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논란 파장…최대 패션플랫폼 무신사 조만호 대표 사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유통가 젠더 논란 확산…무신사 창업자 조만호 대표 사임 [이슈+]
"쿠폰·이벤트 논란에 책임 통감"
이사회 의장으로…중장기 전략 수립
개인 지분 매각해 500억 패션 펀드에 출자
"쿠폰·이벤트 논란에 책임 통감"
이사회 의장으로…중장기 전략 수립
개인 지분 매각해 500억 패션 펀드에 출자
국내 최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의 창업자 조만호 대표가 사퇴한다. 조 대표는 이른바 '남혐(남성 혐오) 논란' 홍역을 치른 데 따른 책임을 지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무신사는 올 초 여성 고객에게만 할인쿠폰을 지급한 점, 이벤트 홍보 이미지에 등장한 집게손가락 모양 등으로 인해 남혐 논란에 휩싸였다.
조 대표는 "특정 고객 대상 쿠폰 발행과 최근 이벤트 이미지 논란으로 무신사에 실망한 고객과 피해를 입은 입점 브랜드에 진심으로 송구스럽다"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그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책임을 통감하며 20년 전 처음 무신사를 만든 후 지금까지 유지한 운영자와 대표의 자리를 내려놓는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가 언급한 쿠폰은 올해 3월 무신사가 여성 회원을 대상으로 할인쿠폰을 발행해 남성 회원에게 '차별'이라고 항의를 받은 사안이다. 당시 무신사는 여성 상품에만 적용되는 할인쿠폰이라고 전했으나 남성상품에도 해당 쿠폰을 사용할 수 있어 조 대표가 사과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무신사와 현대카드의 이벤트 홍보 이미지에 등장한 집게손가락 모양이 한국 남성 비하 의미를 담았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조 대표는 이날 임직원에게 이메일을 보내 "운영의 최종 책임자로 결자해지를 위해 책임을 지고 대표의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며 사퇴의 뜻을 전했다. 그는 "이제는 무신사에 전체 조직 관리와 사업 전반 관장까지 더 뛰어난 역량을 가진 새로운 리더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사퇴 후 이사회 의장을 맡는다. 무신사 스토어 운영에는 참여하지 않고 해외사업 등 중장기 전략 수립에 주력할 계획이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 높은 신생 브랜드를 발굴하고 한국 패션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서 저의 역할을 찾아보려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조 대표는 개인 지분 일부를 순차 매각해 약 5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해 이를 무신사 투자 자회사인 무신사 파트너스가 운용하는 패션 펀드에 출자할 계획이다. 해당 펀드는 소규모 신생 브랜드를 중심으로 초기 투자에 집중한다.
조 대표는 2001년 무신사의 전신인 '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란 이름의 커뮤니티를 개설했다. 이후 길거리 패션과 유행 스타일을 소개하는 '무신사 매거진'을 발행했고, 2009년에는 커머스 기능을 도입해 현재의 무신사로 키웠다. 무신사의 지난해 거래액은 1조2000억원으로, 국내 최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다.
무신사에 앞서 GS리테일은 이달 1일부로 편의점 GS25 남혐 논란의 시발점이 된 이벤트 포스터 관련 임직원에 대해 징계 인사를 결정했다. 포스터를 제작한 디자이너는 징계를 받았고, 담당 마케팅팀장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GS25는 지난달 1일 '캠핑가자' 이벤트 포스터의 소시지를 집는 집게손가락 모양이 한국 남성을 비하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남성 혐오 논란이 일었다. 일부 누리꾼들은 포스터에 들어간 'Emotional Camping Must-have Item(감성 캠핑의 필수 아이템)'이란 영어 문구의 각 단어 끝 알파벳을 조합하면 'MEGAL', 즉 '메갈리아'라는 극단주의 페미니즘 커뮤니티를 뜻한다고 주장했다. 포스터의 소시지 이미지와 손 모양 역시 메갈리아에서 자주 사용되는 이미지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해당 손 모양 논란은 무신사가 현대카드와 함께 추진한 협업 프로젝트 포스터에서도 불거졌다. 이같은 논란 속 일부 남성 소비자들의 불매운동 조짐까지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젠더 논란에 대해 온라인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의견을 공유하는 소비자들이 뭉쳐 집단화하는 MZ세대(밀레니얼세대+Z세대) 소비자의 특성으로 풀이했다. 또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사회인이 된 20~30대 MZ세대가 이해관계에 예민하게 대처하는 방식의 연장선으로 분석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성장한 MZ세대는 본인이 생각하기에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이번 젠더 논란의 경우 저성장 속 파이가 좁아진 상황에서 을(乙) 간의 갈등이 빚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MZ세대의 특징과 행동방식에 미흡하게 대처하면 언제든 논란이 일 수 있어 기업의 적극적인 리스크(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재섭 남서울대 유통마케팅학과 교수는 "온라인이 일상화되고 소통이 중요해진 시대가 됐다. 개인이 의견을 치열하게 내세우기 때문에 이슈와 관련해 다방면에서 충돌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안승호 숭실대 경영학부 교수도 "과거에는 없었던 현상들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내부 단속뿐 아니라 기업이 다양한 가치에 대한 공통 입장을 정리해 조직원에게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조만호, 대표직 사퇴…"쿠폰·이벤트 논란에 책임 통감"
3일 무신사에 따르면 조 대표는 이날 사의를 표명하고 대표이사직을 내려놨다. 무신사는 후임자 선정 절차를 진행해 신임 대표를 결정할 예정이다.무신사는 올 초 여성 고객에게만 할인쿠폰을 지급한 점, 이벤트 홍보 이미지에 등장한 집게손가락 모양 등으로 인해 남혐 논란에 휩싸였다.
조 대표는 "특정 고객 대상 쿠폰 발행과 최근 이벤트 이미지 논란으로 무신사에 실망한 고객과 피해를 입은 입점 브랜드에 진심으로 송구스럽다"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그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책임을 통감하며 20년 전 처음 무신사를 만든 후 지금까지 유지한 운영자와 대표의 자리를 내려놓는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가 언급한 쿠폰은 올해 3월 무신사가 여성 회원을 대상으로 할인쿠폰을 발행해 남성 회원에게 '차별'이라고 항의를 받은 사안이다. 당시 무신사는 여성 상품에만 적용되는 할인쿠폰이라고 전했으나 남성상품에도 해당 쿠폰을 사용할 수 있어 조 대표가 사과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무신사와 현대카드의 이벤트 홍보 이미지에 등장한 집게손가락 모양이 한국 남성 비하 의미를 담았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조 대표는 이날 임직원에게 이메일을 보내 "운영의 최종 책임자로 결자해지를 위해 책임을 지고 대표의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했다”며 사퇴의 뜻을 전했다. 그는 "이제는 무신사에 전체 조직 관리와 사업 전반 관장까지 더 뛰어난 역량을 가진 새로운 리더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사퇴 후 이사회 의장을 맡는다. 무신사 스토어 운영에는 참여하지 않고 해외사업 등 중장기 전략 수립에 주력할 계획이다. 그는 "중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 높은 신생 브랜드를 발굴하고 한국 패션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서 저의 역할을 찾아보려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조 대표는 개인 지분 일부를 순차 매각해 약 5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해 이를 무신사 투자 자회사인 무신사 파트너스가 운용하는 패션 펀드에 출자할 계획이다. 해당 펀드는 소규모 신생 브랜드를 중심으로 초기 투자에 집중한다.
조 대표는 2001년 무신사의 전신인 '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란 이름의 커뮤니티를 개설했다. 이후 길거리 패션과 유행 스타일을 소개하는 '무신사 매거진'을 발행했고, 2009년에는 커머스 기능을 도입해 현재의 무신사로 키웠다. 무신사의 지난해 거래액은 1조2000억원으로, 국내 최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이다.
유통업계 터져 나온 '젠더 논란'
유통업계를 둘러싼 '젠더 논란'이 갈수록 확산하는 모양새다.무신사에 앞서 GS리테일은 이달 1일부로 편의점 GS25 남혐 논란의 시발점이 된 이벤트 포스터 관련 임직원에 대해 징계 인사를 결정했다. 포스터를 제작한 디자이너는 징계를 받았고, 담당 마케팅팀장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GS25는 지난달 1일 '캠핑가자' 이벤트 포스터의 소시지를 집는 집게손가락 모양이 한국 남성을 비하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남성 혐오 논란이 일었다. 일부 누리꾼들은 포스터에 들어간 'Emotional Camping Must-have Item(감성 캠핑의 필수 아이템)'이란 영어 문구의 각 단어 끝 알파벳을 조합하면 'MEGAL', 즉 '메갈리아'라는 극단주의 페미니즘 커뮤니티를 뜻한다고 주장했다. 포스터의 소시지 이미지와 손 모양 역시 메갈리아에서 자주 사용되는 이미지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해당 손 모양 논란은 무신사가 현대카드와 함께 추진한 협업 프로젝트 포스터에서도 불거졌다. 이같은 논란 속 일부 남성 소비자들의 불매운동 조짐까지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젠더 논란에 대해 온라인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의견을 공유하는 소비자들이 뭉쳐 집단화하는 MZ세대(밀레니얼세대+Z세대) 소비자의 특성으로 풀이했다. 또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사회인이 된 20~30대 MZ세대가 이해관계에 예민하게 대처하는 방식의 연장선으로 분석했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학과 교수는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성장한 MZ세대는 본인이 생각하기에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이번 젠더 논란의 경우 저성장 속 파이가 좁아진 상황에서 을(乙) 간의 갈등이 빚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MZ세대의 특징과 행동방식에 미흡하게 대처하면 언제든 논란이 일 수 있어 기업의 적극적인 리스크(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최재섭 남서울대 유통마케팅학과 교수는 "온라인이 일상화되고 소통이 중요해진 시대가 됐다. 개인이 의견을 치열하게 내세우기 때문에 이슈와 관련해 다방면에서 충돌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안승호 숭실대 경영학부 교수도 "과거에는 없었던 현상들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내부 단속뿐 아니라 기업이 다양한 가치에 대한 공통 입장을 정리해 조직원에게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