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쪼그라들었다. 실물경제 회복 속도가 빨라지는 올해는 다시 불어날 전망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이 3만1881달러(약 3762만원)로 집계됐다고 9일 발표했다. 2019년에 비해 1.0%(323달러) 줄었다. 2019년(-4.1%)에 이어 2년 연속 감소세다. 1인당 국민소득은 한 해 동안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수로 나눈 것으로 국민 생활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 지표다.

한국은 2017년(3만1734달러) 처음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여는 등 국민소득이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0.9%를 기록하면서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성장률은 1998년(-5.1%) 후 22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1.7%로 집계됐다. 지난 4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출 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 증가율이 1.2%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올랐다. 수출증가율도 2.0%로 0.1%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공장에 들어가는 기계류 등을 나타내는 설비투자 증가율은 6.1%로 0.5%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한은은 경기 회복 속도를 반영해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이 작년보다 불어날 것이라고 봤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올해 성장률이 4%로 전망되는 데다 물가도 오름세를 보이는 만큼 국민소득을 결정할 명목 성장률도 높아질 것”이라며 “원화가 큰 폭의 약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달러로 환산한 국민소득이 작년보다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씀씀이를 억제한 영향으로 가계의 순저축률이 2019년 6.9%에서 작년 11.9%로 상승한 것도 실물경제 회복을 뒷받침할 전망이다. 올 들어 가계가 불어난 저축액을 바탕으로 씀씀이를 늘릴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