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자리 잡는 업사이클링...유통사·패션 기업도 동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유통 점포가 자원 순환 플랫폼으로 변신 중이다. 매장이나 유통과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모아 업사이클링 상품을 만들어 판매한다.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트렌드를 따라잡기 위한 노력이다
[한경ESG] ESG NOW
GS리테일이 운영하는 슈퍼마켓 GS더프레시는 ‘자원 선순환’ 활동으로 재배한 포도와 배를 판매한다. 매장에서 발생한 음식 폐기물로 퇴비를 만들어 과일을 길렀다. 이 방식으로 지난해 GS더프레시에 공급된 상품은 150톤이 넘는다. 소비자들의 반응도 좋다. GS더프레시는 이 과일이 자사 음식 폐기물을 기반으로 재배됐다는 점을 알리고 판매했는데, 지난해 출시 당시 2주 만에 초기 물량이 ‘완판’됐다. 큰 호응에 힘입어 GS리테일은 올해 공급 물량을 2배 이상 늘렸다.
유통 채널들이 ‘자원 선순환’ 플랫폼으로 변신하고 있다. 과거 유통 채널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곳이었다. 판매된 상품이 사용 후엔 결국 쓰레기가 됐고, 운영 과정에서 자체적으로도 폐기물이 발생했다. 그러나 이제 기업들은 폐기물을 자원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판매까지 하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있다. 소비자들의 환경 눈높이가 올라가고 기업들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눈을 뜬 결과다.
페트병이 유니폼으로 재탄생
편의점 GS25는 6월부터 투명 페트병으로 만든 의류 판매를 시작한다. 편의점에서 수거한 투명 페트병을 아웃도어 브랜드 블랙야크가 재활용해 옷으로 재탄생시키는 방식이다. ‘업사이클링’ 티셔츠 한 벌을 만드는 데는 2ℓ짜리 페트병 8개 또는 500㎖ 20개가 사용된다. GS25는 이를 위해 점포에서 소비되는 투명 페트병의 수거율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 생수 상품을 무라벨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GS25는 직원들이 입는 유니폼도 이 투명 페트병으로 제작해 가맹점에 공급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제품의 생산과 유통, 재활용이 선순환되는 친환경 모델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편의점 CU도 자사에서 나온 커피 찌꺼기를 업사이클링해 제조한 커피박(粕) 데크(deck)를 점포에 설치한다. 데크는 점포 앞에 설치되는 바닥을 말한다. 커피박은 원두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 부산물이다. 원두의 0.2%가 커피로 추출되고 나면 나머지 99.8%는 커피박이 된다. 국내에서 한 해 발생하는 커피박은 약 15만 톤(2019년 기준)에 달한다. 커피 소비량이 늘어난 영향이다. 국내에서는 커피박을 별도로 분류하는 기준이 없어 일반 생활 폐기물로 배출되는데, 이를 소각하면 톤당 약 338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그렇다고 매립하면 카페인 성분으로 인한 토양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CU는 이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커피박으로 만든 데크를 점포에서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커피박 데크는 커피박 함유율이 20% 이상인 합성 목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목 데크보다 쪼개짐, 뒤틀림 등의 변형이 적고 기온, 강수량 등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다. 커피원두의 특성인 방향 및 탈취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조립된 데크를 그대로 해체할 때도 100% 재자원화가 가능하다.
커피박 데크는 일반 방부목 데크 대비 단가가 약 23%가량 높지만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이를 감수하고 '업사이클링'을 실천하기로 했다.
온라인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는 택배 회사들도 업사이클링에 적극적이다. 택배 업계 1위 회사인 CJ대한통운은 최근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한 유니폼과 파레트 300개를 물류 현장에 도입했다. 파레트는 상품을 싣고 나르는 데 쓰는 일종의 받침대다. 친환경 파레트 1개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폐플라스틱은 28㎏으로, 300개를 폐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면 약 2만 ㎏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소나무 672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진은 업사이클링을 사업화했다. 재활용 컨설팅 기업 테라사이클과 손잡고 업사이클링 플랫폼 ‘PLANET’을 선보였다. ㈜한진은 친환경 택배박스 제작 업체 에코라이프패키징과 협업해 일회용품 보관·수거용 ‘제로 웨이스트 박스’를 자체 개발했다. 이를 통해 일회용품을 수거한 후 텀블러, 에코백 등 친환경 제품으로 재자원화해 판매한다. 이 플랫폼에는 코카콜라와 요기요, 하이트진로 등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늘어난 업사이클링 브랜드...해외는 ‘준명품’ 대접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 업계에도 업사이클링 바람이 불고 있다. 그만큼 업사이클링이 유행과 사회적 소비에 민감한 MZ(밀레니얼+Z) 세대에 소구하는 트렌드라는 분석이다. 형지엘리트는 최근 울산항만공사와 태광산업, 대한화섬, 사회적 기업 우시산과 함께 ‘페트병 자원순환 사업 확대를 통한 해양환경보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해양 오염의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는 폐페트병을 사용해 재활용 의류 저변을 확대하고, 친환경 책임 경영을 하겠다는 취지다. 협약 기업들은 각각 보유한 자원순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울산항만공사가 추진하는 ‘선박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 확대에 동참할 예정이다. MCM도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라인’을 선보였다.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과거에서 찾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의도적으로 이미 지난 컬렉션의 소재를 사용했다.
해외에선 업사이클링이 하나의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 스타트업 바이퓨전은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벽돌과 같은 블록을 제조한다. 폐플라스틱을 분쇄해 압축하는 방식이어서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효과 없이 집이나 벽 같은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에코버디는 기증받은 어린이 장난감을 어린이용 가구로 바꾸는 회사다. 버려지는 플라스틱 소재 장난감을 줄이면서 추가 공정 없이 새로운 부가가치를 담은 상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인 셈이다. 스위스의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프라이탁은 준명품 대접을 받는다.
국내에서도 업사이클링 브랜드들이 점차 자리를 잡고 있다. 예술가들의 습작을 재활용해 가방 등 패션제품을 만드는 얼킨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아직은 시장 규모가 미미한 수준이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업사이클 브랜드는 약 100여 개, 규모는 40억원 미만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ESG 경영이 확산되면서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 업사이클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
유통 채널들이 ‘자원 선순환’ 플랫폼으로 변신하고 있다. 과거 유통 채널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곳이었다. 판매된 상품이 사용 후엔 결국 쓰레기가 됐고, 운영 과정에서 자체적으로도 폐기물이 발생했다. 그러나 이제 기업들은 폐기물을 자원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판매까지 하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고 있다. 소비자들의 환경 눈높이가 올라가고 기업들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눈을 뜬 결과다.
페트병이 유니폼으로 재탄생
편의점 GS25는 6월부터 투명 페트병으로 만든 의류 판매를 시작한다. 편의점에서 수거한 투명 페트병을 아웃도어 브랜드 블랙야크가 재활용해 옷으로 재탄생시키는 방식이다. ‘업사이클링’ 티셔츠 한 벌을 만드는 데는 2ℓ짜리 페트병 8개 또는 500㎖ 20개가 사용된다. GS25는 이를 위해 점포에서 소비되는 투명 페트병의 수거율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 생수 상품을 무라벨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GS25는 직원들이 입는 유니폼도 이 투명 페트병으로 제작해 가맹점에 공급한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제품의 생산과 유통, 재활용이 선순환되는 친환경 모델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편의점 CU도 자사에서 나온 커피 찌꺼기를 업사이클링해 제조한 커피박(粕) 데크(deck)를 점포에 설치한다. 데크는 점포 앞에 설치되는 바닥을 말한다. 커피박은 원두를 추출하고 남은 커피 부산물이다. 원두의 0.2%가 커피로 추출되고 나면 나머지 99.8%는 커피박이 된다. 국내에서 한 해 발생하는 커피박은 약 15만 톤(2019년 기준)에 달한다. 커피 소비량이 늘어난 영향이다. 국내에서는 커피박을 별도로 분류하는 기준이 없어 일반 생활 폐기물로 배출되는데, 이를 소각하면 톤당 약 338kg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그렇다고 매립하면 카페인 성분으로 인한 토양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CU는 이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커피박으로 만든 데크를 점포에서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커피박 데크는 커피박 함유율이 20% 이상인 합성 목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부목 데크보다 쪼개짐, 뒤틀림 등의 변형이 적고 기온, 강수량 등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다. 커피원두의 특성인 방향 및 탈취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조립된 데크를 그대로 해체할 때도 100% 재자원화가 가능하다.
커피박 데크는 일반 방부목 데크 대비 단가가 약 23%가량 높지만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이를 감수하고 '업사이클링'을 실천하기로 했다.
온라인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는 택배 회사들도 업사이클링에 적극적이다. 택배 업계 1위 회사인 CJ대한통운은 최근 폐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한 유니폼과 파레트 300개를 물류 현장에 도입했다. 파레트는 상품을 싣고 나르는 데 쓰는 일종의 받침대다. 친환경 파레트 1개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폐플라스틱은 28㎏으로, 300개를 폐플라스틱으로 제작하면 약 2만 ㎏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소나무 6720그루가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과 비슷한 수준이다.
㈜한진은 업사이클링을 사업화했다. 재활용 컨설팅 기업 테라사이클과 손잡고 업사이클링 플랫폼 ‘PLANET’을 선보였다. ㈜한진은 친환경 택배박스 제작 업체 에코라이프패키징과 협업해 일회용품 보관·수거용 ‘제로 웨이스트 박스’를 자체 개발했다. 이를 통해 일회용품을 수거한 후 텀블러, 에코백 등 친환경 제품으로 재자원화해 판매한다. 이 플랫폼에는 코카콜라와 요기요, 하이트진로 등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늘어난 업사이클링 브랜드...해외는 ‘준명품’ 대접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 업계에도 업사이클링 바람이 불고 있다. 그만큼 업사이클링이 유행과 사회적 소비에 민감한 MZ(밀레니얼+Z) 세대에 소구하는 트렌드라는 분석이다. 형지엘리트는 최근 울산항만공사와 태광산업, 대한화섬, 사회적 기업 우시산과 함께 ‘페트병 자원순환 사업 확대를 통한 해양환경보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해양 오염의 주범으로 떠오르고 있는 폐페트병을 사용해 재활용 의류 저변을 확대하고, 친환경 책임 경영을 하겠다는 취지다. 협약 기업들은 각각 보유한 자원순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울산항만공사가 추진하는 ‘선박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사업’ 확대에 동참할 예정이다. MCM도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라인’을 선보였다.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과거에서 찾자"는 취지다. 이를 위해 의도적으로 이미 지난 컬렉션의 소재를 사용했다.
해외에선 업사이클링이 하나의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미국 스타트업 바이퓨전은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벽돌과 같은 블록을 제조한다. 폐플라스틱을 분쇄해 압축하는 방식이어서 시멘트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효과 없이 집이나 벽 같은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에코버디는 기증받은 어린이 장난감을 어린이용 가구로 바꾸는 회사다. 버려지는 플라스틱 소재 장난감을 줄이면서 추가 공정 없이 새로운 부가가치를 담은 상품으로 전환시키는 산업인 셈이다. 스위스의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프라이탁은 준명품 대접을 받는다.
국내에서도 업사이클링 브랜드들이 점차 자리를 잡고 있다. 예술가들의 습작을 재활용해 가방 등 패션제품을 만드는 얼킨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아직은 시장 규모가 미미한 수준이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업사이클 브랜드는 약 100여 개, 규모는 40억원 미만이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ESG 경영이 확산되면서 국내 기업들 사이에서 업사이클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