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직원들이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지국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KT 제공
KT 직원들이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지국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KT 제공
통신기업들이 재난 상황에 대응하는 통신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육지와 바다를 아울러 통신망을 통합하거나, 기존에 음성전화만 가능했던 재난통신을 사진, 영상 등으로 다각화하는 식이다.

KT SAT는 지난 2일 위성 급전 전화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기존에 쓰는 유선 통신망이 끊겨도 전력거래소와 발전소, 변전소 간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위성 통신망을 추가로 운용하는 시스템이다. 전력거래소는 국내 전력 수급을 총괄하는 기관이다.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발전소나 변전소에 발전기를 기동·정지하도록 ‘급전지시’를 내린다.

KT SAT는 작년 12월부터 약 5개월간 한전KDN과 협력해 이 시스템을 구축했다. KT SAT 관계자는 “위성통신은 지상에서 발생한 재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재난상황에 유선 통신망이 끊겨도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시간 전력 공급 연락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엔 KT와 삼성전자, SK텔레콤 등이 함께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을 개통했다. 도입 논의를 시작한 지 18년 만이다. 경찰, 소방, 군, 지방자치단체 등의 무선통신망 333곳을 하나로 통합했다. 전 국토와 해상을 아울러 재난안전 전용 통신망을 운영하는 세계 최초 사례다.

이 전국망엔 4세대 이동통신인 LTE 기술을 적용했다. 전국 보급률이 100% 수준이라서다. 기존엔 각 기관이 서로 다른 초단파(VHF)·극초단파(UHF) 무전기나 상용망을 사용해 각개약진하던 탓에 비상 상황에서 공동 대응이 어려웠다. 앞으론 전국망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대부분 음성 통신에만 한정됐던 서비스도 사진과 영상 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범위를 늘렸다. 다중동시 영상전송기술을 적용해 최대 2500개 단말기가 서로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다. 특정 장비가 고장 나도 통신이 두절되지 않도록 통신망은 이중으로 구축한다.

전국망은 정부가 주도해 1조5000억원을 들여 구축했다. 사업권을 지역별로 셋으로 나눠 둘을 KT가, 하나는 SK텔레콤이 구축했다. 삼성전자는 기지국 설비와 가상화 코어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 등을 공급했다. 사업비 1조5000억원 중 9000억원가량이 통신망 구축에 투입됐다. 나머지는 각 기관 단말기 교체 비용과 운영 비용 등으로 쓴다.

지난 1일엔 국무회의에서 통신재난이 발생한 경우 이동통신사 간 통신망을 공동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일부개정안이 의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재난 발생 시 이동통신사 간 무선통신시설 공동이용(로밍)을 명령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특정 통신사의 통신망이 마비되더라도 이용자가 다른 통신사의 통신망을 이용해 전화나 문자를 할 수 있게 됐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재난 예방 및 대응 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통신재난관리심의위원회를 새로 설치할 예정이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