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車, 20년 만에 줄었다…전기차에 치이고 '미세먼지 주범' 오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디젤 차량 등록 첫 감소
지난해보다 2만4371대 줄어
SUV·미니밴 차량 판매 비중
3년새 절반…70%→37%
휘발유와 경유 가격차 좁혀지고
세금 인상 움직임도 영향
전기차·하이브리드 구매 늘어
지난해보다 2만4371대 줄어
SUV·미니밴 차량 판매 비중
3년새 절반…70%→37%
휘발유와 경유 가격차 좁혀지고
세금 인상 움직임도 영향
전기차·하이브리드 구매 늘어
도로 위 디젤 차량이 사라지고 있다. 디젤차 특유의 진동과 소음을 꺼리는 소비자가 늘고 미세먼지와 질소화합물을 상대적으로 많이 배출하는 디젤 엔진을 피하자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다.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 등 ‘대안’이 늘어난 것도 원인 중 하나다.
국내 등록된 디젤 차량은 2001년 말 기준 402만9650대에서 20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디젤을 연료로 많이 쓰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가 급증하고, 디젤 엔진을 탑재한 세단이 증가한 결과다. 디젤차가 1년 만에 50만 대 넘게 늘어난 적도 있었다. 이 같은 분위기는 2019년부터 조금씩 바뀌었다. 연간 증가폭이 5만 대 아래로 떨어졌고, 올 들어서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SUV와 미니밴에도 탈(脫)디젤 바람이 불고 있다. 2018년 국내 판매된 레저용차량(SUV 및 미니밴)의 70.4%가 디젤 모델이었지만, 올 1~4월엔 절반 수준인 36.8%로 줄었다. 작년 같은 기간(44.6%)과 비교해도 7.8%포인트 감소했다.
자동차 제조사들도 디젤 SUV 라인업을 줄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소형 SUV 코나의 디젤 모델을 단종했다. 쌍용자동차의 티볼리와 한국GM의 트랙스도 최근 디젤 모델을 없앴다. 한국GM의 트레일블레이저와 르노삼성자동차 XM3는 출시할 때부터 디젤 라인업이 없었다.
덩치가 큰 SUV 상황도 비슷하다. 올해 팔린 르노삼성 중형 SUV QM6의 디젤 모델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기아 쏘렌토(33.5%), 제네시스 GV80(33.3%) 및 GV70(19.4%), 현대차 투싼(22.4%), 쌍용자동차 코란도(9.6%) 등도 마찬가지다.
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차도 줄어드는 추세다. 정부가 2005년 경유 소비자 가격을 휘발유 대비 70%에서 85%로 올리기로 하고, 특별소비세를 인상했다. 최근에는 휘발유 가격이 하락하면서 자연스럽게 가격 격차가 100 대 90 수준으로 좁혀졌다.
이 상황에서 정부가 경유세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면서 디젤차의 매력이 크게 줄었다.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는 지난해 11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경유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경유 가격을 휘발유의 95% 혹은 100% 수준으로 높여 디젤차 판매를 줄여야 한다는 이유다.
승차감 때문에 디젤차를 꺼리는 이들도 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승차감에 대한 소비자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디젤차 특유의 진동과 소음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며 “경제적으로 혜택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불편한 승차감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했다.
연료비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도 늘고 있다. 하이브리드차량과 전기차가 대표적이다. 국산 중형 SUV 중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출시한 기아 쏘렌토의 판매량 중 약 3분의 1이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현대차도 중형 SUV 싼타페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곧 내놓을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부터 차세대 전기차가 집중적으로 출시되고 하이브리드 라인업도 늘어나면 디젤 차량의 입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SUV마저도…외면받는 디젤
7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등록된 디젤 차량은 996만7753대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999만2124대)과 비교하면 2만4371대 줄었다. 등록 디젤 차량 수가 줄어든 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1년 이후 처음이다.국내 등록된 디젤 차량은 2001년 말 기준 402만9650대에서 20년 만에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디젤을 연료로 많이 쓰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판매가 급증하고, 디젤 엔진을 탑재한 세단이 증가한 결과다. 디젤차가 1년 만에 50만 대 넘게 늘어난 적도 있었다. 이 같은 분위기는 2019년부터 조금씩 바뀌었다. 연간 증가폭이 5만 대 아래로 떨어졌고, 올 들어서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SUV와 미니밴에도 탈(脫)디젤 바람이 불고 있다. 2018년 국내 판매된 레저용차량(SUV 및 미니밴)의 70.4%가 디젤 모델이었지만, 올 1~4월엔 절반 수준인 36.8%로 줄었다. 작년 같은 기간(44.6%)과 비교해도 7.8%포인트 감소했다.
자동차 제조사들도 디젤 SUV 라인업을 줄이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소형 SUV 코나의 디젤 모델을 단종했다. 쌍용자동차의 티볼리와 한국GM의 트랙스도 최근 디젤 모델을 없앴다. 한국GM의 트레일블레이저와 르노삼성자동차 XM3는 출시할 때부터 디젤 라인업이 없었다.
덩치가 큰 SUV 상황도 비슷하다. 올해 팔린 르노삼성 중형 SUV QM6의 디젤 모델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기아 쏘렌토(33.5%), 제네시스 GV80(33.3%) 및 GV70(19.4%), 현대차 투싼(22.4%), 쌍용자동차 코란도(9.6%) 등도 마찬가지다.
저유가에 매력도 반감…대안도 늘어
업계에서는 과거에 비해 디젤차의 매력이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장 유가가 2000년대 말~2010년대 초중반에 비해 안정적이라 연료비 절감 효과가 크지 않다. 지난 2~3년간 국내 주유소의 평균 휘발유 가격은 L당 1300~1500원 수준이다. 지난해 평균 가격은 1381.4원이다. 2011년(1929.3원)과 비교하면 500원 넘게 떨어졌다.휘발유와 경유의 가격차도 줄어드는 추세다. 정부가 2005년 경유 소비자 가격을 휘발유 대비 70%에서 85%로 올리기로 하고, 특별소비세를 인상했다. 최근에는 휘발유 가격이 하락하면서 자연스럽게 가격 격차가 100 대 90 수준으로 좁혀졌다.
이 상황에서 정부가 경유세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면서 디젤차의 매력이 크게 줄었다.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는 지난해 11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경유세를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경유 가격을 휘발유의 95% 혹은 100% 수준으로 높여 디젤차 판매를 줄여야 한다는 이유다.
승차감 때문에 디젤차를 꺼리는 이들도 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승차감에 대한 소비자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디젤차 특유의 진동과 소음을 싫어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며 “경제적으로 혜택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불편한 승차감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했다.
연료비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도 늘고 있다. 하이브리드차량과 전기차가 대표적이다. 국산 중형 SUV 중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출시한 기아 쏘렌토의 판매량 중 약 3분의 1이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현대차도 중형 SUV 싼타페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곧 내놓을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부터 차세대 전기차가 집중적으로 출시되고 하이브리드 라인업도 늘어나면 디젤 차량의 입지는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