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민간 주도 개발·정비 방식이 포함된 이른바 ‘2세대 도시재생’ 사업에 나선다. 보존·관리에만 치우쳤던 박원순 전 시장의 도시재생 방식에서 벗어나 개발할 곳과 관리가 필요한 곳을 구분해 장소 중심으로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을 펼치겠다는 구상이다.

보존에서 개발·정비로…서울시 '2세대 도시재생' 나선다
17일 서울시가 발표한 ‘2세대 도시재생’ 방안에 따르면 기존 네 가지(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일반근린형·거점확산형) 도시재생 유형을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 재생’과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심지 특화재생’ 두 가지로 간소화했다. 유형별 사업 실행 방식은 △재개발 연계형 △소규모 주택정비형 △종합관리형 △경제거점 육성형 △중심지 활성화형 △지역자산 특화형 등 여섯 가지다. 2026년까지 시비·국비 7300억원을 포함한 7조900억원을 투입해 주택 2만4000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기존 도시재생은 노후 저층주거지의 경우 보존·관리 위주로만 추진해 주택 공급, 기반시설 등 낙후성 개선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공공사업으로만 추진돼 민간 참여가 저조하고 재생의 파급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보존에서 개발·정비로…서울시 '2세대 도시재생' 나선다
서울시가 새롭게 추진하는 ‘주거지 재생’은 기반시설이 열악한 주거지에서 민간 주도 재개발 사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특징이다. 사업성 등의 이유로 재개발 추진이 어려운 지역은 주변에 도로·공원 같은 기반시설을 조성해 소규모 정비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약한 ‘모아주택’도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으로 본격 추진한다. 토지주들이 지하 주차장 확보가 가능한 면적(500㎡) 이상을 모아 공동주택을 지으면 인센티브를 부여할 방침이다. 한옥밀집지역·고도지역 등 도시계획 규제로 재개발이 어려운 곳은 기반시설 정비와 주택성능 개선 지원 등을 통해 종합적인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중심지 특화재생은 그동안 미미했던 민간개발 활성화에 방점을 두기로 했다. 주로 도심 내 저이용 대규모 부지, 쇠퇴한 시가지, 역사·문화적 의미가 있는 공간 등이 대상이다. 서울시는 첫 번째 경제거점 육성 시범 사업지로 대규모(43만㎡) 가용 부지가 있는 강서구 김포공항 일대를 정했다. 주차장과 창고 등이 있는 부지를 항공 관련 신산업·물류 거점으로 조성해 낙후된 서남권의 미래산업 특화지구로 육성할 방침이다. 도심 내 쇠퇴한 시가지에서는 기존 산업을 고도화하고, 민간개발로 신산업을 도입해 활력을 불어넣는 중심지 활성화형 방식으로 도시재생에 나설 계획이다. 용산전자상가 등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중인 곳은 기존 공공사업을 하면서 이해관계자 간 협의를 거쳐 민간개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개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제시할 예정이다.

양용택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직무대리는 “그동안 지적된 도시재생의 한계를 개선하고, 개발을 바라는 시민의 요구를 반영했다”며 “노후 주거지 개선 등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도시재생사업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