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정·수작 부리다·짐작…술과 얽힌 단어들 술술 나오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명욱의 호모 마시자쿠스
술을 마실 때 우리는 언제나 이렇게 외친다. 건배. 마를 건(乾), 잔 배(杯)로 술이 마를 정도로 한 번에 다 마신다는 의미다. 건배 문화는 바이킹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적과 화친용으로 술을 마셨다는 스토리다. 술에 독을 타지 않았다는 증표로 한꺼번에 다 마셔야 했고, 상대의 잔에 독이 있을 수 있으니 잔을 부딪치며 술잔 속의 술을 섞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건배란 용어는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떤 용어를 사용했을까. 바로 ‘수작’이다. 갚을 수(酬), 따를 작(酌)으로 술을 따라주고 받으며 마신다는 의미다.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목적을 두고 친한 척한다는 의미에서 ‘수작 부린다’는 말을 쓰기도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렇게 술에서 시작된 단어가 정말 많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작정하다’의 ‘작정’이 있다. 현대 술병은 속이 훤히 보이는 유리병을 많이 사용하지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호리병, 또는 나무통이었다. 병 속에 내용물이 얼마나 있는지 몰랐고, 얼마큼 따를 수 있는지도 알지 못했다.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가 작정이다. 따를 작(酌), 정할 정(定). 즉, 상황을 보고 술의 양을 정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작정하지 않으면 술잔에 술이 한없이 넘쳐흘렀다. 이것을 작정이 없다고 해서 ‘무작정(無酌定)’이라고 했다. 계획 없이 술을 따른다는 의미다.
뭔가를 예상해본다는 의미의 ‘짐작’도 술과 연관된 단어다. 짐작이란 헤아릴 짐(斟), 따를 작(酌). 술병 속에 술이 얼마나 있는지 헤아린다는 뜻이다. 상대방이 얼마나 마실 수 있는가,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를 상황을 보고 예상해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법정 드라마를 보면 죄질이 무거운데도 상황을 고려해 형량을 줄인다는 ‘정상참작’이란 말이 자주 나온다. 여기서 참작이란 참여할 참(參), 따를 작(酌)이다. 즉, 같이 술을 마셨다는 의미다. 좀 더 풀이하자면 같은 상황, 나아가 같은 사회에 있기 때문에 누군가 술로 인해 실수를 해도 그 책임이 오직 한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술자리의 모두에게 있다는 의미가 된다. 사회 모두의 책임이니 정상참작을 해 형량을 줄인다는 뜻이다.
수작, 짐작, 작정 등의 단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한자다. 우리 역사 속에는 이처럼 술과 관련한 다양한 문화가 있었다. 어쩌면 멋진 술 문화는 와인이나 위스키가 아니라 우리 전통주에서 찾아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명욱 < 숙명여대 미식문화 최고위과정 주임교수 >
조선왕조실록에는 건배란 용어는 한 번도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떤 용어를 사용했을까. 바로 ‘수작’이다. 갚을 수(酬), 따를 작(酌)으로 술을 따라주고 받으며 마신다는 의미다.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목적을 두고 친한 척한다는 의미에서 ‘수작 부린다’는 말을 쓰기도 한다. 흥미로운 것은 이렇게 술에서 시작된 단어가 정말 많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작정하다’의 ‘작정’이 있다. 현대 술병은 속이 훤히 보이는 유리병을 많이 사용하지만 불과 100년 전만 해도 호리병, 또는 나무통이었다. 병 속에 내용물이 얼마나 있는지 몰랐고, 얼마큼 따를 수 있는지도 알지 못했다.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가 작정이다. 따를 작(酌), 정할 정(定). 즉, 상황을 보고 술의 양을 정하고 따른다는 뜻이다. 작정하지 않으면 술잔에 술이 한없이 넘쳐흘렀다. 이것을 작정이 없다고 해서 ‘무작정(無酌定)’이라고 했다. 계획 없이 술을 따른다는 의미다.
뭔가를 예상해본다는 의미의 ‘짐작’도 술과 연관된 단어다. 짐작이란 헤아릴 짐(斟), 따를 작(酌). 술병 속에 술이 얼마나 있는지 헤아린다는 뜻이다. 상대방이 얼마나 마실 수 있는가, 좋아하는가, 싫어하는가를 상황을 보고 예상해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법정 드라마를 보면 죄질이 무거운데도 상황을 고려해 형량을 줄인다는 ‘정상참작’이란 말이 자주 나온다. 여기서 참작이란 참여할 참(參), 따를 작(酌)이다. 즉, 같이 술을 마셨다는 의미다. 좀 더 풀이하자면 같은 상황, 나아가 같은 사회에 있기 때문에 누군가 술로 인해 실수를 해도 그 책임이 오직 한 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술자리의 모두에게 있다는 의미가 된다. 사회 모두의 책임이니 정상참작을 해 형량을 줄인다는 뜻이다.
수작, 짐작, 작정 등의 단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한자다. 우리 역사 속에는 이처럼 술과 관련한 다양한 문화가 있었다. 어쩌면 멋진 술 문화는 와인이나 위스키가 아니라 우리 전통주에서 찾아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명욱 < 숙명여대 미식문화 최고위과정 주임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