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의료서비스 수요↑…LG화학·휴젤 등 기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메리츠증권 분석
중국의 소비지표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미용과 치과 등 의료 서비스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련된 한국 기업에도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24일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중국 단오절 연휴인 지난 12~14일의 소비는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총 소비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0% 늘었지만, 2019년의 75% 수준에 불과했다. 남부에 위치한 광둥성에서 지역 감염 확산과 함께 봉쇄령(락다운)이 실시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중국의 소비재 기업 주가는 대체로 제자리걸음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치과와 미용의료 등 중국 의료 서비스 기업들의 주가는 신고가에 근접하거나 신고가를 기록했다. 치과기업인 ‘통처의료’, 필러 생산 기업인 ‘볼룸메이지’, 히알루론산 생산기업인 ‘아이메이커' 등이 대표적이다.
올해 예상 실적 기준으로 중국 의료 서비스 및 미용 관련 기업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150배에 달한다는 것이다. 로봇청소기업의 69배와 아파트관리기업의 43배와 비교해도 높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설리반은 중국의 의료미용 시장이 2024년 490억달러(약 5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앞으로 5년간 연평균 15%씩 증가한다는 관측이다. 전망대로라면 중국 시장은 2024년에 세계 의료미용 시장의 25%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최설화 연구원은 “중국은 지난해 1인당 평균 국내총생산(GDP)이 1만달러를 넘어섰다”며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한 중국이 필수재에서 점점 질 높은 삶을 위한 서비스로 소비 수요를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중국의 변화는 한국 기업에도 기회가 될 것으로 봤다. 이미 미용과 건강관리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한국 기업의 협력 사례도 많다. 화동제약은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제품에 대해 각각 LG화학 및 제테마와 제휴했다. 쓰촨의약과 아이메이커는 각각 휴젤, 휴온스와 톡신에 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최 연구원은 "중국의 전체 소비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41%로 선진국과 대비해서 여전히 낮지만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자동차·화학·정유(차화정) 만큼 시장이 크지는 않겠지만 중국의 미용 및 건강관리 산업에서 한국 기업의 기회는 분명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인혁 기자
24일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중국 단오절 연휴인 지난 12~14일의 소비는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총 소비 지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0% 늘었지만, 2019년의 75% 수준에 불과했다. 남부에 위치한 광둥성에서 지역 감염 확산과 함께 봉쇄령(락다운)이 실시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중국의 소비재 기업 주가는 대체로 제자리걸음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치과와 미용의료 등 중국 의료 서비스 기업들의 주가는 신고가에 근접하거나 신고가를 기록했다. 치과기업인 ‘통처의료’, 필러 생산 기업인 ‘볼룸메이지’, 히알루론산 생산기업인 ‘아이메이커' 등이 대표적이다.
올해 예상 실적 기준으로 중국 의료 서비스 및 미용 관련 기업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은 150배에 달한다는 것이다. 로봇청소기업의 69배와 아파트관리기업의 43배와 비교해도 높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설리반은 중국의 의료미용 시장이 2024년 490억달러(약 5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앞으로 5년간 연평균 15%씩 증가한다는 관측이다. 전망대로라면 중국 시장은 2024년에 세계 의료미용 시장의 25%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최설화 연구원은 “중국은 지난해 1인당 평균 국내총생산(GDP)이 1만달러를 넘어섰다”며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한 중국이 필수재에서 점점 질 높은 삶을 위한 서비스로 소비 수요를 확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중국의 변화는 한국 기업에도 기회가 될 것으로 봤다. 이미 미용과 건강관리 등의 분야에서 상당한 기술과 경험을 축적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한국 기업의 협력 사례도 많다. 화동제약은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제품에 대해 각각 LG화학 및 제테마와 제휴했다. 쓰촨의약과 아이메이커는 각각 휴젤, 휴온스와 톡신에 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최 연구원은 "중국의 전체 소비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41%로 선진국과 대비해서 여전히 낮지만 점점 높아질 것"이라며 “자동차·화학·정유(차화정) 만큼 시장이 크지는 않겠지만 중국의 미용 및 건강관리 산업에서 한국 기업의 기회는 분명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