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시민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회고록 '조국의 시간'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시민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회고록 '조국의 시간'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스1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회고록 '조국의 시간'을 통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맹비판했다.

지난달 31일 출간한 회고록에서 조 전 장관은 "2019년 하반기 이후 윤석열 총장은 문재인 정부를 집중 타격하는 일련의 수사를 벌여 수구보수진영이 지지하는 강력한 대권 후보로 부상했다"며 "박근혜 정부와 맞서 박해받는 검사가 되어 대중적 명망을 얻고 문재인 정부 검찰총장이 되더니, 문재인 정부를 쳐서 수구보수진영의 대권후보로 부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이 총장 재직시 사실상 '정치'를 했다고 주장하며 "2019년 하반기 이후 윤석열은 단지 '검찰주의자' 검찰총장이 아닌 '미래 권력'이었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이 사퇴하며 밝힌 '국민 보호'라는 메시지에 대해서는 "누구 또는 무엇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겠다는 것인지 모호한 전형적인 정치인의 말투였다"며 "검찰주의자를 넘어 전형적인 '정치 검사'의 행보였다”고 평가했다.

조 전 장관은 '조국 수사'와 '울산시장 사건 수사'가 궁극적으로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조 전 장관은 "두명의 대통령을 감옥에 보낸 윤석열은 조국 수사와 함께 검찰개혁 공방이 진행되는 어느 시점에 문재인 대통령도 '잠재적 피의자'로 인식하기 시작했을 것"이라며 "검찰이 청와대 관계자를 기소한 것은 4·15 총선에서 보수야당이 승리하면 국회가 문 대통령을 탄핵할 수 있도록 밑자락을 깔아준 것이라 판단한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이 살아있는 권력을 수사했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문재인 정부를 '죽을 권력'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각종 수사에 나섰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 전 장관은 "2019년 하반기 이후 전개된 일련의 검찰 수사는 '검찰의 쿠데타' 또는 '검란'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데, 당시 검찰은 문재인 정부를 '살아있는 권력'이 아니라 '곧 죽을 권력' 또는 '죽여야 할 권력'으로 판단했다고 본다"며 "문재인 정부를 곧 죽을 권력이라 판단하고 자신이 지휘하는 고강도 표적수사를 통해 문재인 정부를 압박해 들어갔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은가"라고 했다.

조 전 장관은 "나의 후임으로 온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경우도 검찰개혁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검찰의 극심한 저항과 검·언·정 카르텔의 합작 공격에 부딪혀 결국 물러나야 했다"며 "윤 총장은 추 장관을 전혀 상관으로 대우하지 않았다. 그가 충성하는 대상은 오로지 검찰조직뿐이었다"고 했다.

또 조 전 장관은 책에서 "윤 전 총장이 '서울중앙지검장에 한동훈(당시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을 임명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거절했다"며 "단호히 거절했다. 솔직히 어이가 없었다"고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그러면서 조 전 장관은 "만약 윤 전 총장이 대통령이 된다면, 한동훈 검사장은 당시 가지 못했던 자리 또는 그 이상의 자리로 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