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사 사망 9일뒤 가해자 휴대전화 확보"…軍수사·대응 엉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채익, 공군 문건 공개…피해자 초기조사시에도 가해자 '부대에 그대로'
블랙박스에 피해자 '절박 목소리'도 녹음…가해자 "기억 안난다"·동승자는 "몰랐다" 국방부 검찰단이 2일 사망한 공군 부사관의 성추행 가해자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 가운데, 이번 사건 직후부터 피해자가 사망하기까지 전반에 걸친 공군의 엉터리 수사와 부실 대응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사건 규명에 핵심 증거가 될만한 가해자 휴대전화 확보가 피해자가 숨진 채 발견된 지 열흘만인 지난달 31일에야 이뤄진 사실이 새롭게 확인돼 또 한 번 논란이 일 전망이다.
◇ 가해자 일부만 시인, 나머진 "기억안나"…휴대전화 이틀전 제출
2일 국민의힘 이채익 의원에 따르면 이 모 중사는 지난 3월 5일 소속 부대인 공군 20전투비행단 군사경찰에서 받은 최초 피해자 조사에서 선임 부사관인 장 모 중사가 차량 안에서 자신의 신체를 만지고, 본인의 특정 신체 부위를 강제로 만지게 하는 등 강제추행했다고 비교적 구체적으로 진술했다.
특히 유족측 변호인은 이 중사가 탑승했던 차량의 블랙박스도 직접 확보해 군사경찰에 제출했다고 전했다.
블랙박스에는 '앞으로 저를 어떻게 보려고 이러시냐' 등 절박한 피해자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녹음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주 뒤인 같은 달 15일 받은 첫 가해자 조사에서 일부 혐의만 시인한 채 피해자가 주장한 구체적 피해진술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피해자와 가해자 주장이 극명히 엇갈리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당시 공군 군사경찰은 장 중사를 불구속 상태로 수사한 것은 물론, 휴대전화조차 압수하지 않았다.
장 중사의 휴대전화 확보는 사건이 공군 군검찰로 송치된 이후이자 이 중사 사망 9일 만인 지난달 31일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 발생 석달 만이다.
◇ 성추행 몰랐다는 후배 부사관…보고 경위도 뒤죽박죽
당시 차량 안에는 두 사람 외에 운전을 하던 후배 부사관(하사)이 있었다.
유일한 목격자다.
운전을 한 하사는 군사경찰 조사에서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진술했다고 이 의원실은 전했다.
그러나 이들이 탑승한 차량이 SUV 차량이었고, 유족들은 피해자가 성추행을 못참고 뿌리치고 차량에서 내렸다고 진술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목격자 진술 자체의 신빙성이 의심된다는 지적이 있다.
공군은 보고 경위에 대한 피해자와 다른 부대 상관들의 상이한 진술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
유족은 이 중사가 성추행을 못참고 차량에서 내려 즉시 저녁자리에 함께 있던 상사에게 전화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비해 공군 군사경찰은 하루 뒤인 3일 오전 상사에게 알려 준위에게까지 보고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후 같은 날 저녁 9시 50분 준위가 대대장에게 보고했다는 것이다.
유족들은 이 과정에서 회유를 종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사실 여부를 떠나 성추행 피해 보고를 받고도 대대장에게 10시간 이상 시차를 두고 보고가 이뤄진 이유에 대한 수사도 이뤄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피해자 조사받던 날도 가해자 부대에…"2차 가해 촉발"
공군 법무실이 이 의원실에 제출한 문건을 보면 공군은 3월 5일 상담관 배석 하에 이 중사에 대한 피해자 조사를 했다고 기록했다.
공군 군사경찰에서 수사 중이었던 만큼 부대 내 시설에서 조사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당시 장 중사에 대해서는 부대 측에서 대기발령 등 피해자와 분리하기 위한 어떤 조치도 내리지 않았다.
장 중사가 다른 부대로 파견 조처된 건 성추행 2주일이 지난 3월 17일이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공군은 최소한 피해자 조사를 실시한 3월 5에 가해자와 피해자 간 분리 조처를 했어야 함에도 2주일 동안이나 분리 조처를 하지 않아 피해자가 가해자 등으로부터 2차 가해를 받게 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검찰단이 증거물로 확보한 피해자의 휴대전화에는 회유 정황을 입증할 만한 전화통화 녹음 내용을 비롯해 문자와 카카오톡 메시지 등도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자살암시에도 "상태 호전"으로 상담종료…사망까지 군 상담 '0'
이 중사는 피해 이후 20비행단 소속 민간인 성고충 전문상담관으로부터 22회의 상담을 받은 것으로 기록돼 있다.
특히 상담 중이던 지난 4월 15일 상담관에게 "자살하고 싶다"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고, 이후 2주간 6회가량 지역의 성폭력상담소에서 상담 및 정신과 진료를 받았다.
같은 달 4월 30일 성폭력상담소는 "자살징후 없었으며, 상태가 호전됐다"는 진단과 함께 상담을 마쳤다.
이 중사는 5월 3일 청원휴가가 끝났지만 2주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자가격리를 했다.
격리가 끝난 뒤 20비행단에서 15특수임무비행단으로 전속 조치가 이뤄졌고, 나흘 만인 22일 숨진 채 발견됐다.
그러나 청원휴가가 종료된 3일부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같은 달 21일까지 약 2주간 민간상담만 2회 이뤄졌을 뿐, 군 상담관을 통한 상담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연합뉴스
블랙박스에 피해자 '절박 목소리'도 녹음…가해자 "기억 안난다"·동승자는 "몰랐다" 국방부 검찰단이 2일 사망한 공군 부사관의 성추행 가해자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 가운데, 이번 사건 직후부터 피해자가 사망하기까지 전반에 걸친 공군의 엉터리 수사와 부실 대응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특히 사건 규명에 핵심 증거가 될만한 가해자 휴대전화 확보가 피해자가 숨진 채 발견된 지 열흘만인 지난달 31일에야 이뤄진 사실이 새롭게 확인돼 또 한 번 논란이 일 전망이다.
◇ 가해자 일부만 시인, 나머진 "기억안나"…휴대전화 이틀전 제출
2일 국민의힘 이채익 의원에 따르면 이 모 중사는 지난 3월 5일 소속 부대인 공군 20전투비행단 군사경찰에서 받은 최초 피해자 조사에서 선임 부사관인 장 모 중사가 차량 안에서 자신의 신체를 만지고, 본인의 특정 신체 부위를 강제로 만지게 하는 등 강제추행했다고 비교적 구체적으로 진술했다.
특히 유족측 변호인은 이 중사가 탑승했던 차량의 블랙박스도 직접 확보해 군사경찰에 제출했다고 전했다.
블랙박스에는 '앞으로 저를 어떻게 보려고 이러시냐' 등 절박한 피해자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녹음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2주 뒤인 같은 달 15일 받은 첫 가해자 조사에서 일부 혐의만 시인한 채 피해자가 주장한 구체적 피해진술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피해자와 가해자 주장이 극명히 엇갈리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당시 공군 군사경찰은 장 중사를 불구속 상태로 수사한 것은 물론, 휴대전화조차 압수하지 않았다.
장 중사의 휴대전화 확보는 사건이 공군 군검찰로 송치된 이후이자 이 중사 사망 9일 만인 지난달 31일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 발생 석달 만이다.
◇ 성추행 몰랐다는 후배 부사관…보고 경위도 뒤죽박죽
당시 차량 안에는 두 사람 외에 운전을 하던 후배 부사관(하사)이 있었다.
유일한 목격자다.
운전을 한 하사는 군사경찰 조사에서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진술했다고 이 의원실은 전했다.
그러나 이들이 탑승한 차량이 SUV 차량이었고, 유족들은 피해자가 성추행을 못참고 뿌리치고 차량에서 내렸다고 진술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목격자 진술 자체의 신빙성이 의심된다는 지적이 있다.
공군은 보고 경위에 대한 피해자와 다른 부대 상관들의 상이한 진술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
유족은 이 중사가 성추행을 못참고 차량에서 내려 즉시 저녁자리에 함께 있던 상사에게 전화를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비해 공군 군사경찰은 하루 뒤인 3일 오전 상사에게 알려 준위에게까지 보고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후 같은 날 저녁 9시 50분 준위가 대대장에게 보고했다는 것이다.
유족들은 이 과정에서 회유를 종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사실 여부를 떠나 성추행 피해 보고를 받고도 대대장에게 10시간 이상 시차를 두고 보고가 이뤄진 이유에 대한 수사도 이뤄졌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피해자 조사받던 날도 가해자 부대에…"2차 가해 촉발"
공군 법무실이 이 의원실에 제출한 문건을 보면 공군은 3월 5일 상담관 배석 하에 이 중사에 대한 피해자 조사를 했다고 기록했다.
공군 군사경찰에서 수사 중이었던 만큼 부대 내 시설에서 조사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당시 장 중사에 대해서는 부대 측에서 대기발령 등 피해자와 분리하기 위한 어떤 조치도 내리지 않았다.
장 중사가 다른 부대로 파견 조처된 건 성추행 2주일이 지난 3월 17일이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공군은 최소한 피해자 조사를 실시한 3월 5에 가해자와 피해자 간 분리 조처를 했어야 함에도 2주일 동안이나 분리 조처를 하지 않아 피해자가 가해자 등으로부터 2차 가해를 받게 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검찰단이 증거물로 확보한 피해자의 휴대전화에는 회유 정황을 입증할 만한 전화통화 녹음 내용을 비롯해 문자와 카카오톡 메시지 등도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자살암시에도 "상태 호전"으로 상담종료…사망까지 군 상담 '0'
이 중사는 피해 이후 20비행단 소속 민간인 성고충 전문상담관으로부터 22회의 상담을 받은 것으로 기록돼 있다.
특히 상담 중이던 지난 4월 15일 상담관에게 "자살하고 싶다"는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고, 이후 2주간 6회가량 지역의 성폭력상담소에서 상담 및 정신과 진료를 받았다.
같은 달 4월 30일 성폭력상담소는 "자살징후 없었으며, 상태가 호전됐다"는 진단과 함께 상담을 마쳤다.
이 중사는 5월 3일 청원휴가가 끝났지만 2주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자가격리를 했다.
격리가 끝난 뒤 20비행단에서 15특수임무비행단으로 전속 조치가 이뤄졌고, 나흘 만인 22일 숨진 채 발견됐다.
그러나 청원휴가가 종료된 3일부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같은 달 21일까지 약 2주간 민간상담만 2회 이뤄졌을 뿐, 군 상담관을 통한 상담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