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與 최고위원, 현대차 노조 직격…"청년에 소득 양보하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동학 민주당 청년 최고위원
현대차 노조에 '기득권' 비판
"정년연장하려면 청년과 일자리 나눠야"
노조에 대한 MZ세대 불만 대변
현대차 노조에 '기득권' 비판
"정년연장하려면 청년과 일자리 나눠야"
노조에 대한 MZ세대 불만 대변
이동학 더불어민주당 청년 최고위원(39)이 임금인상과 정년연장을 추진하는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을 향해 “자신들의 이해관계만 중요하며 타인의 이해관계는 고려하지 않는 기득권”이라며 공개적으로 쓴 소리를 날렸다.
이 최고위원은 24일 자신의 SNS에 현대차 노조가 임금인상과 정년연장을 요구하면서 ‘MZ세대(1980년대 이후 출생자)’와 갈등을 빚고 있다는 기사를 소개한 뒤 “현대차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우리 사회의 일부지만 우리 전체의 축소판 사례”라고 표현했다.
기사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9차 교섭까지 마무리된 임단협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국민연금 수령시점과 연계한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호봉표 호간 인상, 당기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도 제시했다.
하지만 사무연구직을 중심으로 한 MZ세대 직원들은 노조 요구에 반감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MZ세대 직원들은 노조 요구가 ‘갓술직(신+기술직)’으로 불리는 고연차 기술직을 위한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이 최고위원은 현대차 노조를 향해 “정년을 아예 없애버리시고 더 오래 일해달라”며 “대신 소득은 좀 많이 양보하세요. 청년들이 더 열심히 일할 테니 돈을 좀 더 주세요”라고 했다. 노조가 정년 연장을 이뤄내려면 일자리를 청년들과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 대해 이 최고위원은 “초고령화 시대에 노동시장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기성세대와 노동시장에 진입해야만 하는 청년들의 ‘제로섬 게임’”이라고 설명했다. ‘저성장 국면과 빠른 혁신 생태계’가 공존하는 현실에서 당연히 안정적인 정규직은 유지되기 어렵고, 비정규직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이 최고위원의 판단이다.
이 최고위원은 ‘사회 협약’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는 “국가의 부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에 한계가 있다면 우리는 내부적으로 새로운 사회 협약을 맺어야만 한다”며 “지금처럼 분배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통 진보 시각으로는 청년들에게 더 나은 삶을 만들어줄 수 없다”고 강조했다.
1982년생인 이 최고위원은 송영길 민주당 대표의 지명으로 지난달 당 지도부에 합류했다. 미국 하버드대 출신인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36)와 달리 대전공고, 경기대 법학과를 나와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 정치권에 뛰어들었다. 민주당에 입당한 뒤 당 혁신위원과 전국청년위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부터는 61개국 157개 도시를 다니며 쓰레기 등 환경 문제를 고민해왔다. 지난해 <쓰레기책>이라는 저서를 출간했고 ‘쓰레기센터’를 설립해 환경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
이 최고위원은 24일 자신의 SNS에 현대차 노조가 임금인상과 정년연장을 요구하면서 ‘MZ세대(1980년대 이후 출생자)’와 갈등을 빚고 있다는 기사를 소개한 뒤 “현대차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은 우리 사회의 일부지만 우리 전체의 축소판 사례”라고 표현했다.
기사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9차 교섭까지 마무리된 임단협에서 기본급 9만9000원 인상, 국민연금 수령시점과 연계한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호봉표 호간 인상, 당기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도 제시했다.
하지만 사무연구직을 중심으로 한 MZ세대 직원들은 노조 요구에 반감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MZ세대 직원들은 노조 요구가 ‘갓술직(신+기술직)’으로 불리는 고연차 기술직을 위한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이 최고위원은 현대차 노조를 향해 “정년을 아예 없애버리시고 더 오래 일해달라”며 “대신 소득은 좀 많이 양보하세요. 청년들이 더 열심히 일할 테니 돈을 좀 더 주세요”라고 했다. 노조가 정년 연장을 이뤄내려면 일자리를 청년들과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 대해 이 최고위원은 “초고령화 시대에 노동시장을 벗어나지 않으려는 기성세대와 노동시장에 진입해야만 하는 청년들의 ‘제로섬 게임’”이라고 설명했다. ‘저성장 국면과 빠른 혁신 생태계’가 공존하는 현실에서 당연히 안정적인 정규직은 유지되기 어렵고, 비정규직은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 이 최고위원의 판단이다.
이 최고위원은 ‘사회 협약’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는 “국가의 부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것에 한계가 있다면 우리는 내부적으로 새로운 사회 협약을 맺어야만 한다”며 “지금처럼 분배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통 진보 시각으로는 청년들에게 더 나은 삶을 만들어줄 수 없다”고 강조했다.
1982년생인 이 최고위원은 송영길 민주당 대표의 지명으로 지난달 당 지도부에 합류했다. 미국 하버드대 출신인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36)와 달리 대전공고, 경기대 법학과를 나와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 정치권에 뛰어들었다. 민주당에 입당한 뒤 당 혁신위원과 전국청년위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2018년부터는 61개국 157개 도시를 다니며 쓰레기 등 환경 문제를 고민해왔다. 지난해 <쓰레기책>이라는 저서를 출간했고 ‘쓰레기센터’를 설립해 환경운동을 이어가고 있다.
오형주 기자 oh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