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에 재학 중인 박모씨(26)는 지난달 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학에 필수인 리트(LEET·법학적성시험) 원서를 접수했다. 박씨는 아직 3학년이라 '리트 고득점'을 받더라도 로스쿨 입시에 지원할 수 없다. 대학 졸업생이나 졸업 예정자만 로스쿨에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그가 시험을 치기로 마음 먹은 이유는 '취업난' 때문. 박씨는 "졸업반일 때 실제로 로스쿨을 지원할 지 확신이 안 선다"면서도 "취업이 힘든 시기인만큼 혹시 몰라 연습 삼아 리트 시험을 치기로 했다"고 말했다.

리트 시험 열풍이 더욱 거세게 불고 있다. '칼졸업 칼취업'이 꼽을 정도로 적은 상황에서, 반강제로 캠퍼스에 남게 된 학생들이 로스쿨에 눈을 돌리고 있단 얘기다. 일반기업 취업을 준비하면서 로스쿨 입학을 함께 준비하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취업 안 돼 로스쿨 몰리는 2030

4일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된 2022학년도 리트 원서 접수에 사상 최다의 지원자가 몰렸다. 정확한 숫자는 1만3955명. 지난해 지원자 수(1만2244명) 대비 14% 급증한 것으로, 증가폭만 해도 역대 최고치다. 리트 시험이 처음 치뤄진 2009년(1만960명)과 비교해 27% 늘었다. 최소 응시자 수를 기록한 2013년(7628명)과 비교해선 두 배에 가깝다.

올해 리트 시험 응시자가 폭증한 것은 취업난 이유가 가장 크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번진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기업들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취업의 문턱이 더욱 높아지자 로스쿨에 진학해 학교에 남기를 선택한 학생들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한 로스쿨 입시기관 관계자는 "리트 시험을 치르는 대학 새내기들도 늘고 있다"며 "취업이 '바늘구멍 뚫기'만큼 어려워진 상황에서 일찌감치 로스쿨 입시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수치가 이를 뒷받침해준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학(전문대 포함)을 다니고 있거나 졸업한 학사·석사·박사인 25∼39세 인구 가운데 취업 경력이 전혀 없는 '취업 무경험자'는 지난해 32만165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27만9627명) 대비 15% 뛰었다.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21만3343명)의 1.5배다.

기업 입사 준비와 병행 … 로스쿨 내 '반수' 영향도

일반기업 입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몸풀기'로 리트 시험에 응시하는 이들도 있다는 말도 나온다. 리트 시험 과목은 '언어이해'와 '추리논증', '논술'로 구성돼있다. 국내 5대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공채를 하는 삼성은 '직무적성검사(GSAT)'로 신입사원을 뽑는데, 이 시험은 '언어논리'와 '수리논리', '추리' 등 과목의 문제를 낸다. 한 수도권 로스쿨 교수는 "사기업 공채 시험뿐 아니라 공기업 입사에 필요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시험도 리트와 크게 다르지 않은 사고력을 요구한다"며 "이밖에 행정고시 등 고등고시의 1차 관문인 공직적성평가제도(PSAT)를 준비하는 수험생들도 연습 삼아 리트 시험을 쳐보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수년째 이어지는 로스쿨 '반수' 열풍도 한 몫 한다. 한국경제신문이 전국 25개 로스쿨 대학알리미 공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로스쿨 재학생 중 141명이 자퇴를 했다. 전년 자퇴생 수(148명) 대비 소폭 줄었지만 로스쿨 제도 도입 초기와 비교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다. 로스쿨 자퇴생 대부분은 유명로펌에 입사하기 위해 상위권으로 분류되는 로스쿨로 재입학하려는 경우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대형로펌에 취업하는 신입 변호사들 대다수가 '스카이(SKY)' 로스쿨 출신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며 "로스쿨에 와서도 취업 난관을 뚫기위해 아둥바둥 하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안효주 기자 j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