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의 결단…신세계, 온·오프 통합 1위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마트, 3조4000억원에 이베이코리아 지분 80% 인수
또 한번의 '창업'
온라인과 디지털로 변신 가속
또 한번의 '창업'
온라인과 디지털로 변신 가속
쿠팡의 지난 3월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을 각성시킨 결정타였다. 이마트와 신세계를 합한 시가총액(24일 기준 7조1036억원)이 쿠팡(77조9434억원)의 10분의 1에 불과한 시장평가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네이버와의 지분 교환에 이어 이베이코리아 인수까지 신세계가 속전속결로 활로 모색에 나선 배경이다. 생필품 위주인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시대가 빠르게 저물고 있다는 점도 정 부회장의 결단에 촉매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세계그룹도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베이코리아 인수는 신세계그룹의 사업구조를 ‘온라인과 디지털’로 180도 전환하기 위한 시작점”이라며 “단순히 기업을 사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기회를 사는 딜(거래)”이라고 말했다.
강희석 이마트 대표는 소비자와 판매상을 연결해주는 오픈마켓(3P)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는 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트와 쓱닷컴은 상품을 직매입해 판매하는 ‘1P 쇼핑’ 업체다. 네이버, G마켓, 11번가 등과 같은 오픈마켓 사업자와 비교해 상품 품목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직매입 비중이 80%가량인 쿠팡도 아직 상품 중개(쿠팡 마켓플레이스) 분야에선 후발 주자”라며 “신세계는 이베이코리아 인수뿐만 아니라 스마트스토어를 확대 중인 네이버와의 제휴를 통해 쇼핑 중개 플랫폼 시장을 석권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세계그룹은 모든 고객과 만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통합형 e커머스를 미래 좌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신선식품 장보기에서부터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친 종합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며 “통합 매입을 통해 가격 경쟁력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세계의 궁극적 타깃은 쿠팡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쿠팡은 로켓배송과 무료 반품 등 압도적인 물류 경쟁력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올 3월 상장으로 수조원을 조달하면서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 7개 대형 물류센터를 짓기로 한 바 있다. 대형마트의 핵심 상품인 신선식품에서도 전국 당일 배송을 구현하기 위한 포석이다. 쿠팡은 자사 마켓플레이스에 판매상들의 입점을 유도하기 위해 3자 물류 서비스인 로켓제휴를 대규모로 확대할 전망이다.
정 부회장은 약 46조원의 이마트 자산을 활용해 향후 ‘쩐(錢)의 전쟁’에 본격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점 부문의 자산은 약 12조원 규모다. 일각에선 이번 거래의 최대 승자는 ‘쩐의 전쟁’ 수혜를 누린 이베이 본사라는 얘기도 나온다. 이베이는 2001년 옥션, 2009년 G마켓을 인수하는 데 총 1조9000억원을 투자했다. 단순 계산하면 약 2조4000억원의 차액을 거둔 셈이다.
박동휘/차준호 기자 donghuip@hankyung.com
네이버와의 지분 교환에 이어 이베이코리아 인수까지 신세계가 속전속결로 활로 모색에 나선 배경이다. 생필품 위주인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시대가 빠르게 저물고 있다는 점도 정 부회장의 결단에 촉매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합 e커머스 기업으로 변신하는 이마트
신세계그룹의 24일 이베이코리아 인수 결정은 또 한 번의 ‘창업’에 맞먹는 변화다. 기존 쓱닷컴에 G마켓, 옥션 등을 운영하는 이베이코리아를 더한 총거래액(이하 지난해 기준)은 21조원이다. 이마트, 백화점 등 신세계그룹 오프라인 점포 매출(27조원)에 버금가는 규모다. 동생인 정유경 총괄사장이 맡고 있는 백화점(연 매출 4조7000억원)을 제외하고 정 부회장이 관할하는 이마트 부문으로 범위를 좁히면 합병 후 매출의 절반이 ‘디지털’에서 발생하는 구조로 바뀌게 되는 셈이다. 삼성그룹에 속해 있던 1963년 동화백화점 인수로 백화점업에 첫발을 디딘 이래, 신세계로선 첫 조(兆) 단위 인수합병(M&A)이라는 점도 이번 거래의 무게를 짐작하게 한다. 직전까지 최대 거래는 2006년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이 월마트코리아를 7400억원에 인수한 것이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1993년 이마트 창업 이후 대형마트 시장을 석권한 신세계가 이번에 이베이코리아를 품으며 국내 e커머스(전자상거래)의 패권을 쥐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신세계그룹도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베이코리아 인수는 신세계그룹의 사업구조를 ‘온라인과 디지털’로 180도 전환하기 위한 시작점”이라며 “단순히 기업을 사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기회를 사는 딜(거래)”이라고 말했다.
인수 후 시너지가 ‘관건’
정 부회장이 이베이코리아 인수에 ‘베팅’한 핵심 요인은 충성도 높은 270만 명가량의 유료 가입자, 국내 최대 규모(약 14만 개)의 셀러(판매상), 20년 업력에서 배출된 300여 명의 정보기술(IT) 전문 인력 등 세 가지라는 평가다.강희석 이마트 대표는 소비자와 판매상을 연결해주는 오픈마켓(3P)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는 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마트와 쓱닷컴은 상품을 직매입해 판매하는 ‘1P 쇼핑’ 업체다. 네이버, G마켓, 11번가 등과 같은 오픈마켓 사업자와 비교해 상품 품목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직매입 비중이 80%가량인 쿠팡도 아직 상품 중개(쿠팡 마켓플레이스) 분야에선 후발 주자”라며 “신세계는 이베이코리아 인수뿐만 아니라 스마트스토어를 확대 중인 네이버와의 제휴를 통해 쇼핑 중개 플랫폼 시장을 석권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세계그룹은 모든 고객과 만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통합형 e커머스를 미래 좌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신선식품 장보기에서부터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친 종합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며 “통합 매입을 통해 가격 경쟁력도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세계의 궁극적 타깃은 쿠팡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쿠팡은 로켓배송과 무료 반품 등 압도적인 물류 경쟁력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올 3월 상장으로 수조원을 조달하면서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에 7개 대형 물류센터를 짓기로 한 바 있다. 대형마트의 핵심 상품인 신선식품에서도 전국 당일 배송을 구현하기 위한 포석이다. 쿠팡은 자사 마켓플레이스에 판매상들의 입점을 유도하기 위해 3자 물류 서비스인 로켓제휴를 대규모로 확대할 전망이다.
정 부회장은 약 46조원의 이마트 자산을 활용해 향후 ‘쩐(錢)의 전쟁’에 본격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점 부문의 자산은 약 12조원 규모다. 일각에선 이번 거래의 최대 승자는 ‘쩐의 전쟁’ 수혜를 누린 이베이 본사라는 얘기도 나온다. 이베이는 2001년 옥션, 2009년 G마켓을 인수하는 데 총 1조9000억원을 투자했다. 단순 계산하면 약 2조4000억원의 차액을 거둔 셈이다.
박동휘/차준호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