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작아지는 한국, 30년 뒤를 준비하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구 미래 공존
조영태 지음
북스톤
304쪽│1만7000원
조영태 지음
북스톤
304쪽│1만7000원
초고령화 사회 진입, 2020년 인구 감소 시작, 2030년 ‘인구 절벽’의 도래 같은 인구 관련 소식이 더는 낯설지 않다. 인구 문제가 현재와 미래의 삶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자리 잡았음은 자명해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궁금하다. 최근의 출산율 감소가 10년 뒤, 20년 뒤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꿀지….
《인구 미래 공존》은 인구학 분야 권위자가 알기 쉽게 풀이한 한국 사회의 ‘인구학적 해부도’다. 현재 인구구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앞으로 인구 추이는 어떻게 진행될지, 인구 변화에 따른 사회 변동은 어떤 모습으로 이뤄질지를 각종 그래프와 함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보여준다.
다시 봐도 최근의 인구 동향은 충격적이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000명으로, 30만 명대가 무너졌다. 출생아 40만 명대는 15년간 유지됐지만 30만 명대는 3년밖에 버티지 못했다.
예고 없이 닥친 위기가 아니다. 이미 30년 전에 정해진 미래였다. 1984~1990년 출생자는 1970년대 전반 출생자에 비해 수도 20만 명가량 적었고, 성비도 남아가 비정상적으로 많았다. 남아선호 사상과 산아제한 정책이 맞물리면서 오늘의 산모 풀을 급격히 위축시킨 결과였다.
똑같은 논리로 오늘 만들어지는 인구구조는 30년 뒤의 미래를 결정한다. 하지만 인구 감소와 고령화의 영향은 사람들에게 평등하지 않게 다가간다. 신생아 관련 산업 종사자나 대학처럼 충격파가 우선 미치는 직종이 있고, 한동안은 변화를 체감하기 힘든 이가 있기 마련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세대와 세대 간에도 느끼는 바가 균일하지 않다.
여전히 인구 충격에 대비할 ‘완충지대’가 남아 있는 점은 희망적이다. 당분간 20만 명대 신생아 수가 유지될 10년은 인구 변화에 대비할 마지막 기회다. 1인 가구 확산 등으로 2030년까지는 전체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구 수 증가가 이어질 것이라는 점도 긍정적이다. 그때쯤이면 누적된 대졸자 취업난도 해소될 수 있다. “작아지는 대한민국이라도 잘만 대비하면 성장이 멈추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저자의 진단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인구 미래 공존》은 인구학 분야 권위자가 알기 쉽게 풀이한 한국 사회의 ‘인구학적 해부도’다. 현재 인구구조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앞으로 인구 추이는 어떻게 진행될지, 인구 변화에 따른 사회 변동은 어떤 모습으로 이뤄질지를 각종 그래프와 함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보여준다.
다시 봐도 최근의 인구 동향은 충격적이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7만2000명으로, 30만 명대가 무너졌다. 출생아 40만 명대는 15년간 유지됐지만 30만 명대는 3년밖에 버티지 못했다.
예고 없이 닥친 위기가 아니다. 이미 30년 전에 정해진 미래였다. 1984~1990년 출생자는 1970년대 전반 출생자에 비해 수도 20만 명가량 적었고, 성비도 남아가 비정상적으로 많았다. 남아선호 사상과 산아제한 정책이 맞물리면서 오늘의 산모 풀을 급격히 위축시킨 결과였다.
똑같은 논리로 오늘 만들어지는 인구구조는 30년 뒤의 미래를 결정한다. 하지만 인구 감소와 고령화의 영향은 사람들에게 평등하지 않게 다가간다. 신생아 관련 산업 종사자나 대학처럼 충격파가 우선 미치는 직종이 있고, 한동안은 변화를 체감하기 힘든 이가 있기 마련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세대와 세대 간에도 느끼는 바가 균일하지 않다.
여전히 인구 충격에 대비할 ‘완충지대’가 남아 있는 점은 희망적이다. 당분간 20만 명대 신생아 수가 유지될 10년은 인구 변화에 대비할 마지막 기회다. 1인 가구 확산 등으로 2030년까지는 전체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구 수 증가가 이어질 것이라는 점도 긍정적이다. 그때쯤이면 누적된 대졸자 취업난도 해소될 수 있다. “작아지는 대한민국이라도 잘만 대비하면 성장이 멈추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저자의 진단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