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SICA 정상회의…"친환경·디지털 협력 파트너"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오전 중미통합체제(SICA) 회원국 8개국 정상 및 SICA 사무총장과 화상 정상회의를 갖고 양측의 포괄적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SICA는 중미 지역 통합·발전을 목표로 1991년 발족한 지역기구로,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 벨리즈, 도미니카공화국 8개국으로 구성됐다.

SICA는 미주 지역의 교역·물류 중심지이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대미 생산기지 인접국 이전의 수혜지역으로서 유망 신흥 시장으로 부상 중이라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한국은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한·중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 3월 발효하고, 지난해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에 가입하는 등 이 지역과의 협력 여건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SICA 정상회의 개최는 2010년 이후 11년만 이다.

문재인 정부에서의 첫 중남미 지역 다자 정상회의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과 SICA 회원국 정상들은 코로나19의 조속한 극복을 통한 경제 회복과 미래의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한 양측 간 친환경 및 디지털 전환 협력의 중요성에 공감했다.

한·SICA 정상회의…"친환경·디지털 협력 파트너"
문 대통령은 "한국과 SICA는 코로나 위기에서도 방역 물품과 경험을 나누며 연대와 협력을 실천했다"며 "한국과 SICA 간에 포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인적 교류 확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한·SICA 협력기금 재조성 추진, 양자 공적개발원조(ODA) 확대 등을 통해 SICA 지역의 경제사회 안정 등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설명했고, SICA 회원국 정상들은 남북·북미 대화의 조속한 재개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한국 정부의 입장을 지지했다.

양측 정상들은 이번 정상회의의 결과를 담아 새로운 협력 비전을 제시하는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청와대는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우리의 외교 외연을 중남미 지역으로 확장하고 SICA 회원국들과의 실질적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중미 시장에 우리 기업들의 진출이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