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해신항 예타 통과에 '올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울경 메가시티의 핵심축
스마트 동북아 물류플랫폼"
KDI 현장점검 맞춰 총력전
첨단 지능형 초대형 항만 건설
1단계 9개 선석 2031년 완공
12개 선석은 2단계로 추후 추진
스마트 동북아 물류플랫폼"
KDI 현장점검 맞춰 총력전
첨단 지능형 초대형 항만 건설
1단계 9개 선석 2031년 완공
12개 선석은 2단계로 추후 추진
경상남도와 지역 경제계가 최대 국책사업인 진해신항의 조속한 건설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조사가 이달부터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타를 이른 시일 내에 통과한 뒤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는 것이 경상남도의 구상이다.
도는 KDI가 진해신항 1단계 건설사업에 필요한 예타 현장점검을 했다고 17일 발표했다. KDI 재정투자평가실 전문 연구진과 대학교수 등 외부 연구진은 진해신항 예정지를 찾아 개발 계획과 조기 건설의 필요성 등을 확인했다. 도는 이 자리에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특화도시)의 경제분야 핵심축으로 진해신항의 조속한 건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인국 도 미래전략국장은 “진해신항은 수도권 블랙홀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부울경 메가시티의 주축에서 빠질 수 없는 사업”이라며 “스마트 동북아시아 물류 플랫폼 구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진해신항의 조속한 예타 통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내 최대 규모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진해신항 사업은 지난해 11월 예타 통과 실패 후 재도전을 통해 지난 4월 정부의 예타 사업 대상으로 다시 선정됐다. 애초 진해신항은 21개 선석 규모로 한꺼번에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그러나 근소한 차이로 경제성을 충족하지 못하자 1단계로 9개 선석을 2031년까지 우선 건설하기로 전략을 수정했다. 나머지 12개 선석은 사업 추진 타당성 등을 확보한 뒤 2단계로 추진할 계획이다. 진해신항의 조속한 건설을 위해서는 올해 1단계 사업에 대한 예타를 반드시 완료해야 한다는 게 도의 입장이다.
이 때문에 도와 지역 경제계는 진해신항 예타 통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2월 창원상공회의소협의회와 부산상공회의소를 시작으로 3월에는 창원시의회, 도의회 등이 진해신항의 조속한 예타 통과와 건설을 요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다. 지역민의 의견을 전달하기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도 오는 7월 말까지 진행한다. 범도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8개 시·군에 서명운동 동참도 독려하고 있다.
진해신항 1단계 사업은 접안시설 9선석, 항만배후단지 67만4000㎡, 호안 8.08㎞, 방파제 1.4㎞, 임항교통시설 6㎞ 등이 포함돼 있다. 사업비는 7조7001억원으로 2031년 완공 목표다. 전체 진해신항은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첨단 지능형 초대형 항만(스마트 메가포트)으로 건설된다. 완공되면 신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싱가포르, 중국 등 동북아 주요 항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진해신항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로 생산 유발 효과 28조4785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22조1788억원을 비롯해 17만8222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
도는 KDI가 진해신항 1단계 건설사업에 필요한 예타 현장점검을 했다고 17일 발표했다. KDI 재정투자평가실 전문 연구진과 대학교수 등 외부 연구진은 진해신항 예정지를 찾아 개발 계획과 조기 건설의 필요성 등을 확인했다. 도는 이 자리에서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특화도시)의 경제분야 핵심축으로 진해신항의 조속한 건설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인국 도 미래전략국장은 “진해신항은 수도권 블랙홀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부울경 메가시티의 주축에서 빠질 수 없는 사업”이라며 “스마트 동북아시아 물류 플랫폼 구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진해신항의 조속한 예타 통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내 최대 규모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진해신항 사업은 지난해 11월 예타 통과 실패 후 재도전을 통해 지난 4월 정부의 예타 사업 대상으로 다시 선정됐다. 애초 진해신항은 21개 선석 규모로 한꺼번에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그러나 근소한 차이로 경제성을 충족하지 못하자 1단계로 9개 선석을 2031년까지 우선 건설하기로 전략을 수정했다. 나머지 12개 선석은 사업 추진 타당성 등을 확보한 뒤 2단계로 추진할 계획이다. 진해신항의 조속한 건설을 위해서는 올해 1단계 사업에 대한 예타를 반드시 완료해야 한다는 게 도의 입장이다.
이 때문에 도와 지역 경제계는 진해신항 예타 통과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2월 창원상공회의소협의회와 부산상공회의소를 시작으로 3월에는 창원시의회, 도의회 등이 진해신항의 조속한 예타 통과와 건설을 요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했다. 지역민의 의견을 전달하기 위한 온라인 서명운동도 오는 7월 말까지 진행한다. 범도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18개 시·군에 서명운동 동참도 독려하고 있다.
진해신항 1단계 사업은 접안시설 9선석, 항만배후단지 67만4000㎡, 호안 8.08㎞, 방파제 1.4㎞, 임항교통시설 6㎞ 등이 포함돼 있다. 사업비는 7조7001억원으로 2031년 완공 목표다. 전체 진해신항은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첨단 지능형 초대형 항만(스마트 메가포트)으로 건설된다. 완공되면 신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싱가포르, 중국 등 동북아 주요 항만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진해신항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로 생산 유발 효과 28조4785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22조1788억원을 비롯해 17만8222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