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생산자·소비자물가 격차 사상 최고치…기업들 '몸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격차가 사상 최대 차이로 벌어졌다. 중국 제조기업들의 영업이익이 더욱 악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CNBC는 9일(현지시간) "중국의 5월 PPI 증가율과 CPI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 기준) 간 차이가 7.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7년 7%의 격차를 능가하는 수치라고 강조했다.
전날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5월 PPI는 전년 대비 9.0% 상승하며 예상치 8.6%를 웃돌았다. 이는 2008년 이후 13년만의 최고치다. 중국은 철광석, 구리 등 주요 원자재 최대 소비국으로, 최근 주요 원자재 값이 폭등하면서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린 것이다.
동기간 CPI는 전년 대비 1.3% 올라 시장 전망치 1.5%보다 밑돌았다. CNBC는 "소비자에 대한 판매가격의 경우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PPI와 CPI 상승률 간 격차가 최고치를 찍음에 따라 중국 기업의 이윤 감소로 직결될 전망이다. 생산원가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맥쿼리그룹의 중국 수석이코노미스트 래리 후는 "이 최대치 격차는 특히 중원자재를 사용하는 기업들의 이익률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면서 "자동차·선박·항공기 제조사가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반면 광업이나 철강생산기업들은 원자재 값 폭등으로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중국이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 압박은 대부분 수입 철광석 등 수입물가에 의한 것으로 중국 당국이 손쓰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PPI와 CPI 상승률 격차가 좁혀지려면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 상품 수요를 급랭시키고, 세계 경기회복세가 서비스 수요에 의해 더 활성화돼야 가능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반스 프릿차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PPI가 고점에 근접한 상태라고 전망했다. 그는 "소비자 가전제품의 생산자가격에 대한 상승 압박이 다소 완화되고 있는 등 PPI의 상승세가 꺾일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6월부터 지난해 PPI의 기저효과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CNBC는 9일(현지시간) "중국의 5월 PPI 증가율과 CPI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 기준) 간 차이가 7.7%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7년 7%의 격차를 능가하는 수치라고 강조했다.
전날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5월 PPI는 전년 대비 9.0% 상승하며 예상치 8.6%를 웃돌았다. 이는 2008년 이후 13년만의 최고치다. 중국은 철광석, 구리 등 주요 원자재 최대 소비국으로, 최근 주요 원자재 값이 폭등하면서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린 것이다.
동기간 CPI는 전년 대비 1.3% 올라 시장 전망치 1.5%보다 밑돌았다. CNBC는 "소비자에 대한 판매가격의 경우 상당히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PPI와 CPI 상승률 간 격차가 최고치를 찍음에 따라 중국 기업의 이윤 감소로 직결될 전망이다. 생산원가 상승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맥쿼리그룹의 중국 수석이코노미스트 래리 후는 "이 최대치 격차는 특히 중원자재를 사용하는 기업들의 이익률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면서 "자동차·선박·항공기 제조사가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반면 광업이나 철강생산기업들은 원자재 값 폭등으로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중국이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 압박은 대부분 수입 철광석 등 수입물가에 의한 것으로 중국 당국이 손쓰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PPI와 CPI 상승률 격차가 좁혀지려면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 상품 수요를 급랭시키고, 세계 경기회복세가 서비스 수요에 의해 더 활성화돼야 가능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반스 프릿차드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PPI가 고점에 근접한 상태라고 전망했다. 그는 "소비자 가전제품의 생산자가격에 대한 상승 압박이 다소 완화되고 있는 등 PPI의 상승세가 꺾일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6월부터 지난해 PPI의 기저효과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