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 동결…인플레 속 2023년 금리 조기 인상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원들, 2023년 2차례 인상 관측…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 3.4%로 대폭 상향
"코로나 확산 감소, 경제지표 강화"…자산매입 유지하면서 축소 논의도 시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일(현지시간) '제로 금리'를 유지했으나 향후 금리 인상 시기는 애초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 전망치보다 물가상승률은 가파르게 높아지고 올해 경제성장률이 확대될 것으로 관측됐다.
이에 따라 당초보다 1년 이른 2023년에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연준은 이틀간 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 후 이날 내놓은 성명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를 현 0.00∼0.25%에서 동결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1.00∼1.25%에서 0.00∼0.25%로 인하한 후 제로 금리가 계속 유지된 것이다.
연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증가함에 따라 대유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이 진행되면서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이 감소했고 이런 진전과 강력한 정책 지원 속에 경제 활동과 고용 지표가 강화됐다고 연준은 설명했다.
지난번 성명에 있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엄청난 인적 및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는 표현은 삭제됐다.
연준은 별도로 내놓은 점도표(dot plot)에서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보다 인상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FOMC 위원 18명 가운데 13명이 2023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 중 대다수인 11명이 최소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점쳤다.
2023년 말까지 현행 금리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한 위원은 5명에 그쳤다.
위원 7명은 2022년에 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런 전망은 3월 회의 때보다 앞당겨진 것으로, 당시엔 4명이 2022년에, 7명이 2023년에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미국 경제·물가 전망에도 변동이 생겼다.
연준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지난 3월 예상한 2.4%에서 연말까지 3.4%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다만 연준은 최근의 물가 급등은 일시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또 올해 국내총생산(GDP) 예상치를 기존의 6.5%에서 7%로 상향 조정했다.
실업률 추정치는 4.5%로 변동이 없었다.
관심을 모았던 자산 매입 축소(테이퍼링)와 관련, 매달 1천200억 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 규모에는 변화가 없었다.
연준은 최대 고용과 2% 인플레이션 목표를 향해 상당한 추가 진전이 이뤄질 때까지 자산 매입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을 극복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매달 800억 달러 규모의 국채와 400억 달러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하고 있다.
일각에서 최근 인플레이션 여파로 시중에 돈을 푸는 규모를 조절하는 테이퍼링 논의에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연준은 성명에선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에서 테이퍼링에 관한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하면서도 최대한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테이퍼링 문제를 논의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고 언급, 논의 자체는 인정했지만, 테이퍼링은 '훨씬 이후'의 상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통화정책을 변경할 경우 충분한 시간을 두고 미리 시장에 알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목표와 일치하는 수준을 넘어 실질적이고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징후가 포착되면 정책을 변경할 것"이라고 했다.
파월 의장은 최근 물가 급등세와 관련, 코로나19로 봉쇄됐던 경제 재개의 역학관계를 거론하며 인플레이션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고 지속적일 수 있다고 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코로나 확산 감소, 경제지표 강화"…자산매입 유지하면서 축소 논의도 시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일(현지시간) '제로 금리'를 유지했으나 향후 금리 인상 시기는 애초 예상보다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 전망치보다 물가상승률은 가파르게 높아지고 올해 경제성장률이 확대될 것으로 관측됐다.
이에 따라 당초보다 1년 이른 2023년에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연준은 이틀간 통화정책회의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개최한 후 이날 내놓은 성명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를 현 0.00∼0.25%에서 동결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1.00∼1.25%에서 0.00∼0.25%로 인하한 후 제로 금리가 계속 유지된 것이다.
연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증가함에 따라 대유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이 진행되면서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이 감소했고 이런 진전과 강력한 정책 지원 속에 경제 활동과 고용 지표가 강화됐다고 연준은 설명했다.
지난번 성명에 있던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엄청난 인적 및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는 표현은 삭제됐다.
연준은 별도로 내놓은 점도표(dot plot)에서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보다 인상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FOMC 위원 18명 가운데 13명이 2023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 중 대다수인 11명이 최소 두 차례 금리 인상을 점쳤다.
2023년 말까지 현행 금리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한 위원은 5명에 그쳤다.
위원 7명은 2022년에 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런 전망은 3월 회의 때보다 앞당겨진 것으로, 당시엔 4명이 2022년에, 7명이 2023년에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미국 경제·물가 전망에도 변동이 생겼다.
연준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지난 3월 예상한 2.4%에서 연말까지 3.4%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다만 연준은 최근의 물가 급등은 일시적인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또 올해 국내총생산(GDP) 예상치를 기존의 6.5%에서 7%로 상향 조정했다.
실업률 추정치는 4.5%로 변동이 없었다.
관심을 모았던 자산 매입 축소(테이퍼링)와 관련, 매달 1천200억 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 규모에는 변화가 없었다.
연준은 최대 고용과 2% 인플레이션 목표를 향해 상당한 추가 진전이 이뤄질 때까지 자산 매입이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을 극복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매달 800억 달러 규모의 국채와 400억 달러 규모의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하고 있다.
일각에서 최근 인플레이션 여파로 시중에 돈을 푸는 규모를 조절하는 테이퍼링 논의에 들어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연준은 성명에선 이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회의에서 테이퍼링에 관한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하면서도 최대한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테이퍼링 문제를 논의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고 언급, 논의 자체는 인정했지만, 테이퍼링은 '훨씬 이후'의 상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통화정책을 변경할 경우 충분한 시간을 두고 미리 시장에 알리겠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목표와 일치하는 수준을 넘어 실질적이고 지속적으로 초과하는 징후가 포착되면 정책을 변경할 것"이라고 했다.
파월 의장은 최근 물가 급등세와 관련, 코로나19로 봉쇄됐던 경제 재개의 역학관계를 거론하며 인플레이션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고 지속적일 수 있다고 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