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서 韓·日 약식 정상회담 일방 취소한 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가 "약속 안 지키는 한국 탓"
외교부 "독도훈련 이유로 거부"
文 임기내 관계개선 어려울 듯
외교부 "독도훈련 이유로 거부"
文 임기내 관계개선 어려울 듯
영국 콘월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약식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일본이 독도방어훈련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재인 대통령과 짧게 대면한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사진)는 “국가와 국가 사이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 상황”이라며 정상회담 불발의 원인을 한국 측에 돌렸다. 일본이 한국의 대화 제의를 거듭 거절하며 한·일 관계 개선이 힘들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14일 “일본 측이 연례적으로 실시하는 동해영토 수호훈련을 이유로 당초 실무 차원에서 잠정 합의했던 약식회담마저 끝내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독도방어훈련’으로 알려진 동해영토 수호훈련이 15일 시작되는 가운데 일본이 이를 핑계로 정상회담에 응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SNS에 “스가 총리와의 첫 대면은 한·일 관계에서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회담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며 한·일 정상회담 불발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날 스가 총리는 문 대통령과 1분가량의 짧은 대면 후 자국 취재진에게 “한국 측의 움직임으로 한·일 문제가 어려워지고 있다”며 “문 대통령이 지도력을 발휘해 문제를 잘 정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 해결의 책임을 한국 정부에 돌리고 문 대통령이 직접 ‘정치적 해결 방안’을 들고 올 것을 요구한 것이다. 이 매체는 “일본이 영국 측에 초청국으로서 한국과 호주, 인도를 초대하는 것은 좋지만 G7 구조 확대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는 G7 관계자의 말도 전했다. 아시아 유일의 G7 회원국으로 남고 싶은 일본이 한국의 참여를 적극 반대했다는 분석이다.
스가 내각이 코로나19 대처 미흡으로 30%대까지 떨어진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해 ‘한국 때리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재인 정부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임기 내 한·일 관계 개선은 요원해졌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앞서 한국 법원은 지난달부터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각각 일본 정부와 기업 16곳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을 연거푸 기각하며 한·일 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것이란 기대를 모았지만 결국 물거품이 됐다.
송영찬/강영연 기자 0full@hankyung.com
외교부 당국자는 14일 “일본 측이 연례적으로 실시하는 동해영토 수호훈련을 이유로 당초 실무 차원에서 잠정 합의했던 약식회담마저 끝내 응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독도방어훈련’으로 알려진 동해영토 수호훈련이 15일 시작되는 가운데 일본이 이를 핑계로 정상회담에 응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SNS에 “스가 총리와의 첫 대면은 한·일 관계에서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회담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며 한·일 정상회담 불발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날 스가 총리는 문 대통령과 1분가량의 짧은 대면 후 자국 취재진에게 “한국 측의 움직임으로 한·일 문제가 어려워지고 있다”며 “문 대통령이 지도력을 발휘해 문제를 잘 정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 해결의 책임을 한국 정부에 돌리고 문 대통령이 직접 ‘정치적 해결 방안’을 들고 올 것을 요구한 것이다. 이 매체는 “일본이 영국 측에 초청국으로서 한국과 호주, 인도를 초대하는 것은 좋지만 G7 구조 확대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는 G7 관계자의 말도 전했다. 아시아 유일의 G7 회원국으로 남고 싶은 일본이 한국의 참여를 적극 반대했다는 분석이다.
스가 내각이 코로나19 대처 미흡으로 30%대까지 떨어진 지지율을 만회하기 위해 ‘한국 때리기’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재인 정부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임기 내 한·일 관계 개선은 요원해졌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앞서 한국 법원은 지난달부터 위안부와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각각 일본 정부와 기업 16곳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을 연거푸 기각하며 한·일 관계 개선의 실마리가 될 것이란 기대를 모았지만 결국 물거품이 됐다.
송영찬/강영연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