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안먼 유족 "100주년 중국공산당, 책임 피할 수 없어"
중국 6·4톈안먼(天安門) 민주화시위 희생자 측이 올해 창당 100주년을 맞는 중국공산당과 중국 정부가 톈안먼 사태의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밝혔다.

1일 홍콩 명보에 따르면 톈안먼 시위 희생자 유가족 모임인 '톈안먼 어머니회'는 전날 톈안먼 32주년 추모 성명을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톈안먼 어머니회'는 "법에 따라 국가를 통치하고 국민의 주체적 지위를 존중하며 국민이 국가의 주인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6·4 학살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공산당원들이 열린 마음을 갖고 사리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을 국민이 볼 수 있게 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과거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국민을 마음속 가장 높은 곳에 두겠다"고 했고, "중국공산당의 가장 큰 위협은 부패"라고 했다고 상기시켰다.

그러면서 1989년 민주화운동은 관다오(官倒: 공무원이 직책을 이용해 전매로 폭리를 취하는 행위)와 관리의 부정부패에 대한 여론을 평화롭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표현한 것으로 "건강한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적 표현"이라고 말했다.

이어 "폭동으로 취급해서는 안 되며 군대를 동원해 무고한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죽여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톈안먼 어머니회'는 당국이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성의와 용기를 보여 법에 따라 책임을 질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6월 4일의 진상에 대해 알리는 일은 희생자 명단 발표에서 시작해 유족에 대한 배상, 당시 발포를 명령한 관리의 법적 책임 조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당국이 6월 4일에 국민을 향해 머리 숙여 사과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톈안먼 유족 "100주년 중국공산당, 책임 피할 수 없어"
톈안먼 사태는 1989년 6월 4일 민주화와 정치개혁을 요구하면서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시위를 벌이던 대학생과 시민들을 중국 정부가 탱크와 장갑차를 동원해 무자비하게 유혈 진압한 것을 이른다.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개방 정책으로 빈부 격차가 커지고 공산당의 부패가 심각해진 1980년대 중국의 사회 상황이 배경에 자리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