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 본격 착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 참석… 국내 우주산업 활성화 기대
“KAI, 2030년 아시아 대표하는 항공우주체계종합업체 될 것”
“KAI, 2030년 아시아 대표하는 항공우주체계종합업체 될 것”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19회 국가우주위원회에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는 한미 미사일 지침종료에 따른 고체연료 발사체 개발 및 발사장 구축계획, 한미 위성항법 협력에 따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계획 구체화,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 등이 주요 안건으로 상정됐다.
우리나라는‘6G 시대의 위성통신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오는 3031년까지 총 14기 저궤도 초소형 통신위성 발사를 통해 저궤도 군집위성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 등을 추진 중이다.
KAI는 우주산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기존 방침 외에 이번 한미 정상회담 성과를 계기로 민간주도의 우주개발로 전환되는 뉴스페이스 시대의 진입과 참여를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KPS 분야에서 기존 정지궤도 복합위성 제작 시 80% 이상 국산화한 경험을 토대로 국내 우주산업 활성화의 기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국가우주위 위원으로 참여한 안현호 사장은 “한미 정상회담 우주분야성과는 국내 우주산업체의 추가적인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KAI는 2030년까지 아시아를 대표하는 항공우주 체계종합업체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KAI는 다목적실용위성 제작, 정지궤도복합위성 등의 연구개발에 참여하며 핵심기술을 확보했다. 또, 한국형발사체 총조립과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을 주관하는 총괄업체로서 정찰위성의 연구개발도 담당하고 있다.
위성의 설계부터 제작, 조립, 시험이 가능한데다 대형부터 초소형 위성까지 다수의 위성을 동시 제작할 수 있는 민간 우주센터도 지난 해 구축해 양산 체제도 확보한 상태다.
민간 기술이전을 위한 전략사업으로 기획된 차세대 중형위성은 기술이전을 위해 항우연과 공동 개발하여 4월 성공적으로 발사, 운영 중인 1호에 이어 KAI가 제작한 2호를 내년 상반기에 발사할 예정이다.
또한 KAI는 2단계 사업의 주관 사업자로 3, 4, 5호 개발부터 발사까지 총괄하여 동시에 진행 중이며, 최근 4호의 발사 서비스 업체로 미국의 스페이스-X를 선정하고 계약을 진행 중이다.
올 10월에 시험 발사를 앞두고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대형 추진제탱크 등 부품 제작을 마치고 총조립이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KAIST 등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맺고 저궤도 소형위성사업과 발사서비스, 위성정보 및 영상 서비스 분야로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휴관계를 수립하고 KAI를 중심으로 한 민간 주도형 밸류 체인을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KAI는 해외수출 시 항공기와 위성을 패키지로 연계하여 해외 시장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한미 미사일 지침종료에 따른 고체연료 발사체 개발 및 발사장 구축계획, 한미 위성항법 협력에 따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계획 구체화,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 등이 주요 안건으로 상정됐다.
우리나라는‘6G 시대의 위성통신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오는 3031년까지 총 14기 저궤도 초소형 통신위성 발사를 통해 저궤도 군집위성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 등을 추진 중이다.
KAI는 우주산업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기존 방침 외에 이번 한미 정상회담 성과를 계기로 민간주도의 우주개발로 전환되는 뉴스페이스 시대의 진입과 참여를 더욱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KPS 분야에서 기존 정지궤도 복합위성 제작 시 80% 이상 국산화한 경험을 토대로 국내 우주산업 활성화의 기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국가우주위 위원으로 참여한 안현호 사장은 “한미 정상회담 우주분야성과는 국내 우주산업체의 추가적인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KAI는 2030년까지 아시아를 대표하는 항공우주 체계종합업체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KAI는 다목적실용위성 제작, 정지궤도복합위성 등의 연구개발에 참여하며 핵심기술을 확보했다. 또, 한국형발사체 총조립과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을 주관하는 총괄업체로서 정찰위성의 연구개발도 담당하고 있다.
위성의 설계부터 제작, 조립, 시험이 가능한데다 대형부터 초소형 위성까지 다수의 위성을 동시 제작할 수 있는 민간 우주센터도 지난 해 구축해 양산 체제도 확보한 상태다.
민간 기술이전을 위한 전략사업으로 기획된 차세대 중형위성은 기술이전을 위해 항우연과 공동 개발하여 4월 성공적으로 발사, 운영 중인 1호에 이어 KAI가 제작한 2호를 내년 상반기에 발사할 예정이다.
또한 KAI는 2단계 사업의 주관 사업자로 3, 4, 5호 개발부터 발사까지 총괄하여 동시에 진행 중이며, 최근 4호의 발사 서비스 업체로 미국의 스페이스-X를 선정하고 계약을 진행 중이다.
올 10월에 시험 발사를 앞두고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는 대형 추진제탱크 등 부품 제작을 마치고 총조립이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KAIST 등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맺고 저궤도 소형위성사업과 발사서비스, 위성정보 및 영상 서비스 분야로 진출을 위한 전략적 제휴관계를 수립하고 KAI를 중심으로 한 민간 주도형 밸류 체인을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KAI는 해외수출 시 항공기와 위성을 패키지로 연계하여 해외 시장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