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복합 도심산업단지 거듭나는 G밸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시 세부개발계획 '시동'
낡은 공장부지 등 13곳 거점
상업시설·녹지 인프라 확충
낡은 공장부지 등 13곳 거점
상업시설·녹지 인프라 확충
서울 구로구 구로동·금천구 가산동 일대 G밸리(서울디지털산업단지)가 4차산업 관련 ‘융·복합 도심산업단지’로 재탄생한다. 물류·유통, 문화, 지식산업 등 다양한 업종이 입점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상업시설과 녹지, 교통 인프라도 확충하게 된다.
서울시는 지난 25일 열린 2021년 제1차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G밸리 국가산업단지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27일 밝혔다. 하반기에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유의 서울디지털운동장 부지를 시작으로 전략거점 개발을 위한 세부개발계획 수립에 나설 예정이다.
G밸리는 1960년대 국내 최초 수출 국가산단인 구로공단으로 출발했다. 1만2000여 개 기업, 14만여 명이 근무하는 서울 최대 산단이다. 그동안 민간 주도 개발을 통해 첨단지식산단으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산단 전체를 포괄하는 관리체계가 부족해 규모에 비해 녹지와 기반시설 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30년 이상 된 노후 역세권 민간 공장부지와 이용률이 낮은 공공부지 등 13곳을 전략거점으로 지정해 복합개발한다. 부지별로 공장 등 산업시설과 상업·주거·공공 등 지원시설을 50%씩 조성해 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공공부지는 연면적 30% 이상에 연구개발(R&D)센터와 창업지원시설 등을 의무 도입한다. 민간 부지는 용지 변경에 따른 개발이익의 절반을 기부채납(공공기여)받아 부족한 인프라를 개선할 방침이다.
현재 G밸리에 정보기술(IT) 제조업 및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이 밀집해 있다. 이와 융합할 수 있는 4차산업, 물류·유통, 문화, 지식산업 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업종 제한도 최소화한다.
녹지를 확대하고 보행친화형 환경을 조성한다. 13개 전략거점에는 전체 부지면적 15% 이상의 공원을 조성해 일반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G밸리 1·2·3단지 주요 가로변에는 특화가로를 설계해 저층부 건축물 배치를 다양할 계획이다.
교통 인프라도 확충한다. 출·퇴근 인구와 외부 유입 차량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현재 3~4차선을 5~7차선으로 확대한다. 경부선으로 단절된 2·3단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두산길 지하차도 사업도 추진된다. 자전거 전용도로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서울시는 지난 25일 열린 2021년 제1차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G밸리 국가산업단지계획안’을 통과시켰다고 27일 밝혔다. 하반기에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유의 서울디지털운동장 부지를 시작으로 전략거점 개발을 위한 세부개발계획 수립에 나설 예정이다.
G밸리는 1960년대 국내 최초 수출 국가산단인 구로공단으로 출발했다. 1만2000여 개 기업, 14만여 명이 근무하는 서울 최대 산단이다. 그동안 민간 주도 개발을 통해 첨단지식산단으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산단 전체를 포괄하는 관리체계가 부족해 규모에 비해 녹지와 기반시설 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30년 이상 된 노후 역세권 민간 공장부지와 이용률이 낮은 공공부지 등 13곳을 전략거점으로 지정해 복합개발한다. 부지별로 공장 등 산업시설과 상업·주거·공공 등 지원시설을 50%씩 조성해 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공공부지는 연면적 30% 이상에 연구개발(R&D)센터와 창업지원시설 등을 의무 도입한다. 민간 부지는 용지 변경에 따른 개발이익의 절반을 기부채납(공공기여)받아 부족한 인프라를 개선할 방침이다.
현재 G밸리에 정보기술(IT) 제조업 및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이 밀집해 있다. 이와 융합할 수 있는 4차산업, 물류·유통, 문화, 지식산업 등 다양한 산업의 기업을 유치할 수 있도록 업종 제한도 최소화한다.
녹지를 확대하고 보행친화형 환경을 조성한다. 13개 전략거점에는 전체 부지면적 15% 이상의 공원을 조성해 일반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G밸리 1·2·3단지 주요 가로변에는 특화가로를 설계해 저층부 건축물 배치를 다양할 계획이다.
교통 인프라도 확충한다. 출·퇴근 인구와 외부 유입 차량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현재 3~4차선을 5~7차선으로 확대한다. 경부선으로 단절된 2·3단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두산길 지하차도 사업도 추진된다. 자전거 전용도로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