을 압박했다. 그 결과 대기업은 해마다 2% 이상의 임금인상률을 유지해왔다.
일본인의 월급봉투가 얇아진 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업종을 중심으로 급여가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외식 서비스업(-7%), 운수·우편업(-5.4%) 등 외출 및 외식자제의 영향을 크게 받은 업종의 급여가 줄었다.
올해 월급 상황도 밝지 않다. 일본 최대 경제단체인 게이단렌에 따르면 올해 대기업의 평균 임금인상률은 1.82%다. 대기업 임금인상률이 2%를 밑돈 것 역시 아베노믹스(아베 정권의 대규모 경기부양책)가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이다.
대기업의 임금인상률이 8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기 때문에 중견·중소기업의 급여 상황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고용상황도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무성은 4월 완전실업자수가 209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만명 늘었다고 밝혔다. 실업자수가 15개월 연속 1년 전보다 늘었다. 완전실업률도 2.8%로 전달보다 0.2%포인트 올랐다.
취업자수는 6657만명으로 29만명 늘었지만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에 비해 51만명 적다. 특히 해고가 쉬운 파트타임 노동자수가 1593만5000명으로 1990년 이후 30년 만에 처음 감소했다. 휴업 및 영업시간 단축으로 월간 실질노동시간도 134.6시간으로 3% 줄었다.
고용상황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어 임금상승률도 하향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급여수준은 일본 국내총생산(GDP)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개인소비와 직결된다. 이 때문에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 소비가 늘지 않아 경제성장이 둔화하고, 기업실적이 악화돼 다시 급여가 하향압력을 받는 악순환(디플레이션)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일본은 지난 30년간 이같은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잃어버린 30년'에 신음했다. 아베노믹스 초기 디플레이션에 탈출하는 듯 했지만 후반기 들어서는 회복력을 잃어버렸다는 분석이 많다.
2015년 수준을 100으로 놓았을 때 2019년 소비자물가는 102.4, 명목임금은 102.3이었다. 5년 가까이 임금도 물가도 거의 오르지 않았다는 의미다.
사이토 다로 닛세이기초연구소 경제조사부장은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제조업 임금은 오르는 반면 서비스업 임금은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는 양극화가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트남 유명 관광지인 호이안에서 메탄올로 만든 술을 마신 외국인 관광객 2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해 여행객의 주의가 요구된다.8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현지 매체 VN익스프레스 등에 따르면 전날 중부 호이안 현지 경찰은 메탄올로 만든 술을 팔아 관광객을 숨지게 한 레스토랑 바텐더 A씨를 체포했다.A씨는 지난해 12월24일 레스토랑에서 의료용 메탄올과 물, 레몬향, 설탕 등을 섞어 술의 일종인 '리몬첼로'를 만든 혐의를 받는다.A씨가 만든 술을 마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온 남성 B(36)씨와 영국인 여성 C(33)씨가 이틀 뒤인 26일 호이안 중심가의 빌라 방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 조사 결과 심각한 메탄올 중독으로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경찰은 이들이 술을 마신 장소를 알아낸 뒤 현장에서 쓰인 술병 여러 개를 압수하는 등 수사를 벌여왔다.동남아 일부 국가에서는 값싼 메탄올을 넣은 술을 마셔 사망하거나, 다치는 사건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지난해 11월에는 베트남 인접 국가인 라오스의 유명 관광지 방비엥의 한 호스텔 바에서 메탄올을 탄 술을 마신 호주인·덴마크인·영국인·미국인 출신 외국인 관광객 6명이 사망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광범위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데다 중국 정부가 언제든 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세계 각국이 잇따라 접속차단 등 금지 조치에 나선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PC는 물론 로봇과 전기차까지 서비스 영역 확장에 나섰다.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보도에 따르면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자동차 제조업체 등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거나 탑재에 나섰다.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최근 웨이보(중국 SNS)를 통해 자사 샤오톈 AI 어시스턴트와 딥시크 AI 모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문장 독해와 코드 생성, 수학, 추론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레노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샤오톈 서비스를 태블릿과 스마트폰 등 다른 제품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UB테크는 자사 로봇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이 복잡한 현실세계 환경에서 지시를 이해하도록 돕고 공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중국 지리자동차는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딥시크의 RI 추론 모델을 자사가 개발한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고 있다.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군에서 딥시크 도입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비용상 이점과 오픈소스라는 접근 방식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한편 국내 주요 정부부처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이름, 생년월일은 물론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 등 다양한 개인정보를 수집,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만큼 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했다.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나는 종이 빨대(사용)에 대한 말도 안 되는 바이든의 압박을 끝내기 위해 다음 주에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종이 빨대 사용 권장에 대해 "작동하지 않고 있다"면서 "플라스틱으로 돌아가자"고 강조했다.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때도 종이 빨대 대신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권장한 바 있다. 2019년에는 빨간색 일반 빨대에 트럼프(TRUMP) 로고를 새긴 뒤 이를 10개에 15달러에 판매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당시 캠프는 일주일 만에 46만 달러(약 6억7000만원)를 모금하는 등의 성과도 거뒀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